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 02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 02

수용체 요약

신경계 약물을 공부하는데 많이 혼돈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자율신경계의 구조(수용체)와 이름이다! 먼저 교감, 부교감신경의 구조를 머리로 그릴 수 있어야 한다.

* ACh와 결합하는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영문은 콜리너지 리셉터(cholinergic receptor), 다른 표현으로 콜린성 수용체이고 이것과 관련된 약물을 콜린성 작용제와 길항제라 부른다.

니코틴 수용체는 등을 대상으로 한 초기의 실험실 연구에서 ACh 작용이 담배 물질에서 발견된 니코틴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고 이름 붙여졌다.

모든 신경절, 신경근육이음부에 있다!

무스카린 수용체는 자율신경계의 부교감신경 절후신경 종말에 있는 ACh와 결합하는 수용체로 독버섯인 Amanita muscaria를 섭취했을 때 맥박 저하와 증상이 나타난다고 이름 붙였다.

부교감신경 효과기에만 존재한다.

* NE, Epi, 같은 카테콜아민(catecholamine)과 결합하는 수용체의 영문은 아드레너직 리셉터(adrenergic receptor), 다른 표현으로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이고 이것과 관련된 약물은 아드레날린성 작용제와 길항제라고 부른다. 주로 교감신경과 관련 있으며 아드레날린성 수용체에는 α, β의 두 종류가 있고, 각각 α₁, α₂, β₁, β₂, β₃ 하위형이 존재한다.

모든 교감 부교감의 신경절, 신경근육이음부 : ACh – 니코틴 수용체

부교감 효과기 : ACh – 무스카린 수용체

교감 효과기 : NE – 아드레날린 수용체(α, β)

콜린성 약물

종류약물작용
직접 작용제아세틸콜린 (acetylcholine)부교감신경인 미주신경의 흥분과 유사
 베타네콜 (bethanechol)요저류, 배뇨를 돕는다
 카르바콜 (carbachol)녹내장 치료나 동공수축
 필로카르핀 (pilocarpine)쇼그렌증후군(Sjögren syndrome)의 치료제
간접가역 작용제에드로포늄 (edrophonium)중증근무력증(MG)의 진단
 피소스티그민 (physostigmine)평활근 수축, 동공축소, 심박동수 저하와 저혈압
 네오스티그민 (neostigmine)중증근무력증(MG)의 대증요법
간접비가역 작용제에코치오페이트 (echothiophate)클로린증후, 운동마비, 경련
 유기인화합물과 사린 (sarin)유기인 신경가스

콜린성 길항제

종류약물작용
항무스카린제아트로핀 (atropine)동공확대, 위장관 활동 감소(진경제), 심박동수 증가(고용량), 구강건조, 중추신경계에서 더 강한 효과, 멀미 예방약
 스코폴아민 (scopolamine)멀미 예방약
 호흡기
아클리디늄 (aclidinium), 글리코피롤레이트 (glycopyrrolate),이프라트로퓸 (ipratropium), 티오트로퓸 (tiotropium)
기관지확장제(bronchodilator),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치료제
 안과
사이클로펜톨레이트 (cyclopentolate), 트로피카마이드 (tropicamide)
안과 검사용
 파킨슨병
벤즈트로핀 (benztropine), 트리헥시페니딜 (trihexyphenidyl)
파킨슨병의 치료제와 보조제
 배뇨
옥시부티닌 (oxybutynin), 다리페나신 (darifenacin),솔리페나신 (solifenacin), 톨테로딘 (tolterodine), 트로스퓸 (trospium)
과활동성 방광과 요실금 치료
신경절 차단제니코틴 (nicotine)자율신경계의 모든 반응 차단

아드레날린수용체

구분α₁α₂β₁β₂β₃
위치모든 교감신경
표적기관(심장 제외)
교감신경
절전말단
심장
신장
모든 교감신경
표적기관(심장 제외)
방광
지방조직
방광
작용혈관수축
말초혈관저항 증가
동공확대
방광조임근 수축
NE 분비 저하
ACh 분비 저하
인슐린 분비 저하
빈맥
지방분해 증가
강심효과
레닌 분비 증가
혈관확장
말초혈관저항 감소
기관지확장
혈당 증가
방광, 자궁근 이완
지방분해 증가
방광배뇨근 이완
열발생

α₁ 큰아버지 :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α₂ 작은아버지 : NE 분비 억제 → 작은 아버지 = 억제자

β₁ 큰오빠 : 심장 자극 → 심박수, 수축력 증가 (큰 아버지)

β₂ 천식오빠 : 기관지 확장, 혈당 상승 → 천식약 작용

β₃ 어린동생 : 방광 배뇨근 이완 → 요실금 관련

아드레날린 작용제

구분해당 약물작용
직접 작용제– 에피네프린 (epinephrine)
–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 이소프로테레놀 (isoproterenol)
– 도파민 (dopamine)
– 도부타민 (dobutamine)
– 옥시메타졸린 (oxymetazoline)
– 기관지확장제 (albuterol, metaproterenol, terbutaline, salmeterol, formoterol, indacaterol)
– 미라베그론 (mirabegron)
– α, β : 쇼크, 심정지, 천식, 아나필락시스 알레르기
– α>β : 혈압 상승
– β₁: 심박동수↑, 수축력↑, 기관지확장
– α, β : 말초저항↑, 수축력↑ → 혈압↑
– β₁ : 심박출량 증가
– α₁: 비충혈감소
– β₂: 기관지 확장제

– β₃: 과민성 방광 치료
간접 작용제암페타민 (amphetamine)
코카인 (cocaine)
NE 방출 증가, CNS 흥분 증가
NE 수송체 차단 → NE, Epi 효과 증가
혼합 작용제에페드린 (ephedrine)
슈도에페드린 (pseudoephedrine)
CNS 흥분작용 코, 비강의 충혈치료

아드레날린 길항제

구분해당 약물작용
α 길항제– 펜토라민 (phentolamine)
– 고혈압 치료제 : prazosin, terazosin, doxazosin
– 전립선비대증 치료제: alfuzosin, tamsulosin
– α₁, α₂: 크롬친화세포종 진단
– α₁: 세동맥 혈관 평활근 이완, 혈압저하
– α₁: 방광, 전립선, 요도 평활근 이완
β 길항제– 선택적 β₁ 길항제 : acebutolol, atenolol, bisoprolol, esmolol, metoprolol
– 비선택적 β 길항제 : propranolol, sotalol, timolol, nadolol
– β₁: 폐기능 손상된 고혈압 환자에 적합
– β₁, β₂: 고혈압, 편두통, 협심증, 부정맥, 심장기능상실, 심근경색, 녹내장, 갑상선기능항진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