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9 – 기도폐쇄와 폐손상
이물질 흡인
– 유아와 아동에서 이물질 흡인(foreign body aspiration)은 흔하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3세 이하의 아이들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며, 기침 반사는 일반적으로 이물질로부터 기도를 보호한다. 이 물질이 기도 내로 들어오면, 부분적 혹은 완전히 기도가 폐쇄된다. 부분적인 기도폐쇄는 무기폐와 폐포의 과잉팽창, 복합적인 호흡기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 완전한 기도폐쇄는 저산소증과 사망을 초래한다.
임상증상
– 목격된 질식 사건, 폐의 한 부위의 과팽창 그리고 일측성 천명음 혹은 협착음
치료
– 이물질 흡인은 의학적 응급상황이다. 아이가 의식이 있고, 얼굴색이 분홍색이며, 기침을 할 수 있을 경우, 관찰과 추적 평가한다. 만일 아이가 기침을 하거나 말을 하지 못하고, 의식을 잃거나, 청색으로 변한 경우, 하임리히법을 실시한다. 이무질 흡인으로 의심된 아이가 안정적으로 보이면, 이물질이 이동하여 폐쇄, 호흡기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세밀한 의학적 진찰을 받아야 한다. 기도에 들어온 이물질은 내시경이나 수술을 통해 제거된다.
– 이물질 폐쇄 치료의 주된 열쇠는 예방이다. 영아와 소아는 생과일과 생야채와 같은 음식을 안전하게 먹는 능력이 부족하다.

연기흡입손상
– 연기흡입손상(smoke inhalation injury)은 열이나 화학적 요소로 인해 폐 손상을 야기한다.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11 – 낭포성섬유증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10 – 천식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9 – 기도폐쇄와 폐손상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8 – 부비동염
-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07 – 폐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