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 1기 (~14주) + 임신 2기 (~28주) – 태아기형 진단목적
– 임신 3기 : 자궁 내 환경이 태아가 생존하는 데 적절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함
예) 자궁태반부전(uteroplacental insufficiency)의 위험이 있을 때 분만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
– 과거에는 모체혈액이나 소변에서 태아의 호르몬이나 효소를 측정
but 태아의 건강상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음
– 최근에는 도플러를 포함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심박수, 태아상태, 자극에 따른 심박수의 반응, 태반, 양수의 관찰 & 검사 가능
– 태아 건강사정의 발전은 태아 치료를 유도하기에 이름
예) 선천성 횡격막 탈장, 요로폐쇄증, 선천성 기형낭종 이형성증, 엉덩뼈기형종, 수막낭종, 요로션트수술 등 시행 중
– 초음파촬영술 : 1950년 처음 소개
– 초음파의 발전
– 우리 귀에는 들리지 않는 높은 주파수를 가진 음파
– 초음파를 인체의 장기에 쏘게 되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음파가 생기고 이들이 지나온 영역을 해부학적 영상으로 나타내 줌
예) 뼈처럼 밀도가 높은 부분 : 흰색
연조직의 경우 : 회색
체액이 있는 부분 : 검은색
– 초음파상 정지된 상 : 산부인과 진단에 유용
– 움직이는 상 : 태아의 심장박동, 신체의 움직임 등 평가하는 자료
– 임신낭의 수, 크기, 위치
– 태아의 심장과 태동의 존재 여부
– 자궁이상 또는 부속기 종양 여부
– 임신기간
– 자궁내 장치의 확인과 위치
– 태아의 수 및 생존 여부
– 태위
– 재태기간, 성장양상, 기형
– 양수의 양
– 태반의 위치와 성숙 정도
– 자궁섬유종과 이상, 부속기 종양의 존재 여부
– 골반 구조에 가깝게 접근하므로 골반의 해부학적 구조를 더 세세히 평가
– 이른 시기에 임신진단 가능
– 방광을 채울 필요가 없음
– 복부근육층이 두터워 복부 접근이 쉽지 않은 비만 대상자에게 유용
– 임신 1기 자궁외임신 진단 가능, 배아의 성장과 기형 확인, 재태연령을 알아보는데 사용
– 방광을 채워야 하므로 산부는 불편감 있음
– 복부근육층이 두터운 경우 정확성이 떨어짐
– 태아의 생존 가능성은 수정낭의 모양과 위치, 태아 심박동의 존재 유무로 알 수 있음
– 태아 심장(정상 120~160회/분)의 움직임 확인
– 임신성 영양막 질환 진단 : 9~10주에 가능
– 태아사망 확인 : 심장박동의 결여, 태아두피부종, 두개골의 중복 등
– 재태연령을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촬영술의 적응증
– 최종월경일이 불확실한 경우
– 최근에 경구피임약의 복용을 중단한 경우
– 임신초기에 출혈이 있는 경우
– 최소 3개월 동안 무월경인 경우
– 자궁의 크기가 임신 주수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 기타 고위험 상태
– 태아의 재태연령 측정 방법
– 일반적으로 임신 후반기로 갈수록 초음파를 이용한 재태연령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2~3가지 이상의 지표를 이용해 재태연령을 산정하는 것이 정확함
– 초음파를 이용한 태아 성숙도 사정 적응증
– 비뇨기계 감염
– 태아발육지연 확인 가능 : 머리 둘레와 배 둘레의 비율(HC/AC)로 대칭성인지, 비대칭성인지 결정
– 대칭성 태아발육지연
– 비대칭성 태아발육지연
– 초음파를 이용해 재태기간에 따라 머리(뇌실, 혈관),목, 척추, 심장, 위, 소장, 간, 방광, 사지 등의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 심각한 태아 기형 확인 가능 → 재태기간 36주 이상 되면 초음파로 심각한 태아기형 85% 확인 가능
예) 목덜미(목뒤) 투명태 측정검사
– 임신 11~14주 태아 목 뒤쪽 둘레를 측정하는 방법 → 두께가 두꺼운 경우 모체혈청 검사 결과와 검토하여 확진
– 결과 : 태아의 목 부위 중 경추 후부 피부조직에 축적된 액이 보임
– 투명대 두께가 2.5mm 이상은 비정상, 3mm 이상은 유전적 장애, 신체적 기형을 암시
태반 위치
– 임신 1기에는 태반이 작아 자궁내막과의 차이를 알기 어려우며, 임신 14~16주 이상 되어야 구분됨
예) 전치태반 진단의 경우
– 태반이 자궁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면 임신이 진행되면서 자궁하부가 신장되어 올라갈 수 있어 27주 될 때까지 진단을 내릭 어렵다.
태반의 기능
– 임신 3기에 태반성숙 정도를 등급으로 평가할 수 있음
– 태반은 칼슘 침착을 근거로 0~III등급으로 분류
→ 태반등급 평가는 태아의 폐성숙(태반이 영양과 산소공급에 주요한 역할을 함)을 평가하고 분만시기 결정하는 데 도움
→ 등급이 높을수록 태반이 노화됨
(정신건강간호학) 이상행동의 이해 이상행동 증상 양성 증상 (positive symptom) - 건강한 사람에게는 없는 괴이한 생각…
(여성건강간호학) 분만생리 01 정상 분만 - 정의 : 태아와 부속물(Passenger)과 만출력(Power), 산도(Passage)가 조화롭게 존재할 때…
(성인간호학) 혈관계 (동맥) 건강문제와 간호 02 동맥질환 동맥류(Aneurysm) 정의 및 특성 ① 동맥벽이 탄력성을 잃어…
(성인간호학) 혈관계 (동맥) 건강문제와 간호 01 혈관계 구조와 기능 - 체순환, 폐순환으로 이루어진 폐쇄회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