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학) 레오폴드 복부촉진법

(여성건강간호학) 레오폴드 복부촉진법

레오폴드 복부촉진법

– 임신 말기(28주 이후, 어느 정도 태아가 커야 함을 의미) 복부촉진으로 태아의 태위, 태향, 선진부 진입 정도를 사정하기 위해 시행

태위(Fetal Lie)

– 모체의 장축(척추)와 태아의 장축(척추) 사이 관계

– 예) 종위(두위, 둔위), 횡위

종위(두위, 둔위), 횡위

태향(Fetal position)

– 태아의 선진부의 지적부위(후두골, 천골 등을 말함)와 모체 골반과의 전후좌우면 관계

선진부

모체의 골반입구를 제일 먼저 들어가는 태아의 부위

레오폴드 복부촉진법의 준비

– 손을 씻는다.

– 임부에게 방광을 비우도록 한다.

– 머리는 베개를 베고 앙와위를 취하며 구릎을 구부리고 눕는다.

– 앙와위성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 둔부 아래에 작은 쿠션을 넣어 약간 기울인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 검진자는 임부와 마주보고 서서 단계별로 복부검진을 실시한다.

1단계

1단계

촉진방법

– 시술자는 임부의 머리 쪽을 본다.

– 자궁바박에 양손을 두고 손가락을 구부려 촉진한다.

– 자궁바닥에서 태아의 부분을 확인한다(태위, 선진부).

촉진 후 결과

1. 태아 부분이 둥글고 딱딱하게 만져지며 움직인다. 두 손 사이, 혹은 한 손의 엄지와 시지 사이에 부구감이 있다. (둔위)

둔위

2. 태아 부분이 불규칙하게 만져지고 크거나 두드러지게 튀어나온 엉덩이를 느낀다. 머리보다는 덜 딱딱하게 만져지고 부구감을 쉽게 판별할 수 없다. (두위)

두위

3. 상기 어느 것도 아니다. (횡위)

횡위

2단계

2단계

촉진방법

– 시술자는 계속 임부의 머리 쪽을 본다.

– 치골결합과 자궁바닥 사이로 자궁의 양측에 손을 둔다.

– 좌우 중 어느 한쪽 손에 압력을 가하여 복부의 반대쪽으로 태아를 밀어 부분을 촉지하고 다시 반대로 한다.

– 양손을 복부중앙선에서 양측 옆쪽으로 두고 치골결합에서 자궁바닥 쪽으로 촉진한다.

촉진 후 결과

1. 단단하고 두드러진 덩어리(convex)나 계속적으로 완만한 저항이 있는 덩어리가 촉진된다.

1-1. 태아의 등이며, 등이 임부의 좌우 어느 쪽에 있는지에 따라 태위와 선진부가 결정되며, 종위이다.

2. 작고 불규칙하며, 움직이는 덩어리가 있고 검사자의 손가락을 칠 수 있다.

2-1. 태아의 소부분으로 지적되며 태아의 손, 다리, 무릎, 팔꿈치이다. 태아의 등이 있는 반대편이 된다.

3. 복부 전면에 작은 덩어리가 만져지고 태아의 등을 만지기 어렵다.

3-1. 후방위(posterior position)이다.

3단계

촉진방법

– 계속 임부의 얼굴을 향한다.

– 임부의 무릎을 구부려 불편감을 적게 한다.

–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벌려 치골결합 상부인 하복부를 잡는다.

– 둔부인지, 머리인지 감별하기 위해 1단계처럼 모양, 크기, 강도를 촉진한다.

촉진 후 결과

1. 1단계의 결과를 확인한다.

1-1. 1단계와 3단계의 결과를 비교하여 태위와 선진부를 결정한다.

2. 선진부가 머리인 경우에 진입 현상이 일어났을 때는 쉽게 움직이지 않는다. 진입이 안 된 경우에는 1단계처럼 쉽게 움직이고 부구감이 있다.

2-1. Pawlik 촉진법 : 한 손은 자궁바닥에 두고 다른 한 손은 치골결합부에 두고 동시에 자궁의 양쪽 극을 촉진하여 태아의 어느 부분인지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4단계

촉진방법 1

– 몸을 돌려 임부의 다리 쪽을 본다.

