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여성건강간호학) 임신전/후반기별 출혈 간호

(여성건강간호학) 임신전/후반기별 출혈 간호

임신 전반기(임신 20주 이전) 출혈

  • 유산
  • 자궁경부 무력증
  • 자궁외임신
  • 포상기태

임신 후반기(임신 20주 이후) 출혈

  • 전치태반
  • 태반조기박리
  • 파종성 혈관내 응고(DIC)

유산 (Abortion)

(1) 정의

: 임신주수를 기준으로 임신 20주 이전, 체중 500g 이하에 임신이 종결되는 것

(2) 원인 : 원인불명이 대부분(대부분 이미 결함을 가진 배아로 인함)

  • 조기 유산(12주 이내) : 배아의 발달 이상, 염색체 이상, 유전적 결함, 무배아란
  • 후기 유산(12~20주) : 자궁경관 무력증, 생식기 기형, 자궁 발육부전, 모체의 심한 감염

(3) 종류

유산 종류출혈량자궁 경련(통증)조직의 배출경관특징 및 간호중재
불가피유산중등도중등도 경련없음개대– 임신 지속 불가능
– 출혈 조절, 감염 및 쇼크 예방
→ 수혈, 소파술, Oxytocin, 항생제
절박유산혈성 질 분비물
점상 출혈
출혈 발생 몇 시간 혹은 며칠 후 발생없음닫힘– 20주 이전(초기) 무통성 질출혈
– 적절한 치료 시 임신 지속 가능
– 침상안정, 성관계 금지, 필요시 입원
완전유산약간경한 경련수태산물 완전 배출닫힘– Methergine IM
– 3~4주간 성생활 금지, 휴식
불완전유산다량심한 경련태아, 태반의 일부개대– 출혈 조절, 감염예방
→ 속히 소파술, 항생제 투여
계류유산약간없음없음닫힘– 태아가 자궁 내 사망 후 최소 2개월 이상 남아있을 경우
– 임신반응 검사 : 양성 → 음성
DIC*, 저섬유소혈증 위험
– 화석 태아
습관성유산– 정상 분만 과거력 없이 3회 이상 알 수 없는 자연유산 반복
– 원인 : 염색체 이상, 면역학적 이상, 내분비학적 이상, 해부학적 이상 등
– 원인에 따른 치료
– 기형 자궁 : 외과적 교정
– 자궁경관 무력증 치료
인공유산– 치료적 유산(심한 심장병, 본태성 고혈압, 유전질환 등)
– 선택적 유산
– 출혈, 염증, 자궁천공, 경관 열상, 공기색전 등의 위험

* 임신 12주 이상 된 태아가 사망 후 5주 이상 남아있을 때 파종성 혈관내응고(DIC)와 혈액응고장애로 조절되지 않는 출혈 초래

자궁경관 무력증 (Incompetent Cervix, IIOC)

(1) 정의 : 경관의 구조적 · 기능적 장애로 자궁수축 없이 저절로 이완되어 유산을 초래하는 것

(2) 원인 : 자궁 기형, 경관에 받은 상처, 임신 시 디에틸스틸베스테롤(DES) 복용, 릴락신 호르몬

(3) 증상/시기 : 임신 14~28주 사이의 무통성 자궁경관 개대, 갑작스런 태아 · 부속물 배출

(4) 치료 및 간호

① 쉬로드카술(Shirodkar) : 자궁경부 전후면 점막 일부를 절개하여 자궁내구 쪽으로 박리한 후 봉합(봉합사 질 내로 노출되지 않음)

② 맥도날드술(Mcdonard) : 봉합사가 자궁경부 네 모퉁이를 통과하여 자궁경부를 돌려 묶음(봉합사 질 내로 노출)

③ 자궁수축 예방을 위해 자궁수축억제제(리토드린(Ritodrine) 등)투여

자궁 외 임신 (Ectopic Pregnancy)

(1) 정의 : 수정란이 자궁강 외 다른 부위에 착상하는 것

(2) 원인 : 난관이 좁거나 폐쇄(골반 염증성 질환, 난관 선천적 이상, 난관 유착, 산욕기 감염 혹은 난관염), 자궁내막증, 인공유산 과거력, 자궁 내 장치 삽입 후 임신

