콘텐츠로 건너뛰기

(아동청소년간호학) 학령전기 02 건강증진

(아동청소년간호학) 학령전기 02 건강증진

건강검진

– 아동 학교 가기 전 예방접종

– DTaP(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PV(소아마비백신), MMR(홍역, 이하선염, 풍진) 추가 접종

– 건강검진은 고지혈증 사정, 납수치 증가, TB(결핵) 검사 등을 포함

– 결핵검사 건강검진과 함께 매년

– 예방할 수 있는 건강문제는 납중독

– 혈액에 납 수치가 아주 높은 경우 정신지체, 의식불명, 발작 등을 일으킴

– 학령전기 일반적인 건강문제는 중이염, 감기, 위장장애

영양

– 성장속도, 식욕 감소 시기

– 하루의 지방 섭취량은 전체 칼로리의 30% 이하

– 식사와 간식에 대한 계획과 아동의 참여

아동비만

– 비만 : 성인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음

– 비만 예방을 위한 건강한 생활습관 필요

– 건강한 생활양상

(1) 매일 신체적 활동을 하도록 실제적인 것을 개발한다.

(2) 식품이나 먹는 것에 대한 부모와 아동의 역할을 만든다.

(3) 식사시간 관리를 위해 해야 할 것과 하지 않아야 할 것을 결정한다.

(4) 생수 섭취는 증가시키고, 과일주스나 단맛이 나는 채소 소비는 감소하도록 장려하고, 과식을 예방한다.

(5) 앉아서 하는 활동으로 보내는 시간을 줄인다.

수면과 휴식

– 학령전기 아동의 수면패턴 : 12시간/일 수면, 밤에 10.5시간, 1.5시간의 낮잠

– 일정한 수면일과를 만드는 것은 매우 중요

수면장애

– 수면 공포, 잠꼬대, 몽유병 등

– 깨어있으나 혼란스럽고 정확하게 대화하지 못함

– 대부분 크면 좋아지지만, 심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 필요

치아건강

– 주요 치아 문제는 치아의 손실, 치아 교정궁의 변질, 영구치 발달을 손상시키는 충치 등

– 칫솔질 습관 : 바른 습관 들이기 좋은 시기

– 치과 검진 : 6개월마다 방문

이 갈기

– 잠들기 전 잠시, 심한 경우 마우스피스 사용

활동과 놀이

– 권장하는 운동 : 경쟁하지 않고 안전에 중요성을 둔 운동을 권장

– 3세 아동: 연합놀이, 다른 아동과 상호작용을 하고 장난감도 공유하기 시작

– 4세 아동: 놀이는 상호적, 장난감과 활동은 만들기 장난감, 퍼즐, 암기게임, 공상놀이, 책, 음악 등

– 5세 아동

  • 자신의 욕구를 억제하는 능력이 생기고, 그룹에서 잘 어울림
  • 그룹 스포츠나 게임을 가르치기에 좋은 시기
  • 흉내놀이, 인형놀이, 가장놀이, 책읽기, 그림 그리기 등 즐김

지적자극

– 책을 읽는 동안 집중을 하는 행동으로 지적 능력을 보임

– 그림이 많은 책처럼 이야기를 보여주는 단어가 많은 책을 좋아함

– 아동이 집중하기 좋도록 예측할 수 있는 이야기나 반복되는 어구가 있는 책이 좋다.

안전과 손상예방

– 운동능력과 상호작용 능력이 증가, 이동성의 증가와 능력으로 인해 다른 위험에 처하게 됨

– 가장 큰 문제는 아동이 길가에서 놀 때 발생

– 규칙 따르고, 뜨거운 것, 뾰족한 물건, 위험한 높이 등 잠재된 위험에 대한 인식 있다.

– 어른이 하는 것을 따라 하기 때문에 양육자가 아동과 같은 규칙을 따르는 것이 중요

훈육과 한계설정

– 나쁜 행동은 모든 아동에 있어 정상적 → 유아기에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분노발작을 일으킴

– 아동이 수용되는 행동을 배우기 위해 한계를 만드는 것이 필요

– 아동이 자신의 한계를 넘게 되면,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그에 따른 훈육이 따라야 한다.

– 활동중지(time-out)는 효과적인 훈육 방법 중 하나, 나이만큼 시간을 정하고 1분을 넘지 않도록 한다(3세 아동 3분 초과하지 않도록).

– 활동중지는 아동이 차분해질 수 있도록 가르치는데, 차분해질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은 주되 화가 날 정도가 되지는 않도록 한다.

– 학령전기 아동은 모델, 즉 자신이 본 행동을 따라함 → 부모는 올바른 행동을 따라할 수 있도록, 올바른 행동에 대한 보상

학교준비

– 어린이집, 유치원경험 → 같은 또래의 아동과 어울릴 수 있도록 돕고, 그룹안에서의 협력을 가르치고, 언어를 발달시키며 신체적, 사회적 발달을 돕고, 실패와 불만족에 대처하도록 돕는다.

– 아동 초기 프로그램: 조용한 놀이, 활동적인 야외놀이, 그룹 활동, 게임, 그림그리기, 창의적이며 자유로운 놀이, 간식시간, 휴식시간 등

– 활동은 아동이 성취감, 자신감, 성공감 느끼도록 돕는다.

– 학교에 들어갈 준비: 아동의 사회적 성숙도(연령, 신체능력, 다른 아동과 어울리는 능력)와 배움에 대한 관심(규칙을 따르고 장시간 집중하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