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정신건강간호학) 강박관련 장애

(정신건강간호학) 강박관련 장애

1. 강박사고 : 반복적으로 의식에 침투하는 고통스러운 생각, 충동 또는 심상

2. 강박행동 :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행동

3. 강박장애 특징

–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원하지 않는 생각(강박사고)와 행동(강박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경우

– 자아 이질적 : 자신의 행동이 부적절함을 인지함(심적 고통 경험)

–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합리적임을 알면서도 반복적으로 강박행동

– 초자아가 강하고 완벽주의 성격

– 주로 성적, 대칭성, 청결 등에 대해 강박적인 사고와 행동을 보임

방어기제 : 격리, 대치, 반동형성, 취소

4. 발모광 : 스트레스사건과 최근의 상실 경험과 관련성이 높음, 방임, 아동학대의 과거력과 관련 높음

5. 신체이형장애 : 다른 사람이 보기에는 괜찮거나 또는 경미한 정도인데 본인은 자신의 일부가 기형적이라고 집착하는 경우

근육변형증 : 자신의 체격이 너무 왜소하거나 근육질이 부족하다는 믿음을 가지는 경우

6. 강박장애 간호중재

– 기본욕구(식사, 휴식, 청결)이 충족되었는지 확인

– 강박(의식)행동을 할 수 있는 시간 허용 : 강박행동에 대한 환자의 욕구에 공감

– 강박행동을 허용적인 방법으로 받아들임 : 못하게 하면 불안을 조절할 수 없어 공황상태가 됨

– 환자가 나타내는 증상으로 인해 벌을 받거나 불리하게 되지 않는 환경 조성

– 신체적 보호 : 적당한 음식섭취, 피로예방, 피부보호, 감염예방

– 강박행동이 건강을 해칠 정도로 심할 때 제한

– 서서히 제한을 가하여 강박(의식)행위를 줄이도록 하며 긍정적인 비의식적 행위(바람직한 대처기전)을 강화,

단순한 활동, 게임, 과제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