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2 – 비인두염
비인두염
– 흔히 비부비동염(rhinosinusitis)으로 알려진 비인두염(nasopharyngitis, 감기)은 아동에게 자주 일어나는 호흡질환 중에 하나이다.

발생빈도와 원인
–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일반적인 감기와 비슷하며 rhinovirus가 가장 흔한 원인이다. 아동은 일 녕에 평균 6~10회 감기를 경험하며 흔히 가을, 겨울에 발병한다. 성장할수록 감기에 걸리는 횟수는 줄어든다. 성인은 일년에 평균 2~4회 감기에 걸린다.
병태생리
– 감염은 조직의 염증에 의해 나타난다. 염증의 과정은 조직이 붓고, 삼출물이 배출된다(액체, 세포, 혹은 신체에서 분비된 이물질). 비강 충혈은 부종과 분비물에 의해 나타나며, 비강내 공기의 흐름을 방해한다.
임상증상
– 바이러스성 비인두염의 증상으로는 코막힘, 비염, 재채기, 콧물, 기침, 인후통, 발열, 보챔, 권태감, 두통, 근육통이 있다. 영아는 잘 먹지 못하고 아동은 식욕이 떨어질 수 있다. 어떤 아동은 구토와 설사를 할 수도 있다.
진단
– 환자의 발병 기록과 신체검진을 이요
– 아동의 감기 증상은 약물 사용 없이 48~72시간 이내에 호전될 수 있다.
치료
– 대증적인 치료
– 비아스피린계의 진통제와 해열제
– 생리식염수 코점적
– 항생제는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데 큰 효과가 없으며, 바이러스성 비인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지 않는다. 아동에서 의사의 처방 없이 살 수 있는 기침 및 감기약의 사용에 대하여 미국소아과협회는 권장하지 않고 있다.
간호관리
간호진단
1. 비인두의 염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2. 비강충혈, 구강호흡, 인후통과 관련된 불편감으로 인한 수분 섭취 부족과 관련된 체액부족
3. 인후통, 염증과정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호계획과 수행
– 그 자녀를 돌보는 부모를 지지하고 교육하는 것
– 생리식염수 점적
– 비강으로부터 분비물을 흡입
– 수분섭취
– 좋아하는 음료 제공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5 – 크룹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4 – 중이염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3 – 편도염과 인두염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2 – 비인두염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