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정신간호학) 인간의 생물학적 이해

(정신간호학) 인간의 생물학적 이해

생물학적 접근 – 정신생물학

– 환경자극 과 생물학적 요인 사이에는 중요한 관계가 있다

– 뇌를 포함하여 신체의 구조나 기능의 이상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정신사회적 스트레스 는 신체적으로 중요한 신경회로를 활성화시키는 신경화학적 경로를 변경 시킨다

뇌의 기능

– 외부세계의 변화 감시

– 체액 구성을 감시

– 골격근의 수축 조절

– 내부 장기의 조절

– 기본 욕구의 시작과 조절 : 배고픔, 갈증, 성욕, 공격성의 자기조절

– 의식적 감각의 중재

– 기억의 저장 및 검색

– 기분(정동)과 정서의 조절

– 지적기능의 사고와 수행

– 수면주기의 조절

– 언어의 생성 및 해석

– 시각 및 청각 정보의 처리

신경계 : 대뇌

– 언어, 추상적 사고, 기억, 인지 담당

– 전두엽 : 사고조직, 도덕적 행동과 신체운동 조절

– 두정엽 : 감각 해석, 지남력(장소)

– 측두엽 : 듣기와 기억, 감정 표현

– 후두엽 : 기억, 시각 해석에 필요한 구조, 언어생성을 조정

실어증 구분

1. 감각성 실어증

– 언어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나 말할 수 있음

– 측두엽의 베르니케 영역 손상

– 예 : “나는 사과를 좋아해요. 그 사과는 빨갛고, 하늘을 날아요”와 같이 말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의미가 통하지 않음

2. 운동성 실어증

– 말하지 못하나 언어의 의미는 이해함

– 전두엽의 브로카영역 손상

– 예 : “나는… 사과… 먹고… 싶어요”와 같이 단어를 끊어가며 말할 수 있으며, 문장이 매끄럽지 않음

3. 전도성 실어증

– 상대방의 말을 이해하지만 따라하지 못함

– 측두엽의 정보가 브로카영역으로 전달되지 못함

– 예 : “나는… 그… 사과를… 먹었어요”라고 말하면서, 중간에 단어를 잊거나 잘못된 단어를 사용할 수 있음

신경계 : 대뇌 – 변연계

– 해마, 시상, 시상하부, 편도 포함

– 희, 노, 애, 락 및 공격성 등 감정의 중심지, 행동에 중요한 역할

– 해마 : 단기기억 → 장기기억 전환, 다량의 신경전달물질 포함

– 시상 : 활동, 감각과 감정을 조절하는 중계중추이며 아편 수용체가 많아 통증 반응과 관련

조현병에서 흔히 보이는 환청은 시상과 해마, 편도체의 장애와 관련

– 시상하부 : 체온, 성적 충동, 식욕조절, 내분비 기능과 흥분, 조증행동, 분노와 같은 충동적 행동과 관련

– 기저핵 : 운동 동작 중 운동을 평가하고 수정

신경계 : 대뇌 – 정신질환과 관련된 비가능적 증상

기능정신질환과 관련된 비가능적 증상
전두엽– 고차원적 생각, 추상적 추론, 기억계획, 동기, 집중, 의사결정, 언어 산출, 목적 있는 행동
– 브로카 영역 : 말을 담당하는 기능
– 부적절하고 억제되지 않는 행동, 부적절한 감정, 동기가 사라짐, 치매
두정엽– 자세, 근육, 촉각, 후각, 청각, 시각과 관련– 공간지각 능력의 감소, 부정, 신체상의 손상, 자가 간호능력의 손상, 좌우 방향감 상실
후두엽– 시각 기능, 기억 기능– 시각적 착각, 환각 그리고 히스테리성 실명
측두엽– 후각정보 해석, 추상적 사고, 판단, 기억, 변연계의 주된 구성요인, 소리를 이해– 일부 환자에 있어서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반응, 환후와 환청 그리고 언어 이상
변연계– 주관적인 감정 경험 및 감정 상태에 관련된 신체기능변화에 관여
– 성적 행동, 즐거움, 기억, 학습에 관련
– 해마 :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변환
– 편도체 : 공포, 기쁨 등 본능과 관련된 감정관여
– 정동의 둔마, 무감동, 폭식증, 성욕증가, 시각 또는 청각 실인증
– 조현병의 환청, 치매에 수반되는 기억상실, 정신증이나 조증에서의 기분 및 충동조절 부족
기저핵– 운동 동작 중 운동을 평가하고 수정– 파킨슨병, 헌팅톤병, 우울장애에서의 운동저하, 조현병에서의 이상행동

