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학) 분만 3기 4기 간호
4) 분만 3기 산부간호
(1) V/S check, 자궁저부의 단단함, 혈액 손실, 태반 박리징후 사정
(2) 만출 태반의 사정
태반이 완전히 떨어졌는지 확인 → 남아있으면 자궁퇴축 방해하여 산후출혈의 원인
(3) 간호중재
① 자궁저부 마사지 : 자궁퇴축 증진(자궁근섬유 수축, 응고된 피 배출)
② 자궁수축제 투여
- 적응증 : 분만 1, 2기 지연이 있었던 경우, 자궁수축제 사용하여 유도분만한 경우, 고령의 다산부, 자궁이 과다하게 팽만된 경우, 분만 위해 과다하게 진통제나 마취제 사용한 경우
- Ergonovine(IV or IM), Methergine(IM) : 지속적인 경련성 자궁수축 자극 → 금기 : 태아 분만 전, 고혈압 산모
- 옥시토신 : 임신 말기와 분만 직후에 사용, 고혈압 산모에게 사용 가능 → 부작용 : 항이뇨 작용, 저혈압 · 빈맥(급속 주입 시 발생)
(4) 산모 열상 관리
: 출혈 증상 확인, 감염예방, 비타민 보충 식이, 질 세척 금지, 안정, 휴식
5) 분만 4기 산부간호
(1) 산모의 신체사정
사정 부위 | 사정 간격 | 결과 |
---|
자궁저부 | 15분마다 | ▷ 단단함과 위치 사정 – 분만 직후 : 제와부에서 2cm 아래 – 12시간 후 : 제와부에 위치, 이후 매일 1~2cm씩 하강 ▷ 부드러울 때 : 자궁저부가 단단해져서 복부 중앙에 위치할 때까지 마사지하고 혈괴(Blood clot)를 배출시킴 ▷ 우측으로 치우쳐 있을 때 : 방광팽만 확인 |
오로 및 회음부 | 15분마다 | – 15분 내에 패드가 푹 젖거나 둔부 아래 혈액이 고이는 경우 : 계속적으로 혈액 손실량, 활력징후, 안색 등을 관찰 – 피가 계속 흘러나가 분출되는 양상 : 질이나 경관에 열상 있는지, 회음 봉합 부위에 결찰되지 않은 혈관 있는지 확인 – 회음절개 봉합부위와 회음부 정상 상태 : 깨끗함, 봉합된 실 있음, 부종, 변색 |
혈압 | 태반 만출 직후부터 안정될 때까지 최소한 15분마다, 그 후 30분마다 2회 측정 | – 흥분과 분만 시의 피로로 인해 약간 상승하나 1시간 이내에 정상으로 복귀 (상승 → 자궁수축제에 의한 반응, 자간전증 / 감소 → 과도한 혈액 손실 의심) |
맥박, 호흡 | 태반 만출 직후부터 안정될 때까지 최소한 15분마다 | – 분만 중 맥박보다 약간 느린 것이 정상 – 분만 후 24~48시간 동안 생리적 서맥 |
체온 | 최소한 1번 (처음 시작할 때 1시간 후, 4시간 간격으로 2회) | 감염증상이 없으면, 1℃ 정도의 체온 상승은 정상 |
방광 | 1시간마다 | – 자연배뇨 유도, 필요시 인공도뇨 – 방광팽만 : 자궁이완, 감염 위험, 소변정체 |
(2) 안정과 격려
: 최소한 2시간 정도는 침상 안정, 출산 직후의 오한에 대비
(3) 출혈 예방
① 원인 : 분만지연(난산), 옥시토신 투여, 급속분만, 거대아, 다태아, 양수과다증, PIH, 분만 시의 수술 과정(겸자분만, 흡인분만), 경부나 회음 열상, 태반조각의 자궁강 내 잔류
② 중재 : 자궁수축제 투여, 열상 시 봉합, 자궁저부 마사지, 방광 비우기, 태반조각 제거, 산모 정맥 주입경로 확보
(4) 배뇨간호
: 방광팽만 정도 사정(자궁을 우상방으로 밀어내 자궁근육의 수축 어렵게 하고 산후출혈 초래, 소변 정체와 감염 초래) → 적어도 3시간마다 배뇨 권장, 실패 시 인공도뇨 실시
(5) 간호 및 통증 관리
① 패드 교환 : 외음부는 앞쪽에서 뒤쪽으로 닦고 패드 교환 시 앞쪽에서 뒤쪽으로 빼냄
② 산후통 : 경산부, 다산부, 거대아, 다태아 출산, 수유부, 자궁수축제 투여했을 시 심함 → 방광 자주 비우기, 복부에 따뜻한 담요와 진통제, 이완 및 호흡 운동
③ 회음 절개부의 통증과 치질 : 얼음팩 적용, 측위
(6) 기타
: 수분 균형 유지, 모아관계 촉진(Critical period)
- (여성건강간호학) 임신전/후반기별 출혈 간호
- (여성건강간호학) 정상 산욕 간호 – 산욕여성 간호
- (여성건강간호학) 분만 3기 4기 간호
- (여성건강간호학) 분만 1기 2기 간호
- 30대 후반 여성의 산전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