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여성간호학) 고혈압성 건강문제 01 임신성 고혈압

(여성간호학) 고혈압성 건강문제 01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고혈압

– 정의 : 임신 20주 이후 고혈압(140/90mmHg 이상)이 진단된 경우

– 3대 증상 : 고혈압, 단백뇨, 부종

자간전증 → 자간증 이행 암시증상 : 심하고 지속적인 두통, 희미한 시야, 핍뇨, 단백뇨 증가(24시간 소변 : 300mg 이상), 우측 상복부 동통

자간증 : 자간전증의 심각한 형태, 발작과 경련을 동반

경한 자간전증(Mild preeclampsia)중증 자간전증(Severe preeclampsia)자간증(Eclampsia)
혈압· 140/90mmHg 이상
· 평소 혈압이 30/15mmHg 이상 증가
· 160/110mmHg 이상
· 평소 혈압이 60/30mmHg 이상 증가
· 수축기 혈압 180~200mmHg
소변· 단백뇨 : 초기에 거의 나타나지 않거나 소량 ≤1+· 단백뇨 : ≥25g/L(24h), 2번 이상 ≥3+
· 핍뇨 : 500mL/24h 이하
· 심한 단백뇨
· 핍뇨, 무뇨
부종· 전신 부종은 약간
· 손·발, 안검 부종
· 요흔성 부종(Pitting edema)
· 전신 부종(내피세포 손상에 의해 세포외액의 저류)
· 폐부종
· 현저하거나 없기도 함
그 외 증상· 심한 체중 증가(조직 내 수분 축적)· 심하고 지속적인 두통, 심와부 통증
· 망막 출혈, 협착, 삼출물, 광민감증
· HELLP syndrome(용혈 : Hemolysis, 간 효소 증가 : Elevated Liver enzyme, 저혈소판증 : Low Platelet)
· 경련
· 혼수상태
· 체온 상승

– 치료 : 산전관리를 통한 조기발견, Roll over test

구분내용
목표· 임신부와 태아에게 최소한의 손상을 주면서 임신을 종결, 생존 가능한 태아 분만
통원 시 간호(경증 자간전증)· 혈압 150/100mmHg 이하, 단백뇨 1g/24h 이하 혹은 3+ 이하, 혈소판 120,000/㎣ 이상, 태아 정상 성장
· 활동 제한, 침상안정, 성생활 자제
· 무자극검사는 2주에 한 번씩 병원 방문하여 실시
· 매일 혈압과 체중 측정(하루에 1.4kg, 3일간 1.8kg 이상 증가 시 주의), 소변검사로 단백량 측정
· 균형 잡힌 식이, 단백질 섭취 증가, 적절한 염분이 함유된 식이
입원 시 간호· 경련 조절 위해 자극 최소화
– 절대안정 : Side rail 올려줌, 좌측위(하대정맥의 압박 감소 → 태반으로 가는 혈류 증가)
– 방을 어둡게 하고 소음 피하며, 외부인 방문 제한
· 3~4주 간격으로 초음파 촬영, 태아 폐성숙 확인을 위한 양수 촬영
경련 시 간호· 좌측위 : 구토물의 기도 흡인 방지, 대정맥 압박 감소
· 경련 후 산소 공급, 흡인기로 이물질 제거
· 태아심음 청취
· 이후 발작예방 위해 황산 마그네슘 정맥 투여, 고혈압 조절
투약 /
Magnesium sulfate (황산 마그네슘)
· 중추신경계 억제 → 경련 조절, 혈관 확장 → 혈압 하강
· 독성 : 갑작스런 저혈압, 슬개건반사 소실, 소변량 감소(25ml/h 이하), 호흡수 감소(12회/min 이하), 맥박 저하, 태아심음의 갑작스런 감소(치료적 Level → 4.0~7.5mEq/L)
· 독성 보이면 Calcium gluconate 1g 천천히 정맥 투여
· 투약 중지 : 호흡수 12~14회/min 이하, 슬개건반사 소실될 때, 맥박과 혈압이 계속 떨어질 때
Hydralazine (혈압 하강제)· 이완기압이 110mmHg 이상일 때 사용
· 치료적 수준 : 90~100mmHg 사이
이뇨제· 되도록 사용 안 함(혈관내 용적을 더욱 감소시켜 태반관류에 악영향을미침)
기타· 스테로이드 제제(태아 폐성숙), 진정제, Methergine(혈압 상승 → 투여 금기)
분만· 분만은 자간증의 확실한 치료방법, 질식분만을 우선적으로 고려(혈장 부족, 혈액 소실에 매우 민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