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학) 임신생리

(여성건강간호학) 임신생리

1. 임신검사

– 융모성선자극호르몬(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 hCG는 임신 60~70일에 최고점에 달하며, 임신 80일 이후 점차 감소한다. hCG 수준의 비정상적인 증가 혹은 감소는 자궁외임신이나 유산이 임박함을 의미한다.

– 임부의 혈청과 소변을 이용

2. 임신에 대한 적응

1) 임신의 징후

시기(임신기간)징후임신 외 다른 원인
추정적 징후
3~4주유방의 변화월경 전 변화, 경구피임약
4주무월경스트레스, 과중한 운동, 조기폐경, 내분비계 문제, 영양 불량
4~14주구역과 구토소화불량
6~12주빈뇨감염, 자궁강 내 종양
12주피로스트레스, 질환
16~20주첫 태통장내가스, 장의 움직임
가정적 징후
5주구델징후골반강 내 출혈
6~8주채드윅징후골반강 내 출혈
6~12주헤가징후골반강 내 출혈
4~12주임신검사 양성(혈청)포상기태, 융모막 종양
6~12주임신검사 양성(소변)골반강 내 감염이나 종양으로 인한 위양성 반응
16주브랙스틴-힉스 수축자궁근종, 다른 종양
16~28주부구감종양, 자궁경부폴립(버섯종)
확정적 징후
5~6주초음파로 태아 확인다른 원인 없음
6주초음파로 태아심음 확인다른 원인 없음
16주방사선검사로 태아 확인다른 원인 없음
8~17주초음파 청진기로 태아심음 확인다른 원인 없음
17~19주태아심음청진기로 태아심음 확인다른 원인 없음
19~22주태아 움직임을 촉진으로 확인다른 원인 없음
임신 말기눈으로 태아 움직인 확인다른 원인 없음

2) 생식기계의 변화

(1) 자궁

크기, 모양, 위치의 변화

– 임신 1기 동안자궁은 고농도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으로 인하여 자궁벽이 증대된다. 이는 혈관증식과 증대, 자궁근섬유의 증식, 탈락막의 비후

– 임신 2기에 자궁벽은 공 모양이 된다.

– 임신 진행에 따른 자궁의 위치와 모양 변화

  • 임신 12~14주 : 치골결합 위로 올라옴
  • 임신 22~24주 : 배꼽 수준
  • 임신 36주 : 자궁바닥이 검상돌기 수준
  • 임신 38~40주 : 미산부는 분만 시작 2주 전에, 경산부는 분만 시작과 동시에 하강이 일어남

– 임신 6주에 자궁협부는 부드럽고 유연해짐(헤가징후)

수축력의 변화

– 임신 중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불규칙적인 무통성 수축은 브랙스턴-힉스 수축이라 하며, 임신 4개월 이후부터 복벽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이 수축은 자궁혈액 공급을 증진시키고, 결과적으로 태아에게 산소공급을 증진시킨다. 임신 28주 후 더욱 분명해짐. 임신 말기에는 분만 진통으로 오인. 가진통은 자궁수축의 강도나 빈도가 규칙적이지 않고 강도가 강하지 않아서 자궁경부개대를 초래하지는 않는다.

자궁-태반혈류

– 태아태반혈류가 빠르게 증가

– 자궁 혈류 속도는 500~600mL/분

– 태반관류(placental perfusion)는 임부 혈류에 의해 좌우

– 낮은 동맥압, 자궁수축력 그리고 임부의 자세(앙와위)

자궁경부 변화

– 임신 6주경 : 자궁경부의 끝부분이 부드러워지는 현상(Goodell’s sign)과 자궁경부, 질점막, 외음 등에 자주색의 변화(Chadwick’s sign)

– 자궁경부암검사 부위인 편평원주접합부가 자궁내구 쪽으로 상승 : 위음성으로 나타날 수 있음

– 미산부의 자궁경부는 원형이며, 자궁경부는 분만과정에서 대부분 열상이 발생한다.

태아 존재와 관련된 변화

– 부구감은 태아의 수동적 움직임을 말하며, 16~18주 사이에 확인

– 부구감 : 떠 있는 조직을 가볍게 두드리면 다시 튀어 오르는 느낌을 촉진하는 방법

– 경임부는 첫 번째 태동(quickening)을 14~16주에 확인할 수 있으나, 초임부는 18주 이후에도 태동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2) 질과 외음

– 질점막이 자주색을 띠는 채드윅징후(Chadwick’s sign)가 나타난다.