신경계 : 소뇌

– 감각정보의 처리와 밀접한 관련

– 평형감각, 근육긴장도, 자세조절, 수의적 운동의 조정에 관여

– 인지적 · 행동적 · 감정적 기능과 관련

– 이 부위의 결함은 도파민 전달이 억제되어 부드럽고 통합된 움직임을 방해하는 파킨슨병, 피질하 혈관성 신경인지장애, 발음하는
근육의 부조화된 운동으로 발음 부정확함 발생

신경계 : 뇌간

– 중뇌, 뇌교, 연수, 망상체로 구성

– 호흡 혈압, 맥박, 체온유지 등 기본생명 유지의 기능

중뇌

  • 눈의 움직임, 시청각, 운동기능 조절, 도파민 분비
  • 파킨슨병, ADHD : 도파민 분비 및 기능저하로 인해 유발

뇌교

  • 노르에피네프린을 생산하는 청반을 포함하는 반사중추
  • 불안 , 공황장애와 연관

연수

  • 생명중추로 심박동 , 호흡 연하 , 구토 , 기침 , 재채기와 연관

망상체활성화계 (reticular activating system, RAS) : 각성

  • RAS의 장애는 수면장애 집중을 방해하여 정신장애를 유발하거나 악화

청반(locus coeruleus)은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의 핵

  • 광범위하게 신경이 연결되어 있어 주의력, 시간인식, 수면, 각성, 학습, 고통 및 감정조절에 관여
  • 스트레스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에 관여하며, 정신장애인의 불안, 공황장애와 관련된 부위

신경전달물질

– 신경전달물질은 뉴런의 세포질에서 합성되어 시냅스 전 종말단추에 존재하고 어떤 자극이 전달되면 시냅스 간격으로 유리되어 시냅스 후 수
용체와 결합

흥분성 전달물질과 억제성 전달물질로 구분

약물은 수용체의 능력과 효율성을 변화시키며 수용체의 수를 감소시켜 민감도에 영향

– 신경전달물질은 인간의 행동, 신체기능, 의식, 지식, 창의성, 기억, 감정의 변화를 일으킴

신경전달물질의 분류와 기능

모노아민

신경전달물질 및 수용체기능관련정신질환
도파민, DA(D₁~D₅)– 미세근육운동, 감정과 사고의 통합, 의사결정, 시상하부를 자극하여 호르몬 방출에 관여– 감소 : 파킨슨병, 우울증
– 증가 : 조현병, 조증
노르에피네프린, NE(α₁, α₂, β₁, β₂)– 기분, 주의력 및 각성
– 스트레스에 대한 자율신경계 반응인 투쟁-도피 반응에 관여
– 감소 : 우울증
– 증가 : 조증, 불안장애, 조현병
세로토닌, 5-HT (5-TH₁, 5-TH₂ 등)– 수면조절, 배고픔, 기분 상태, 통증인식 역할
– 호르몬 활동
– 공격성과 성적 행동에 기여
– 감소 : 우울
– 증가 : 조현병 음성증상(무언어, 무활동, 무의욕)
히스타민(H₁, H₂)– 각성, 염증반응에 관여
– 위 분비 자극
– 감소 : 진정, 체중 증가

콜린성

아세틸콜린, ACh
[니코틴, 무스카린(M₁, M₂, M₃)]
– 학습, 기억에 기여
– 기분조절 : 조증, 성적 공격성
– 부교감신경계 자극
– 감소 : 알츠하이머병, 헌팅톤병, 파킨슨병
– 증가 : 우울

