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신 1기 (~14주) + 임신 2기 (~28주) – 태아기형 진단목적
– 임신 3기 : 자궁 내 환경이 태아가 생존하는 데 적절한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함
예) 자궁태반부전(uteroplacental insufficiency)의 위험이 있을 때 분만시기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
– 과거에는 모체혈액이나 소변에서 태아의 호르몬이나 효소를 측정
but 태아의 건강상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음
– 최근에는 도플러를 포함한 초음파를 이용하여 태아심박수, 태아상태, 자극에 따른 심박수의 반응, 태반, 양수의 관찰 & 검사 가능
– 태아 건강사정의 발전은 태아 치료를 유도하기에 이름
예) 선천성 횡격막 탈장, 요로폐쇄증, 선천성 기형낭종 이형성증, 엉덩뼈기형종, 수막낭종, 요로션트수술 등 시행 중
– 초음파촬영술 : 1950년 처음 소개
– 초음파의 발전
– 우리 귀에는 들리지 않는 높은 주파수를 가진 음파
– 초음파를 인체의 장기에 쏘게 되면 반사되어 돌아오는 음파가 생기고 이들이 지나온 영역을 해부학적 영상으로 나타내 줌
예) 뼈처럼 밀도가 높은 부분 : 흰색
연조직의 경우 : 회색
체액이 있는 부분 : 검은색
– 초음파상 정지된 상 : 산부인과 진단에 유용
– 움직이는 상 : 태아의 심장박동, 신체의 움직임 등 평가하는 자료
– 임신낭의 수, 크기, 위치
– 태아의 심장과 태동의 존재 여부
– 자궁이상 또는 부속기 종양 여부
– 임신기간
– 자궁내 장치의 확인과 위치
– 태아의 수 및 생존 여부
– 태위
– 재태기간, 성장양상, 기형
– 양수의 양
– 태반의 위치와 성숙 정도
– 자궁섬유종과 이상, 부속기 종양의 존재 여부
– 골반 구조에 가깝게 접근하므로 골반의 해부학적 구조를 더 세세히 평가
– 이른 시기에 임신진단 가능
– 방광을 채울 필요가 없음
– 복부근육층이 두터워 복부 접근이 쉽지 않은 비만 대상자에게 유용
– 임신 1기 자궁외임신 진단 가능, 배아의 성장과 기형 확인, 재태연령을 알아보는데 사용
– 방광을 채워야 하므로 산부는 불편감 있음
– 복부근육층이 두터운 경우 정확성이 떨어짐
– 태아의 생존 가능성은 수정낭의 모양과 위치, 태아 심박동의 존재 유무로 알 수 있음
– 태아 심장(정상 120~160회/분)의 움직임 확인
– 임신성 영양막 질환 진단 : 9~10주에 가능
– 태아사망 확인 : 심장박동의 결여, 태아두피부종, 두개골의 중복 등
– 재태연령을 측정하기 위한 초음파촬영술의 적응증
– 최종월경일이 불확실한 경우
– 최근에 경구피임약의 복용을 중단한 경우
– 임신초기에 출혈이 있는 경우
– 최소 3개월 동안 무월경인 경우
– 자궁의 크기가 임신 주수와 일치하지 않은 경우
– 기타 고위험 상태
– 태아의 재태연령 측정 방법
– 일반적으로 임신 후반기로 갈수록 초음파를 이용한 재태연령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2~3가지 이상의 지표를 이용해 재태연령을 산정하는 것이 정확함
– 초음파를 이용한 태아 성숙도 사정 적응증
– 비뇨기계 감염
– 태아발육지연 확인 가능 : 머리 둘레와 배 둘레의 비율(HC/AC)로 대칭성인지, 비대칭성인지 결정
– 대칭성 태아발육지연
– 비대칭성 태아발육지연
– 초음파를 이용해 재태기간에 따라 머리(뇌실, 혈관),목, 척추, 심장, 위, 소장, 간, 방광, 사지 등의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 심각한 태아 기형 확인 가능 → 재태기간 36주 이상 되면 초음파로 심각한 태아기형 85% 확인 가능
예) 목덜미(목뒤) 투명태 측정검사
– 임신 11~14주 태아 목 뒤쪽 둘레를 측정하는 방법 → 두께가 두꺼운 경우 모체혈청 검사 결과와 검토하여 확진
– 결과 : 태아의 목 부위 중 경추 후부 피부조직에 축적된 액이 보임
– 투명대 두께가 2.5mm 이상은 비정상, 3mm 이상은 유전적 장애, 신체적 기형을 암시
태반 위치
– 임신 1기에는 태반이 작아 자궁내막과의 차이를 알기 어려우며, 임신 14~16주 이상 되어야 구분됨
예) 전치태반 진단의 경우
– 태반이 자궁하부에 부착되어 있으면 임신이 진행되면서 자궁하부가 신장되어 올라갈 수 있어 27주 될 때까지 진단을 내릭 어렵다.
태반의 기능
– 임신 3기에 태반성숙 정도를 등급으로 평가할 수 있음
– 태반은 칼슘 침착을 근거로 0~III등급으로 분류
→ 태반등급 평가는 태아의 폐성숙(태반이 영양과 산소공급에 주요한 역할을 함)을 평가하고 분만시기 결정하는 데 도움
→ 등급이 높을수록 태반이 노화됨
총경 이상 경찰 간부 전원, 다음 달 내 마약 검사 (2025-08-13) 내용 경찰청장 지시사항으로 우선…
1형당뇨, 2026년 5월부터 췌장장애로 인정 내용 13일 보건복지부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제출한…
성인ADHD 치료 (유튜버 덕자) 성인ADHD 치료 2023년 5월부터 성인ADHD 치료를 시작했다. 일상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알콜의존증으로 술도…
라식한걸 후회하는 안구갤러 (수술 부작용) 내용 반응 댓글 수술 후관리가 중요함 난 일주일간 눈감고 라디오만 들으면서 살았음 3일감은 아예 눈 안뜨고 먹여주는것만 먹고 약 넣을때만 눈뜸 그뒤로도 암막커튼 치고 불 다끄고 선그라스 낀채로 밥먹고 나야 잘 되긴 했는데 검사도 많이 받아보고 해야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