– 임부의 무릎을 구부려 불편감을 적게 한다.

– 배꼽 아래로 자궁의 양쪽에 각기 한 손씩, 즉 손가락을 치골결합을 향해 놓는다.

촉진 후 결과 1

1. 머리가 선진부라면 한 손은 둥근 돌출 부위를 만지고 다른 한 손은 골반강을 향해 그대로 평이하게 내려간다.

1-1. 돌출부가 태아 머리의 돌출부이며 태아의 등과 같은 쪽에 있으면 태아 머리가 신전된 것을 의미하며 안면위이다. 돌출부가 태아의 등과 서로 반대로 위치하면 태아 머리가 굴곡된 것을 의미하며 두정위이다.

두위

촉진방법 2

– 세 손가락으로 끝으로 골반강을 향해 하복부를 깊이 누른다.

– 둔위이거나 태아 머리의 돌출부(cephalic prominence)를 촉진한 후에는 치골결합 때문에 양손이 골반강을 향해 더 내려갈 수 없다.

촉진 후 결과 2

2. 두 손이 동시에 하복부 양쪽에서 단단한 둥근 덩어리를 만진다. 양손의 세 손가락 끝으로 태아 선진부를 촉지한다. 선진부가 머리인 경우 머리가 잘 움직이고, 둔부인 경우 태아의 몸체와 함께 움직이는 느낌이 있다.

2-1. 둔위이다. 선진부가 진입이 안 되어 있고 골반입구 상부에 있다.

두위

3. 선진부의 움직임이 없다.

3-1. 선진부가 진입되거나 골반강내에 있다. 만일 태아 머리의 돌출부를 만지지 못하면 머리는 진입된 상태이다.

요약

1단계자궁저부에서 촉진되는 것이 태아의 머리인지 엉덩이인지를 확인
2단계자궁 좌우를 촉진하여 등과 팔 다리를 구분
→ 한쪽에서 단단하고 부드러운 덩어리(등)와 반대편에서 작고 불규칙한 움직이는 덩어리(팔, 다리)가 촉진되면 확실한 종위
3단계치골결합 상부를 촉진하여 (1단계와 3단계의 결과를 비교하여) 태위와 선진부를 결정
→ 태위와 선진부의 골반 진입여부 확인
결과) 진입이 일어난 경우 움직이지 않음, 진입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부구감 있음
→ 태위와 태향 결정, 선진부 진입 여부 확인
4단계치골상부를 깊숙이 촉진하여 선진부 하강정도와 아두상태(굴곡, 신전, 진입)을 흡인
결과) 선진부의 움직임이 없으면 진입. 진입되지 않았다면 골반강내 있음
→ 선부의 하강정도 확인
yongyong

Recent Posts

글래스고 혼수척도 (Glasgow Coma Scale ,GCS)

글래스고 혼수척도 (Glasgow Coma Scale ,GCS) 글래스고 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 GCS)는 의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18시간 ago

(간호실습) 손상 시 동공 상태

(간호실습) 손상 시 동공 상태 동공반사 동공반사(瞳孔反射, pupillary reflex)는 눈으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22시간 ago

(간호실습) 중환자실 기기

(간호실습) 중환자실 기기 인공호흡기(ventilator) 자발호흡이 어려운 환자에게 인공기도를 통해 호흡을 돕는 장비입니다.인위적으로 폐에 공기와 산소를…

23시간 ago

AI 로봇 간호사 임상 활약 (한림대의료원 커맨드센터)

AI 로봇 간호사 임상 활약 (한림대의료원 커맨드센터) 한림대성심병원에서 운용 중인 AI 간호 로봇 관련 영상…

2일 ago

(간호관리학) 인적자원의 개발관리

(간호관리학) 인적자원의 개발관리 교육프로그램의 유형 1) 교육 장소에 의한 분류 (1) 직장 내 훈련 -…

7일 ago

(간호관리학) 인적자원의 확보관리

(간호관리학) 인적자원의 확보관리 - 인적자원의 확보관리는 인력수여 예측, 모집, 선발, 배치가 포함된다. 간호인력 수요예측 1)…

7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