아미노산

감마아미노부티르산, GABA– 억제성 : 공격성, 흥분, 불안의 감소
– 통증인식 역할 가능성
– 항경련제와 근육이완 작용
– 인지 및 정신운동기능 손상 가능성
– 감소 : 조현병, 불안장애, 조증, 헌팅톤병
– 증가 : 불안 감소
글루타메이트(NMDA, AMPA)– 흥분성
– AMPA는 학습과 기억에 기여
– NMDA 감소 : 정신증
– NMDA 증가 : 연장되거나 증가된 상태는 신경독성 유발, 알츠하이머병의 신경퇴행
– AMPA 증가 : 행동과업에 댛나 인지능력 향상

펩타이드(신경조절물질)

물질 P(SP)– 중추에서 활성화된 SP 길항제는 항우울, 항불안 효과를 나타냄
– 기억을 증진시키고 강화함
– 통증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감수성의 증진
– 기분과 불안 조절에 관여
– 통증관리 역할
소마토스타틴(SRIF)– 인지장애와 관련 있는 수준 변화– 감소 : 알츠하이머병, 일부 우울증 대상자의 척수액에서 SRIF 수준의 감소
– 증가 : 헌팅톤병
뉴로텐신(NT)– 내인성 항정신병 효과– 조현병 대상자의 뇌척수액에서 감소된 수준 양상

뇌신경 영상기술

전기적 활동검사 : 뇌로부터 전해지는 전기신호의 기록

기법설명적응증정신과적 판독
뇌파(electroencephalograph, EEG)검사자의 두피에 전극을 연결하여 두뇌의 전기신호를 기록함각성, 수면, 마취 시 전류 양상이 다르므로, 상태에 따른 뇌기능의 변화를 확인뇌의 이상을 나타내는 광범위한 부위 확인(뇌전증, 뇌졸중, 뇌종양, 뇌염 등)이 가능하므로 추가 검사로 이어질 수 있음

구조적 뇌영상기술 : 뇌 구조의 전반적인 해부학적 세부사항을 보여줌

컴퓨터단층촬영(computerized axial tomography, CT)뇌에서 추출된 일련의 방사선 이미지가 컴퓨터 분석을 통해 각 단면이 3차원의 정밀한 ‘조각’으로 재구성됨병소, 찰과상, 경색 부위, 동맥류 확인조현병, 피질위축, 제3뇌실 확장, 인지 장애, 기형(단, 약물치료반응 확인은 불가능)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자기장과 전파를 사용하여 인체에 고주파를 쏘아 신체 부위의 수소원자핵을 공명시켜 각 조직에서 나오는 신호의 차이를 디지털 정보로 형상화하는 3차원 촬영기술뇌부종, 허혈, 감염, 신생물, 외사을 확인– 조현병, 뇌실의 확장, 측두엽과 전전두엽의 감소
– 뇌의 구조, 초기 대뇌병변 진단에 유용

기능적 뇌영상기술 : 뇌 활동을 보여줌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피험자가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때 뇌의 다른 부위에서 혈중 산소가 변화하는 것에 따라 간접적으로 뇌 활동을 측정함MRI와 동일MRI와 동일
양전자방출단층촬영(positron-emission tomography, PET)방사능추적자가 투입되어 뇌로 이동하는 것이 스캔상 밝은 반점으로 표시되며, 탐지기에서 수집된 데이터가 컴퓨터로 전달되어 CNS 활동이 3차원 시각화 이미지로 생성됨산소 이용, 포도당 대사, 혈류량, 신경전달물질-수용체 간의 상호작용– 조현병, 미상핵의 D₂, D₃ 수용체의 증가, 변연계의 이상, 기분장애, 측두엽의 이상, 성인 ADHD, 포도당 이용의 감소
– 뇌의 활동/기능, 생화학적 비정상을 표시
단일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술(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SPECT)PET와 유사하나 감마선(광자)을 방출하는 방사성 핵종을 사용함. 뇌기능의 다양한 면을 측정하고 PET와 마찬가지로 CNS를 여러 층으로 시각화함– 뇌척수액 순환 확인
– PET과 유사기능
PET과 동일

내분비계

– 신경내분비 기능의 이상은 조현병, 산후정신증, 만성 정신질환자의 다음다갈증, 공황장애, 기분장애와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관련

