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계획 : 여성의 전 생애주기 동안 언제 임신을 할지, 언제 임신을 피할지에 대해 계획적인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부모의 건강, 가정의 경제적 능력, 부모의 자녀 양육 등을 고려해 출산계획을 세우는 것
– 출산을 위해 고려해야 할 3요소 : 여성의 출산연령, 출산간격, 자녀수
– 이상적인 출산 연령 : 20~34세
– 출산간격 : 모성의 영양문제, 산후 호르몬 불균형 문제, 사회경제적 요인 등 고려해서 결정
– 부적절한 출산간격
– 피임 : 의도적으로 임신을 예방하는 것
– 피임에서 강조되어야 할 점
→ 어떠한 피임법도 단점이 있기 때문에 가장 안전하고 완벽한 피임방법은 없음
– 다양한 피임방법의 장점과 단점을 잘 파악하여 자신의 몸 상태나 여러 조건에 적합한 피임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
– 수정인식방법
– 난자가 배란 후 수정이 가능한 12~24시간의 성교를 피하는 방법
– 방법
– 장점
– 조건 : 생리주기에 대해 정확한 기록이 있어야 함
– 실패율 : 24%
– 조건
– 방법 : 최소 6개월간 계속 각 월경주기를 달력에 기록하여 시작함
– 계산방법 : 가장 짧은 월경주기에서 18을 뺀 수가 금욕을 시작하는 첫날이며, 가장 긴 월경주기에서 11을 뺀 수가 수정이 가능한 마지막날
예) 가장 짧은 월경주기가 24일, 가장 긴 월경주기가 30일 경우
24일 – 18 = 6일, 30일 – 11 = 19일 → 6일째부터 19일까지 금욕
– 월경력법을 수정한 방법 : 월경주기가 언제나 26~32일 사이인 여성만 사용
– 수정이 가능한 날이 8~19일째 고정되어 있다고 보고
-첫 해 최저실패율 : 5%
– 근거 : 자궁경부 분비물을 관찰하여 기록하는 것 (배란 시 자궁경부 분비물이 묽으며, 점성도도 낮음)
– 방법 : 어제와 오늘 2일간 자궁경부 분비물이 없었다면 피임없이 성관계 가능
– 최저실패율 : 4%
– 배란 전과 후에 체온의 자연적인 변화에 의해 배란을 예측하는 방법
– 근거 : 배란 후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이 체온을 상승시킴
– 방법
– 일반적인 기초체온패턴
– 결과 분석
– 근거
– 점액변화양상
월경 후 2~4일 동안 | 경부가 점액을 형성하지 않아 건조 |
배란이 가까울수록 | 다량의 많고, 달걀의 흰자 같은 분비물 |
배란 후 | 점액의 점도 높아 진득함 |
배란 후 7~12일의 월경주기 마지막 날까지 | 건조 |
– 방법 : 3가지를 병용하는 방법
– 실패율 : 0.4%
(여성건강간호학) 태아건강사정 04 생물리학적 사정 (계속) 태아감시와 태아 심박동 양상 (계속) 기타 사정방법 (1) 태아자극 방법…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간호 03 간호과정 간호과정 : 중재(양성증상 간호) 망상…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간호 02 관련 질환 기타 조현병 스펙트럼장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