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4 – 중이염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4 – 중이염

발생빈도와 원인

– 중이염(otitis media)은 아동기에 흔한 질환 중 하나이다.

– 급성중이염은 아동에서 항생제가 처방되는 가장 흔한 세균성 질환이다.

– 중이염은 소아과를 방문하는 5세 이하의 아동의 20~40%를 차지한다. 아동의 90%까지 생애 첫 4년 이내에 최소한 한 차례의 급성중이염(AOM)을 경험한다.

병태생리

– 3세 이하의 아동은 나이 든 아동과 성인에 비해 유스타키오관이 넓고, 짧으며, 곧기 때문에 중이염에 걸린 확률이 높다. 또한 유스타키오관이 수평으로 위치한다. 이러한 해부학적 차이는 작은 세균과 비인두의 분비물이 쉽게 중이로 들어가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임상증상

– 급성중이염의 주된 증상은 통증, 발열, 과민성, 상기도 질환 증상이다. 이통도 함께 동반되며 음식을 씹을 때 더 심해진다.

진단

급성중이염(AOM)의 진단은 세 가지 기준, 즉 중이에서 급성 발병, 삼출액의 존재(삼출물), 그리고 중이 내 염증의 징후/증상

치료

– 낮은 위험군에서 복잡하지 않은 급성 중이염의 첫 번째 치료는 “주의깊게 기다리는” 방법으로,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 증상의 자연스러운 호전을 관찰하는 것이다.

– 고위험군 환아는 첫 번째로 사용되는 항생제를 amoxicillin이다. 이 경우 환아는 심한 증상(고열 혹은 심한 통증)이 있거나 항생제 내성이 의심되는 고용량의 amoxicillin-calvulanate이 처방될 수 있다.

– 항생제 치료를 시작한 후 급성 중이염은 2~3일 정도에 호전되기 시작하지만, 급성 중이의 화농성 삼출물이 장액성으로 변화한다.

– 중이염의 일차적인 합병증은 전도성 청력상실과 언어와 관련된 문제이다.

간호관리

간호진단

1. 중이의 염증과 고막의 압력과 관련된 급성통증

2. 병원체 존재(급성중이염)와 관련된 감염

3. 청각장애와 관련된 잠재적인 성장, 발달의 지연

4. 수분섭취 감소, 발열과 관련된 잠재적인 체액 부족

간호계획과 수행

– 가장 중요한 것이 가족교육이다.

– 통증을 감소시키는 중재방법으로는 가능한 편안하게 해주며 적절한 수분공급을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