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태아반응
– 분만은 태아에게 생리적 스트레스가 됨 → 분만 동안 태아상태 감시가 요구됨
– 산소공급은 태아 손상 예방과 분만 동안 태아에게 적절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유지되어야 함
– 태아에게 산소 공급이 감소 되는 경우
→ 분만 동안 태아의 안녕은 태아심박동수 양상으로 평가함으로써 평가가 가능함
나. 분만 중 자궁활동
결과 | 해석 |
빈도 | – 분만 중 자궁수축 빈도는 10분에 2~5회이다. 분만 2기에는 10분당 5회 수축까지 빈도가 증가한다. – 자궁수축간격 2분 이하 → 태아곤란증 증상 나타남 |
기간 | – 수축기간은 분만 1기와 2기에 45초에서 80초 정도이다. – 일반적으로 90초를 초과하지는 않는다. – 90초 이상 지속시 → 태아곤란증 증상 나타남 |
강도 | – 분만 1기 자궁수축압은 20~70mmHg이고 분만 2기에는 80mmHg까지 상승한다. – 경도(mid)의 자궁수축으로 촉진될 때의 자궁수축압은 내부감시기로 측정할 경우 50mmHg 이하로 측정된다. – 수축기 자궁 내압은 70mmHg까지 정상 75mmHg 이상 시 → 태아곤란증 증상 나타남 |
이완기 자궁압 | – 이완기 자궁압은 평균 10mmHg이다. 촉진 시 복부는 ‘부드럽게(soft)’ 느껴진다. |
Montevideo units(MVUs) | – 분만 1기에는 100~250MVUs, 분만 2기에는 300~400MVUs까지 상승한다. – 일반적으로 자궁압 40mmHg 이상과 80~120MVUs 이상이 자연진통을 시작하기에 충분한 압력이 된다. – MVUs는 보통 내부감시기 사용에서만 이용된다. |
다. 태아손상
– 분만 중 태아심박동 감시를 통해 비정상적인 양상과 정상적인 양상을 확인하고 구별해야 함
* 간헐적 청진
– 태아의 심박동수를 평가하기 위해 심박동수를 주기적인 간격으로 들음
→ 태아심박동수, 리듬, 태아심박동수의 상승과 하강을 파악할 수 있음
– 간헐적 청진법 : 도플러, 초음파 청진기, DeLee-Hillis 태아경 사용
– 장점
– 단점
가. 기저 태아심박동수(Baseline FHR)
– 태아 심박동수는 태아심장의 내재 리듬성, 중추신경계, 태아의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됨
– Baseline FHR
– 변이성
변이성 소실 | 최소 변이성 | 중증도 | 현저함 |
– 비정상 혹은 불확실 – 원인 : 태아 저산소, 대사성 산독증, 선천성 기형, 기존의 신경계의 손상, 진통제, 마취제, 신경안정제, 진정제, 정신안정제, 전신마취제 사용 – 최소변이성은 빈맥, 심각한 조산, 태아의 일시적 수면 등으로 발생 | – 정상이라고 봄 – 태아 대사성산독증 없음을 의미 → 태아가 산염기 균형을 이룸 | – 현저한 변이성의 의미는 명확하지 않음 |
빈맥(tachycardia)
– 정의
– 원인
– 의미 : 만기하강, 변이성 소실, 최소변이성과 관계가 있으면 위태로운 징후
– 중재 : 원인에 따른 중재, 산부 활력징후 확인, 좌측위, 정맥주입 속도 증가, 10~12L/min 산소주입
서맥(Bradycardia)
– 정의
– 원인 : 태아의 심장이상, 바이러스 감염, 지속적인 제대압박, 모체의 저체온증, 저혈당증 등
– 의미 : 변이성 소실, 만기하강을 봉반하는 경우 태아 저산소증 의미
– 중재
나. 태아심박동의 주기적, 일시적 변화
– 주기적 변화 : 자궁수축과 함께 나타남
– 일시적 변화 : 자궁수축과 관련이 없이 나타남
상승(accelerations)
– 기준선상 이상ㅇ으로 태아심박동이 증가하는 것
– 기준선보다 15회/분 이상의 상승이, 15초 이상 지속되며, 2분 이내 기준치로 돌아옴
– 원인 : 자연스러운 태아의 움직임, 질검진, 전극부착, 태아 두피자극, 외부소리에 대한 태아 반응, 둔위, 후방후두위, 자궁수축, 자궁바닥 압박, 복부촉진 등
– 의미 : 태아움직임과 관련된 상승은 태아의 안녕을 의미
하강(decelerations) = 감퇴
– 부교감신경의 반응에 의해 발생함
– 분류 : 조기하강, 만기하강, 변이성하강, 지연된 하강
– 조기하강
– 만기하강 = 후기
– 변이성하강 = 다양성 하강
– 지연된 하강
– 정현파동
– 태아 관찰
– 분만 중 전자태아심박동(EFM, electronic fetal monitoring)을 적용하여 태아심박동수와 자궁활동 양상을 주기적으로 사정하고 정확히 기록 → 결과에 따른 독립적인 간호 중재 수행, 비정상적인 양상은 보고
– 발살바법은 성문을 폐쇄하고 힘을 주게되어 모체의 혈액역동과 태아상태에 영향을 미치 (모체의 혈압과 태반혈류 감소 → 태아 산소분압 감소, 이산화탄소분압 상승) → 간호사는 산부가 힘을 주는 동안 성문이 열린 상태에서 힘을 주도록 함
– 모체 저혈압 예방을 위한 체위 유지 : 측위, 반파울러체위(오른쪽 둔부 아래 쿠션넣기, O), 앙와위(X)
분만 시 태아 심음 하강의 원인 – 조기하강 : 일시적인 아두압박에 의한 것, 미주신경이 자극받아 발생하는 정상반응 – 만기하강 : 자궁태반 기능부전 – 변이성 하강(다양성 하강) : 제대압박 |
(여성건강간호학) 가족계획 : 인공임신중절 인공임신중절 - 인공임신중절은 재태기간 20주 이전에 임신을 인공적으로 종결시키는 것 - 여성의…
(여성건강간호학) 태아건강사정 04 생물리학적 사정 (계속) 태아감시와 태아 심박동 양상 (계속) 기타 사정방법 (1) 태아자극 방법…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간호 03 간호과정 간호과정 : 중재(양성증상 간호) 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