– 우울증일 때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피질 축 기능이 항진되어 덱사메타손 억제검사(dexamethasone suppression test, DST)에 양성 반응, 갑상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TRH)에 의한 갑상샘자극호르몬(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반응이 감소

– 선천성 갑상샘저하증인 크레틴병(cretinism)에서는 심각한 지능저하 및 성장 발달 지연

– 에디슨병(Addison’s disease, 부신기능 저하증)은 우울, 무감동, 피로, 그 외 정신증을 유발

– 갑상샘저하증은 우울, 불안 등을 일으키며 스테로이드 투여 시 우울, 경조증, 흥분 등을 유발

– 항정신병 약물은 결절누두부 도파민 경로를 차단해 프로락틴 농도를 높이고 멜라토닌에 변화를 초래하는데, 이는 생체리듬, 우울증과 관련

– 신경내분비 기능은 또한 일주기 리듬과도 밀접한 관련 이 있으며, 사고, 정서, 활동을 조절함

– 신경성 식욕부진증 여성은 일일 황체화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 분비 양상이 손상되었고, 남성은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수준이 저하

정신질환과 생화학적 변화와의 연계성

질환뇌의 변화신경전달물질 변화내분비 변화
조현병대뇌피질 전두엽, 측두엽, 변연계도파민 증가, 글루타메이트 감소프로락틴 감소
기분장애 (우울증 포함)대뇌피질 전두엽, 변연계, 측두엽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 감소, 글루타메이트 증가코르티솔 증가, 갑상샘호르몬 감소, 멜라토닌 증가
양극성 장애대뇌피질 전두엽, 변연계, 측두엽급성 조증 시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증가급성 조증 시 갑상샘호르몬 증가
공황장애변연계노르에피네프린 증가, GABA 감소갑상샘호르몬 증가
신경성 식욕부진증변연계 (특히 시상하부)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감소생식샘자극호르몬, 성장호르몬 감소, 코르티솔 증가
강박장애변연계, 기저핵세로토닌 감소코르티솔 증가
알츠하이머병대뇌피질 측두엽, 두정엽, 후두엽, 해마아세틸콜린,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소마토스타틴 감소코르티코트로핀 분비 호르몬 감소

면역계

– 뇌하수체, 해마, 시상하부 등이 면역기능을 조절

– 정신사회적 요인이 인간의 면역체계에 영향 특히 정신사회적 스트레스 요인과 면역 기능의 감소는 실질적으로 질병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고 병리적인 증상을 초래

– 스트레스를 받으면 림프구와 항체 생산이 감소, 생리적인 스트레스 반응에서는 교감신경계 부신수질계가 활성화되고 코르티솔이 증가되고 코르티솔은 림프구 수와 기능, 자연살해세포의 활동감소에 영향을 주어 면역억제제로 작용

– 다양한 정신신체 상태가 면역과 관련

  • 수면박탈, 우주비행, 배우자의 죽음, 우울증 등이 백혈구 재생산 억제와 관련되고, 중추신경계의 질병인 수면발작은 면역계와 관련이 있
    다고 보고
  • 심한 전신성 홍반성 낭창 환자에게서 우울, 불면, 착란 등 정신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조현병에서 T 림프구와 B 림프구의 기능장애, 자연살해세포 감소, 면역글로불린 장애가 발견

유전과 정신장애

양극성 장애 조증과 우울증 번갈아 나타남 와 유전

– 염색체 11의 DNA 지표가 양극성 장애와 관련

– 일란성 쌍생아에서 양극성 장애 발병의 일치율이 약 65% 정도

– 유전 외에도 일주기리듬 의 교란 , 식습관 변화 , 경련 등으로 유발된 변연계의 혼란 등 과도 관련

조현병과 유전

– 조현병 발생률이 일반 인구에서 1% 인 것에 비해, 부모 한쪽이 조현병을 앓는 경우 그 자녀가 조현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은 약 15% 이고, 부모 모두 조현병인 경우 자녀의 발병 가능성은 40%

