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 : 태아와 부속물(Passenger)과 만출력(Power), 산도(Passage)가 조화롭게 존재할 때
– 분만요소 : 5P
– 골반은 위로는 척추, 아래는 양쪽 하지에 연결되고 제5요추와 좌우 대퇴골 중간에 위치한 원형의 뼈로, 골반입구와 골반강, 골반출구로 나뉘어져 있고, 출산시 태아가 통과하는 산도가 된다.
① 골반뼈의 구조
– 무명골 또는 관골(볼기뼈) : 2개
– 천골 : 1개
– 미골 : 1개
② 골반의 관절과 인대
– 4개의 관절 : 좌우 2개의 천장골관절, 치골결합(두덩결합), 천미관절
– 아두 만출 시 앞뒤로 움직여 태아만출 도움 → 임신 시 호르몬 영향으로 섬유연골 비후, 유연해져 관절 유연성이 증가하므로 골반 골격 가동성을 증가시켜 요통 등의 불편감을 수반
③ 골반의 구분
– 골반 분계선 : 골반입구로 가골반과 진골반 구분
– 가골반 : 골반 분계선 상부의 부분으로, 분만 과정과는 관계 없으며 외부 골반 측정 기준점
– 진골반 : 골반 하부 깊은 부분으로, 태아 출생 시 산도를 형성
④ 골반의 종류
⑤ 골반측정
– 골반입구 사정
– 중골반 사정
– 골반출구 사정
– 자궁의 구분
– 생리적 수축륜 : 자궁상부와 자궁하부 사이에 경계
– 병리적 수축륜 : 분만과정에서 자궁하부가 극도로 얇아지면서 치골결합과 배꼽 사이에 발생하는 수축륜
① 태아 두개골의 구성 : 2개의 전두골, 2개의 두정골, 2개의 측두골, 1개의 후두골
② 봉합 : 두개골이 만나는 부위의 점막성 봉합으로 출생 후 골화
③ 천문
– 대천문 : 시상봉합 · 관상봉합 · 전두봉합의 교차점으로, 다이아몬드 형이며 생후 16~18개월에 닫힘
– 소천문 : 시상봉합과 인자봉합의 교차점으로, 삼각형 모양이며 생후 6~8주 경에 닫힘
④ 아두변형
⑤ 두개골의 주요경선
– 대횡경선(양두정골경, biparietal diameter, BPD) : 좌우 두정골 간 거리, 평균 9.25cm
– 소횡경선(양측두골경, bitemporal diameter, BTD) : 좌우 관상봉합 간 거리, 8cm
– 소사경선(suboccipitobregmatic diameter, SOB) : 후두결절 하방 함몰부~대천문 중앙, 아두의 완전 굴곡 시 최소경선, 9.5cm
– 대사경선(supraoccipitomental diameter, SOM) : 턱 끝~후두 최대거리, 아두 완전 신전 시 거리, 13.5cm
① 태세 : 태아 신체 각 부분, 머리 · 몸통 · 사지 상호 관계
② 태위 : 태아 장축과 모체 장축의 관계
③ 선진부 : 모체 골반 입구에 제일 먼저 들어가는 태아의 신체 부위
④ 태향 : 선진부 지적 부위와 모체 골반의 전후 좌우 면과의 관계로, 선진부 지적부위의 첫 글자로 기술하며 태향 결정 시 모체가 기준
⑤ 동고정위와 부동고정위
– 불수의적인 자궁수축
– 자궁수축 : 경관의 소실, 개대 및 태아하강에 영향을 줌
① 소실 : 자궁경관의 길이가 짧아지고 두께가 얇아지는 것
② 개대 : 자궁경관이 확장되는 것
–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산부는 아래로 힘을 주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것
– 수의적으로 밀어내는 힘
– 산부의 임신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
– 분만절차에 대한 정보
– 의미 있는 사람으로부터 받는 지지와 신뢰
– 자신감과 통제력
– 좋은 자세는 피로를 경감시키고 안위를 증가
– 직립, 보행, 앉기, 쪼그리고 앉기, 손 짚고 무릎 꿇기
(성인간호학) 혈관계 (동맥) 건강문제와 간호 02 동맥질환 동맥류(Aneurysm) 정의 및 특성 ① 동맥벽이 탄력성을 잃어…
(성인간호학) 혈관계 (동맥) 건강문제와 간호 01 혈관계 구조와 기능 - 체순환, 폐순환으로 이루어진 폐쇄회로 -…
고나트륨혈증 - 저나트륨혈증 - 고칼륨혈증 - 저칼륨혈증 - 고칼슘혈증 - 저칼슘혈증 고나트륨혈증 - 저나트륨혈증 항목고나트륨혈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