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10 – 천식

(아동청소년간호학) 호흡기 장애 10 – 천식

만성 호흡기장애

– 가장 흔한 만성 호흡기장애는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이 있다.

천식

– 천식(asthma)은 만성염증, 기관지 수축 그리고 기관지 과민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기계 질병이다. 천명음, 기침, 호흡곤란과 같은 이 질병의 일차적인 증상은 기도에 생긴 부종, 점액, 그리고 기관지 수축으로 인한 기도폐색에 의해 나타난다. 천식의 개인 감수성은 정도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기도 감염 및 임상증상들 사이의 상호작용이다.

발생빈도와 원인

– 천식은 가장 흔한 아동기 만성질병이다. 천식은 만성 질환이 갖는 막중한 비용은 말할 것도 없이, 직장 결근과 학교 결석, 응급실 방문, 입원을 초래하여 환자와 가족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

– 사춘기 이전에는 여자보다 남자가 이 질병의 영향을 받지만, 사춘기 이후에 남자보다 여자가 더 영향을 받는다. 천식은, 모든 인종과 민족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

병태생리

– 천식과 관련된 염증반응은 항원(먼지진드기, 바퀴벌레 등), 자극(오염, 담배 연기, 찬 공기), 균, 약(아스피린,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위식도 역류, 음식과 음식보존제, 첨가제,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 그리고 운동 등에 의해 유발된다.

– 알레르기 항원은 IgE, 비만세포, 그리고 대식세포 등의 순환량을 증가시킨다.

그림 22-8 천식 발작 시 반응
알레르기원/촉발인자 노출(예/ 공기오염, 먼지 진드기)

염증반응(IgE 상승)

기관지 수축

기도부종과 증가된 점액생성

기도폐쇄

저산소증, 천명음, 호흡곤란, 기좌호흡

임상증상

– 천명, 재발성 기침, 잦은 호흡 곤란, 가슴이 답답하다.

– 가장 흔한 자극은 주변의 알레르기 항원, 호흡기 감염, 운동 및 날씨 변화이다.

– 큰 아동은 자신의 팔을 고정하여 활모양으로 만들고 어깨를 위로 추켜세우는 자세로 앉는다.

진단

– 병력, 신체검진결과, 폐기능 검사 등

– 천명이 반복적이면서 아래와 같은 소견이 한 가지 이상 동반될 때 천식의 가능성이 높다.

• 부모 중 최소한 1명이 천식의 진단을 받은 경우

• 알레르겐 특기 IgE 양성

• 아토피피부염의 과거력이나 동반력

• 높은 혈청 총 IgE 수치

• 호흡기 감염을 동반하지 않은 천명

• 기관지확장제나 전신적 스테로이드제에 의하여 천명이나 호흡곤란이 호전된 경우

치료

간호시 고려사항 – Spacer가 달린 계량흡입기의 적절한 사용법

1. 계량흡입기의 여과기를 마우스피스와 연결시킨다.
2. 여과기를 흔들어서 압력을 증가시킨다.
3. 기능잔류 용량만큼 숨을 내쉰다.
4.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리고 입술을 밀착한다.
5. 여과기를 작동한다.
6. 총 폐활량만큼 숨을 들이킨다.
7. 숨을 5~10초 동안 멈추었다가 보통처럼 숨쉰다. 영아는 숨을 멈추지 못하기 때문에 5~6번 숨쉴 동안 마스크를 사용해야 한다.
8. 60초 기다린다.
9. 2~7번 사항을 반복한다.
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