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학) 가족계획 : 피임 01

(여성건강간호학) 가족계획 : 피임 01

가족계획의 의미

– 가족계획 : 여성의 전 생애주기 동안 언제 임신을 할지, 언제 임신을 피할지에 대해 계획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부모의 건강, 가정의 경제적 능력, 부모의 자녀 양육 등을 고려해 출산계획을 세우는 것

– 출산을 위해 고려해야 할 3요소 : 여성의 출산연령, 출산간격, 자녀수

이상적인 출산 연령 : 20~34세

  • 20세 이전의 출산
    • 생식기를 포함한 신체적 발달이 미성숙
    • 정서적으로 미성숙하여 어머니 역할 획득에 어려움 있음
  • 35세 이상의 고령임신
    • 난자의 수 감소와 기능 저하
    • 호르몬 분비 감소로 인한 자연 수태능력 감소
    • 태아 유전질환 발생의 증가
    • 모체의 출산 시 합병증 위험이 증가

출산간격 : 모성의 영양문제, 산후 호르몬 불균형 문제, 사회경제적 요인 등 고려해서 결정

– 부적절한 출산간격

  • 조산아 및 저출생체중아의 증가
  • 태아발육지연 증가
  • 신생아 및 영아사망 등 출산전후기 사망률 증가
  • 모성사망률 증가와 관계 있음

피임

– 피임 : 의도적으로 임신을 예방하는 것

– 피임에서 강조되어야 할 점

  • 피임은 생명을 귀중히 여기고 책임지면서 더 큰 즐거움을 얻기 위한 것
  • 피임의 방법은 몸의 법칙을 알고 활용하는 방법이어야 함
  • 여성생리는 일정한 주기가 있고 배란기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이런 법칙을 익혀 여성이 자기 몸의 주인이 되어야 함
  • 피임의 책임은 반드시 남성과 여성이 함께 가져야 함

→ 어떠한 피임법도 단점이 있기 때문에 가장 안전하고 완벽한 피임방법은 없음

– 다양한 피임방법의 장점과 단점을 잘 파악하여 자신의 몸 상태나 여러 조건에 적합한 피임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

자연가족계획

– 수정인식방법

– 난자가 배란 후 수정이 가능한 12~24시간의 성교를 피하는 방법

– 방법

  • 월경기반법(월경력법, 표준일법)
  • 증상기반법(2일법, 기초체온법, 자궁경부점액관찰법, 증상체온법)

– 장점

  • 비용이 저렴
  • 화학물질과 호르몬을 사용하지 않음

– 조건 : 생리주기에 대해 정확한 기록이 있어야 함

– 실패율 : 24%

월경기반법(월경력법, 표준일법)
(1) 월경력법

– 조건

  • 월경 주기 중 배란은 다음 월경시작 전 14±2일에 발생
  • 정자는 자궁과 나팔관에서 60~72시간 생존
  • 난자의 수정능력은 배란 후 24시간(최대 48시간)

– 방법 : 최소 6개월간 계속 각 월경주기를 달력에 기록하여 시작함

– 계산방법 : 가장 짧은 월경주기에서 18을 뺀 수가 금욕을 시작하는 첫날이며, 가장 긴 월경주기에서 11을 뺀 수가 수정이 가능한 마지막날

예) 가장 짧은 월경주기가 24일, 가장 긴 월경주기가 30일 경우

24일 – 18 = 6일, 30일 – 11 = 19일 → 6일째부터 19일까지 금욕

(2) 표준일법

– 월경력법을 수정한 방법 : 월경주기가 언제나 26~32일 사이인 여성만 사용

– 수정이 가능한 날이 8~19일째 고정되어 있다고 보고

  • 예) 월경주기의 처음 7일 동안은 안전기
  • 8일째 날부터 19일째 날까지는 가임기 = 금욕기간
  • 20일째 날부터 다시 안전기

-첫 해 최저실패율 : 5%

증상기반법(2일법, 기초체온법, 자궁경부점액관찰법, 증상체온법)
(1) 2일법

– 근거 : 자궁경부 분비물을 관찰하여 기록하는 것 (배란 시 자궁경부 분비물이 묽으며, 점성도도 낮음)

– 방법 : 어제와 오늘 2일간 자궁경부 분비물이 없었다면 피임없이 성관계 가능

– 최저실패율 : 4%

(2) 기초체온법(basal body temperature, BBT)

– 배란 전과 후에 체온의 자연적인 변화에 의해 배란을 예측하는 방법

– 근거 : 배란 후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체온을 상승시킴

– 방법

  • 음식 · 운동 · 감정 변화 등 기초체온변화에 조건이 없는 상태로 매일 아침, 같은 시간에, 침상에서 일어나기 5분 전, 구강으로 체온 기초체온표에 표시
  • 감염, 과로, 불면, 불안, 성교 여부가 기초체온에 변화를 줄 수 있어 측정표에 기록해둠

– 일반적인 기초체온패턴

  • 배란 전 : 36.6도 이하
  • 배란 즈음 : 기초체온이 약간(0.5도) 감소
  • 배란 후 : 그 이상을 유지

– 결과 분석

  • 배란 : 월경주기의 6일째부터 측정하였던 체온보다 체온이 0.2~0.5도 정도 3일 연속 높으면 배란이 된 것임
  • 체온이 상승된 배란 후 3일 저녁부터 월경이 시작될 때까지 성교를 해도 안전함
  • 만약 2주 이상 연속 상승은 임신 가능성
(3) 자궁경부점액관찰법(cervical mucous test)

– 근거

  • 월경주기 동안 경관점액이 변화하는 것에 기초
  • 배란 시와 배란 전(에스트로겐의 영향)
  • 배란 후(프로게스테론의 영향)의 점액이 변화

– 점액변화양상

월경 후 2~4일 동안경부가 점액을 형성하지 않아 건조
배란이 가까울수록다량의 많고, 달걀의 흰자 같은 분비물
배란 후점액의 점도 높아 진득함
배란 후 7~12일의 월경주기 마지막 날까지건조
(4) 증상체온법(symptothermal method)

– 방법 : 3가지를 병용하는 방법

  • 월경주기에 나타나는 생리적 및 심리적인 증상을 인지
  • 기초체온
  • 경부점액관찰법

– 실패율 : 0.4%

yongyong

Recent Posts

(여성건강간호학) 가족계획 : 피임 03

(여성건강간호학) 가족계획 : 피임 03 피임 (계속) 호르몬 피임법 - 저용량의 호르몬(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요법으로 피임을 유도함 -…

1시간 ago

(여성건강간호학) 가족계획 : 피임 02

(여성건강간호학) 가족계획 : 피임 02 피임 (계속) 차단피임법 - 정자와 난자 시이 벽(barrier)을 형성하여 임신을 예방하는…

4시간 ago

(여성건강간호학) 태아건강사정 04

(여성건강간호학) 태아건강사정 04 생물리학적 사정 (계속) 태아감시와 태아 심박동 양상 (계속) 기타 사정방법 (1) 태아자극 방법…

9시간 ago

(여성건강간호학) 태아건강사정 03

(여성건강간호학) 태아건강사정 03 생물리학적 사정 (계속) 태아감시와 태아 심박동 양상 (계속) 분만 중 태아 감시 ①…

1일 ago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간호 03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간호 03 간호과정 간호과정 : 중재(양성증상 간호) 망상…

3일 ago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간호 02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간호 02 관련 질환 기타 조현병 스펙트럼장애 :…

3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