– 백대하(leukorrhea) : 백색 또는 옅은 회색을 띠는 점액성 분비물

– 점액마개 : 임신 중 박테리아 침입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하여 태아와 막이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고, 분만이 시작되면 이 점액마개가 배출되는데 이를 이슬이라고 한다.

– 상피의 글리코겐이 풍부하여 다른 감염, 특히 곰팡이에 감염되기 쉽다.

(3) 유방

–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시테론의 증가로 유방의 혈액공급이 증가하여 유방의 무게는 400g 정도 증가

– 유방의 피부표면에 임신선

– 임부의 유방은 민감하고 예민해지고, 저림과 무거운 느낌

– 유륜은 착색, 유두는 발기

– 지방샘인 몽고메리결절

– 유두를 매끄럽게 하고 유두를 보호

– 비누로 씻어버리면 유두의 보호기능이 없어진다.

– 임신 3개월 : 맑은 점성의 전초유, 임신 16주 : 초유 분비

3) 전신의 변화

(1) 심혈관계

– 임신 중 심장은 혈액량과 심박출량의 증가로 약간 비대되며 출산 후 본래의 정상 크기로 돌아온다.

– 심첨부(apiclal impulse)가 좌측 상방으로 약 1~1.5cm 올라간다.

– 말초혈액 증가로 혈관이 확장

– 맥박은 10~15회/분 증가

– 다태임신에서 임부의 심장박동은 임신 3기에 현저하게 증가

– 심방조기수축이나 심실조기수축과 같은 동성부정맥이 나타날 수 있다. 건강한 임부는 치료가 필요 없음

혈압

– 말초혈관 확장으로 정상적인 혈압을 유지

– 임부의 불안은 혈압을 높일 수 있다.

– 횡와위로 누운 자세보다 좌위에서 혈압을 잴 때 더 높게 나타난다.

– Roll-over test : 임신 28~32주 사이 임신성 고혈압 조기 발견하고 예방, 혈압이 안정될 때까지 좌측위에서 15~20분간 휴식을 취한 후 앙와위에서 즉시 혈압을 측정하고 다시 5분 이내에 혈압을 측정하여 해석한다. 양성결과는 이완압이 20mmHg 또는 그 이상 상승했을 때

– 임신 동안 심박출량은 임부가 취하는 자세에 따라 다르다.

– 체위성 저혈압증후군 : 장골정맥과 하대정맥을 누름으로써 하지의 정맥압은 상승되고 하지의 혈류는 감소된다. 이러한 변화는 임신 말기에 부종, 하지와 외음의 정맥류 그리고 치질을 일으킬 수 있다.

혈액량과 구성성분

– 임신 중 혈액량은 1,500mL(즉 혈장 1,000mL에 적혈구 450mL) 또는 40~45% 증가한다.

– 임신 32~34주부터 최고로 증가하여 40주에 감소한다.

– 자궁증대로 인한 혈관비대, 태아와 임부조직의 요구 증가와 분만과 산욕기 동안 혈액손실을 대비

– 생리적 빈혈 : 적혈구 증가보다 혈장의 증가가 더 높아 정상 혈색소 수치(비임신 시 정상치, 12~16g/dL)와 적혈구용적률 수치(37~47%)가 감소되어 나타남

심박출량

– 임신 32주까지 임신 전보다 30~50%까지 증가

– 앙와위보다 횡아위에서 심박출량의 증가

혈액순환과 응고시간

– 임신 32주까지는 약간 감소하다가 임신 말기가 되면 정상으로 돌아옴

– 임신 중에는 혈액응고요인이 증가하고, 응고된 혈액을 용해하는 섬유소용해작용은 저하되어 혈액응고가 잘 된다.

