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여성건강간호학) 분만 1기 2기 간호

(여성건강간호학) 분만 1기 2기 간호

분만 1기 산부간호

(1) 산부의 안녕 사정

① 배설간호 : 3~4시간마다 배뇨(방광팽만 시 태아 하강 방해, 자궁수축 저해, 분만지연, 불편감, 산후출혈, 산욕기 요정체의 원인이 됨), 분만 1기 활동기에는 분만 우려 있으므로 침상 변기 사용, 관장 실시(금기 : 급속분만, 분만진행 속도 빠른 경우, 질 출혈이 있는 산모, 병리적 견축륜이 있는 산모, 진입되지 않은 두정위와 횡위, 분만 2기 증상(팽윤, 발로 등) 보임, 경관이 10cm 가까이 개대되었을 때)

② 수분 공급, 지지간호

(2) 태아의 안녕 사정: 태아곤란증 주의

① 태아 심박동 120회 이하, 160회 이상

② 과도한 태동, 부정맥, 자궁수축 끝난 후 태아 서맥의 30초 이상 비정상적인 지속

③ 두정위이면서 태변이 배출될 때(둔위 시에는 정상 증후)

④ 자궁수축 지속시간 90초 이상 → 산소 공급 감소

⑤ 자궁수축 간격 2분 이하 → 혈액순환 저하

⑥ 75mmHg 이상의 자궁내압

⑦ 중재 : 측위(귀환혈량 증가), 다리 90도로 상승 또는 Trendelenburg position(제대 압박 감소), 산소 투여(산소포화도 높은 혈액을 태아에게 제공하기 위함)

(3) 분만진행의 파악

이슬(시트의 패드 자주 교환, 회음부 깨끗 · 건조하게 유지), 통증의 위치(분만진행에 따라 내려옴), 태향(내회전), 산부의 행동 변화(아기가 나올 것 같다고 호소, 요의 · 변의 표현)

(4) 산부의 편안함과 지지간호

① 측위가 필요한 경우: 모체의 체위성 저혈압, 태아곤란증, 심한 자간전증, 자간증, ROP – 측위, LOP – 좌측위

② Lamaze 호흡법(흉식호흡) : 태아에게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함 (24기출), 산과손상 예방

③ 시기에 따른 호흡법

단계내용
잠재기(Latent phase)자기호흡의 1/2 속도로 느린 흉식호흡
활동기(Active phase)필요시 빠르고 얕은 흉식호흡
이행기(Transition phase)빠르고 일정한 호흡 : 히-히-히-후-히-히-히-후
단점 : 과호흡으로 인한 호흡성 알칼리증
→ 손, 발이 저리고 얼얼함,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움
→ 봉지로 코와 입을 감싸서 호흡하도록 함

3) 분만 2기 산부간호

(1) 힘주기

① 6~7초 이상 힘주기 금지(태아 산소 공급 곤란), 성문 연 채로 저절로 힘주어질 때만 힘주기

② 발로 시, 두 다리를 충분히 구부려 배 가까이에 대어 짧게 흉식호흡

③ 만출되려고 하는 순간에는 길게 호흡하게 하여 대변보듯이 힘주기

(2) 분만시 이송

① 초산부 : 자궁경관 완전 개대 후, 회음부 팽윤되고 발로 초기에 이송

② 경산부 : 자궁경관 7~8cm 개대되었을 때 빠르게 이송

(3) 리트겐 수기법(Ritgen’s maneuver)

: 회음절개술 후 아두의 신전을 도와 태아 머리가 가장 작은 직경으로 질 입구를 통과하게 함, 아두 만출의 속도 조절로 회음 열상 방지, 분만 촉진

(4) 제대 결찰

: 신생아가 만삭아인 경우 분만 후 제대박동 멈춤 후에 제대집게나 무명실 이용하여 제와 가까이에서 결찰

(5) 회음절개술

: 외음 사이에서 아두가 3~4cm 보일 때 시행, 분만 2기의 단축, 열상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