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임신성 당뇨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1) 정의
- 임신으로 인한 생리적 변화에 의해서 임신 중 발견되고 출산 후 회복되는 당뇨
(2) 당뇨의 영향
① 임부에 미치는 영향
- 감염 위험 증가(비뇨기계 감염, 모닐리아성 질염)
- 임신성 고혈압(자간전증)
- 당뇨병성 산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 산후출혈, 케톤산증
- 거대아로 인한 난산, 양수과다증
② 태아에 미치는 영향
- 거대아
- 저혈당증
- 고인슐린혈증
- 저칼슘혈증
- 호흡곤란증
- 고빌리루빈혈증
- 선천성 기형
③ 임신이 당뇨에 미치는 영향
- 태반락토겐(human Placenta Lactogen, hPL), 성장호르몬(Somatotropin) : 인슐린 저항성 초래
→ 인슐린 요구량 증가 → 요구량에 미치지 못하면 임신성 당뇨 초래 - 임신 시기별 인슐린 요구량 변화
임신 시기별 인슐린 요구량 변화
| 임신 시기 | 변화 내용 |
|---|---|
| 임신 1기 | 뇌하수체저엽 호르몬 감소, 임부의 칼로리 섭취는 보통 감소로 인슐린 요구량 감소 ↓ |
| 임신 2기 | 태반 호르몬의 항인슐린 성질 때문에 인슐린 요구량 증가 ↑ |
| 임신 3기 | 태반 호르몬의 증가로 요구량이 현저히 증가 ↑ |
| 분만 | 분만 시 어려움과 신진대사 증가로 요구량 감소 ↓ |
| 분만 후 | 태반 호르몬 감소로 요구량 현저히 감소 ↓, 산후감염 있으면 인슐린 요구량 증가 ↑ |
(4) 치료
- 24~28주에 선별검사(50g 경구 당부하 검사) 시행
- 양성 시
- 1시간 후 혈장 내 혈당 140mg/dL 이상,
- 고위험 산모 130mg/dL 이상일 경우
→ 100g 경구 당부하 검사 시행- 공복혈당·1·2·3시간 후 혈당 중 2개 이상 증가 시 당뇨로 진단
- 단, 하나만 증가되어 있으면 32주에 재검
- 공복혈당 ≥95
- 1시간 혈당 ≥180
- 2시간 혈당 ≥155
- 3시간 혈당 ≥140
- 영양 요구량은 비당뇨성 임부와 동일
- 탄수화물 40~50%
- 지방 30~35%
- 단백질 20~25%
- 혈당지수 높은 음식 피하기, 규칙적 식사
- 필요 시 인슐린 사용
- 경구용 혈당강하제 금기 → 태아 기형 위험 때문
- 규칙적 운동 권장
- 고혈압성 합병증 있으면 금지
- (여성간호학) 임신성 당뇨
- (여성간호학) 고혈압성 건강문제 01 임신성 고혈압
-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3 의약품관리
-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3 환경관리 물품관리
- (간호관리학) 간호단위관리 02 환자간호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