– 제왕절개분만 후에는 혈전증이 생기기 쉬움

임신 시 심맥관계 변화

심박동수10~15bpm 증가
혈압수축기압 : 임신 전보다 약간 감소 또는 변화 없음
이완기압 : 임신 중기(24~32주)에 약간 감소하였다가 임신 말기에 임신 전으로 회복
혈액량임신 전보다 1,500mL 증가 또는 40~50% 증가
RBC18% 증가
Hb저하
Hct저하
WBC임신 2, 3기에 증가
심박출량30~50% 증가
(2) 호흡기계

– 에스트로겐 증가

– 늘어난 흉곽은 임신 전 상태로 돌아오지 않음

– 임신 중 증가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프로스타글란딘의 영향으로 상부 호흡기계의 혈관은 확장되고 말초혈관이 울혈됨 : 출혈과 부종을 초래, 호흡기계 조직 내 울혈은 코의 폐색, 코피, 목소리의 변화, 경증의 상부호흡기계 감염을 초래

    호흡기계의 변화

    – 이산화탄소의 역치를 낮춤

    산-염기 균형

    – 프로게스테론의 영향 : 산도(pH)가 약간 증가된다. 임신 중 보상성 호흡성 알칼리증 상태가 됨

    (3) 신장계

    – 프로게스테론 영향으로 평활근이 이완

    – 사구체여과율이 증가되어 소변량이 많아짐

    해부학적 변화

    – 평활근은 비대되고 증식되며 근긴장력은 저하. 요관은 길게 늘어나고 구부러지며 꼬인다.

    – 요정체 : 임부의 소변은 당과 같은 영양소를 포함

    – 임신 중 빈뇨는 임신 초기에는 과민성의 증가, 임신 후기에는 방광의 압박으로 나타난다.

    수분과 전해질 균형

    – 단백뇨는 진통 중과 산욕기를 제외하고 정상 임신에서 나타나지 않음

    – 임신 중 소변에서 단백질이 100~300mg 이상이면 신장의 이상을 의심

    – 혈액요소질소와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는 감소

    (4) 피부계

    – 뇌하수체 전엽의 멜라노트로핀의 증가

    – 흑선 : 치골결합에서부터 자궁바닥 중앙에 이르기까지 색소침착

    – 임신선

    – 잇몸비대, 잇몸 출혈

    (5) 근골격계

    – 척추만곡증(lordosis)

    – 복직근이 벌어짐

    (6) 신경계

    – 커진 자궁에 의한 골반신경이나 혈관의 압박으로 다리의 감각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 임신 초기에 혈관운동신경의 불안정, 기립성 저혈압, 저혈당 등으로 인해 어지러움, 현기증, 실신(기절)이 나타날 수 있다.

    (7) 위장계

    식욕

    – 임신 초기에 증가된 hCG의 영향으로 입덧(morning sickness)을 경험한다. 입덧은 약 4~6주에 발생하여 3개월 말(임신 1기 말)에 사라진다.

    식도, 위, 장

    – 에스트로겐 증가로 염산 분비가 감소

    – 소화성 궤양은 완화

    – 프로게스테론 증가 : 식도의 탄력성을 저하시켜 식도역류

    – 가슴앓이(pyrosis)

    – 연동운동이 저하 : 변비

    복부 불편감

    – 충수돌기에 염증이 발생해도 맥버니지점의 위치가 변화되어 충수염 진단이 어려울 수 있음

    yongyong

    Recent Posts

    글래스고 혼수척도 (Glasgow Coma Scale ,GCS)

    글래스고 혼수척도 (Glasgow Coma Scale ,GCS) 글래스고 혼수척도(Glasgow Coma Scale, GCS)는 의식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16시간 ago

    (간호실습) 손상 시 동공 상태

    (간호실습) 손상 시 동공 상태 동공반사 동공반사(瞳孔反射, pupillary reflex)는 눈으로 들어가는 빛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20시간 ago

    (간호실습) 중환자실 기기

    (간호실습) 중환자실 기기 인공호흡기(ventilator) 자발호흡이 어려운 환자에게 인공기도를 통해 호흡을 돕는 장비입니다.인위적으로 폐에 공기와 산소를…

    21시간 ago

    AI 로봇 간호사 임상 활약 (한림대의료원 커맨드센터)

    AI 로봇 간호사 임상 활약 (한림대의료원 커맨드센터) 한림대성심병원에서 운용 중인 AI 간호 로봇 관련 영상…

    2일 ago

    (간호관리학) 인적자원의 개발관리

    (간호관리학) 인적자원의 개발관리 교육프로그램의 유형 1) 교육 장소에 의한 분류 (1) 직장 내 훈련 -…

    7일 ago

    (간호관리학) 인적자원의 확보관리

    (간호관리학) 인적자원의 확보관리 - 인적자원의 확보관리는 인력수여 예측, 모집, 선발, 배치가 포함된다. 간호인력 수요예측 1)…

    7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