(3) 증상/징후 : 난관 팽대부(Ampullar)에 호발, 파열 시 칼로 찌리는 듯한 통증(주로 일측성), 정상 임신에 비해 낮은 hCG 수치, 암갈색 질출혈, 복강내 출혈(Cullen’s sign, 심한 출혈로 저혈량성 쇼크), 임신 8주 이내의 자궁 크기

(4) 치료 및 간호 : 난관이 심하게 손상된 경우 난관절개술, 자궁각이나 간질부 파열시 자궁적출술, 난관 파열 전 복강경 이용한 난관절제술 시행하고, 남은 조직은 Methotrexate(MTX)로 분해, 자궁 외 임신이 파열되지 않고 덩어리가 4cm 미만이며 태아 심장 멈추고 hCG 5,000ml/IU 이하면 Methotrexate 근육주사하여 유산을 유도(혈역동학적으로 불안정하거나 간 · 신기능부전, 혈액성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 금기)

포상기태 (Hydatidiform Mole, H-Mole)

(1) 정의 : 융모막 융모가 어떠한 원인으로 수포성 변성을 일으켜 작은 낭포를 형성하는 일종의 종양

(2) 증상/징후

① 위험요인 : 10대 초반, 40대 이상, 다산부, 다태임신

② 냄새가 고약한 초콜렛색의 질출혈, 임신주수에 비해 과도하게 큰 자궁

③ 정상 임신에 비해 높은 β-hCG 수치 → 임신오조와 같은 심한 오심, 구토

④ 태아심음 감지되지 않음, 태아 촉지 불가능

⑤ 임신 9~12주에 자간전증 증상 : 혈압 상승, 단백뇨, 부종(경련은 드묾)

⑥ 완전기태 → 초음파상 태아 골격 확인 안 됨, 벌집모양이나 눈보라가 내리는 모양

(3) 치료 : 흡입소파술(자궁 크기 12주 이하, Oxytocin 주사), 자궁절제술(40세 이상, 자궁 파열 시, 차후 임신 원치 않을 경우), 화학요법(융모상피암으로 발전 시)

(4) β-hCG 측정, β-hCG 음성 판정 받은 이후부터 1년간 피임(임신시 융모상피암에 의한 호르몬 상승과 감별 불가), 흉부 X-ray(임신성 융모상피암 진행 · 폐 전이 여부 파악)

전치태반(Placenta previa)

(1) 정의 : 태반이 자궁경부의 내구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태

(2) 원인 : 과거 자궁내막의 손상(제왕절개, 소파술, 유산, 전치태반 과거력), 다산부, 다태임신, 35세 이상 임부, 흡연

(3) 증상 및 징후 : 임신 3기에 무통성 선홍색 질출혈, 태반 조기박리와는 달리 DIC가 드물며, 임신 주수보다 높은 자궁저부(태아 선진부 아래에 태반이 있어 태아 하강 방해)

(4) 치료 : 초음파로 진단, 보존적 관리(심장안정, 최대한 임신 유지, 스테로이드 투여 → 태아 폐성숙), 내진 절대 금기(급격한 출혈 유발), 제왕절개 분만

태반 조기박리(Placental abruption)

(1) 정의 : 정상적으로 착상된 태반의 일부 또는 전체가 태아 만출 이전에 자궁에서 떨어지는 것

(2) 원인 : 고혈압, 자간전증, 자간증, 당뇨, 자궁 나선동맥(자궁내막과 태반에 혈액 공급)의 변성, 양수과다로 인한 파막 시, 짧은 제대, 신체적 외상 등

(3) 증상 및 징후

① 심한 통증(날카로운 → 둔한 통증)을 동반한 질출혈(외출혈 : 선홍색, 은닉출혈 : 암적색)

② 자궁 긴장도 증가와 잦은 자궁 수축(자궁이 나무판자처럼 단단해져 태아 촉지 불가능)

③ 합병증 : 저혈량성 쇼크, 신부전, 파종성 혈액응고장애(DIC)

(4) 치료 및 간호 : 태아와 출혈량 관찰, 출혈 심하지 않고 태아 생존 시 질분만 유도, 태아곤란증이나 심한 출혈, 응고장애 시 응급 제왕절개, 저혈량성 쇼크와 응고장애 대비해 수액 및 수혈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