– 유전적 취약성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어느 정도 조절될 수 있음

신경인지장애 와 유전

– 알츠하이머 병 대상자의 MRI 결과 특징적으로 신경원 섬유가 얽혀 있고 뇌실이 확장 됨. 알츠하이머 병에 대한 신경화학적 조사에서 뇌단백질 아밀로이드(amyloid) β 가 뇌세포를 손상시키고, 노인 기억상실의 원인이 되며, 전구물질은 다운증후군과 관련 된 염색체 21에 위치

성격 · 행동장애와 유전

– 성격의 유형 , 약물중독, 비행이나 범죄와 같은 반사회적 행동은 가족적 소인이 있음

환경의 정신생리적 영향

독성물질

– 태아가 어떤 약물에 노출되었을 때 출생 후 신체적 · 심리사회적 발달에 지속적인 영향

– 노인들 에게 내려진 복합적인 처방 약물 간 의 상호작용은 치명적일 수 있음. 또한 약물과 식품 간의 상호작용은 혼돈, 실금, 섬망, 운동실조증, 현기증 등의 원인

– 어떤 사람들에게서는 보통 양의 카페인조차도 흥분, 감각장애, 우울을 동반한 카페인 중독 유발

– 카페인 사용은 또한 정온제, 진정제와 같은 길항제의 소모를 증가시킬 수 있고, 카페인의 이뇨작용이 리튬의 치료 효과를 희석시킬 수도 있음

– 지속적으로 납에 노출된 대상자가 안수협응(hand-eye coordination)이 안 되고, 추리력이 저하되며 중추신경계 기능장애와 관련된 신경행동 손상을 보임

– 캔의 알루미늄과 철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에서 신경원 섬유의 얽힘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추정

– 약물이나 다른 화학물질 등 독성물질에 노출된 사람의 행동결함이 자손에게 전달될 수 있으므로 아동의 독성물질 노출에 대한 정신생리적 효과 사정 시, 부모의 약물사용과 화학물질 노출양상의 조사가 필요

질병과 상해

– 질환과 상해가 정신건강에 영향

– 재해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은 신체 손상뿐만 아니라, 여러 신경학적 · 정신과적 문제를 일으키는 심리 손상을 받음

– 신체적 질병이나 외상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대상자와 치료적 관계를 수립하고 정신건강 상태를 유지하도록 대상자를 돕는 것이 필요

– 계절적 기분장애는 겨울에는 우울장애로, 여름에는 다행증으로 나타나는 특징

– 계절적 기분장애의 원인은 뇌 손상, 계절에 대한 신체의 부적응, 스트레스로 인한 신경전달물질인 멜라토닌의 생산억제와 관련되어 일주기리듬 이 방해 받는 것과 관련

– 계절적 기분장애는 일주기리듬과 조화를 이루고 멜라토닌 생산을 증가시키는 특수한 밝은 광선에 일정기간 노출을 시킴으로써 호전 될 수 있음

정신생물학적 사정

– 정신질환이나 신경질환의 증상이 비슷하다 하더라도 치료는 매우 다름

– 간호사는 진단되지 않은 신체질환을 가려내고, 정신 장애와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며, 대상자의 증상을 사정하고 치료방향을 정
하고 다른 영역 전문가의 자문이 필요한지를 판단 해야 함

– 뇌종양, 내분비장애 등의 신체질환은 정신증상을 유발시키고 현존하는 정신 장애를 악화시키며, 비정신과적인 상황에서 대상자를 잘못 판단
할 수 있음

– 간호사는 대상자의 전반적인 사정을 위하여 기본적인 신체검진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고, 좀 더 복잡한 신체검진 결과도 해석할 수 있어야 함

– 검사과정 동안 간호사는 대상 자가 일상생활 중에 언제 사고, 수술, 혹은 경련 등으로 뇌손상을 입었는지 관심을 기울여야 함

– 생물학적 사정에는 신경학적 검진이 포함, EEG, MRI, SPECT, PET, CT와 같은 기술을 통해 진단

– 대상자가 검사를 받은 후에, 간호사는 대상자 문제의 근원이 정신과적인 것이고 정신과적인 중재가 도움이 되는지 , 또 다른 전문가에게 자문
을 구해야 되는지를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