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정신건강간호학) 양극성 및 관련 장애와 간호 02

(정신건강간호학) 양극성 및 관련 장애와 간호 02

5.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 지나치게 저조하거나 고양된 기분의 상태가 지속되어 현실 생활의 적응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는 정신 장애

하위유형주요 진단 특징
형 양극성 장애조증 삽화가 1번 또는 그 이상 나타나는 경우
조증삽화와 주요 우울 삽화가 교대로 나타나는 경우
조증삽화의 기간은 1주일 이상이어야 한다.
형 양극성 장애경조증 삽화와 함께 최소 1번 이상의 주요 우울 삽화가 나타나는 경우
경조증 삽화의 기간은 최소한 4일간 연이어 지속되어야 한다.
-> 양극성 Ⅰ형보다 우울증이 더 심한 경우가 많다.
(조증삽화는 한번도 없어야 됨)
순환성 장애경조증과 경우울증이 2년(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1년)이상 장기적으로 순환하면서 나타나는 경우 (만성이고 주기가 길다)
제1형 양극성 장애보다 주기가 짧고 불규칙, 급격한 기분 변화

((잘 보기))

★ 대부분 남자는 조증부터/ 여자는 우울증(주요우울삽화)부터 시작한다.

6. 양극성 장애 간호중재 (★★★★★)

(1) 대상자 간호 -간호사 관계 형성

– 낮은 자존감과 열등감으로 인하여 쉽게 분노를 표출, 간호사는 대상자를 거절하거나 비판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충분히 공감해주어야 함.

– 대상자의 역동을 파악하고 이해, 긴 토론이나 논쟁보다는 사실적이고 간결하게 요약된 설명이 효과적

– 일관성 있게 치료계획이 이루어져야 함.

– 자기조절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행동에 대한 구조적인 제한 설정

– 경쟁적 활동 참여 제한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장려할 필요는 없음)

– 부정적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도록 격려, 과다행동을 분출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건설적인 목적으로 이용되게)

7.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1) 1차적 약물 : 기분안정제 (리튬: Lithium)

2차적 약물 : 항경련제 (발포릭산 : valporic acid, 카바마제핀: Carbamazepine) 사용

– 초조나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벤조디아제핀 항불안제

– 양극성장애의 우울삽화 – 리튬(Lithium), 라모트리진(Lamotrigine) = 1차약물

2) 리튬 치료 용량 (0.8~1.4mEq/L)

급성기 : 1.0~1.5mEq/L

유지기 : 0.6~1.2mEq/L => 3.5이상(사망) : 계속해서 모니터해야 함.

3) 부작용에 대한 치료

– 수액공급으로 나트륨이나 전해질 불균형 개선, 이뇨제 사용으로 배설 촉진, EKG와 신체활력징후 관찰

4) 리튬 사용시 주의점

– 리튬은 신장에서 Na재흡수를 감소시켜 Na부족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적정량의 염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 땀을 많이 흘리는 운동을 한 경우 염분이 다량 소실되므로 주의

8. 양극성 장애 역사적 배경

– 4C 히포크라테스 : 우울증과 조증을 구별하여 기술

– 1C 아레테우스 : 우울증과 조증의 증상을 기술 이 두 정서 상태가 서로 밀접한 관련있다고 주장

– 1899년 크레펠린 : 우울증과 조증은 같은 사람에게 주기적으로 번갈아 나타나는 하나의 질병임 주장 (조울증 명명)

– 1980년대 미국정신의학회 DSM-3에 양극성 장애 포함

– DSM 4 우울장애와 함께 기분장애의 한 하위유형으로 분류

– DSM 5 양극성 장애와 우울장애가 독립적인 장으로 분리

9. 양극성 장애 정신사회학적 이론

양극성 장애의 조증 삽화는 무의식적 상실이나 자존심 손상에 대한 방어나 보상 반응

프로이트 : 우울장애 핵심적 갈등은 동일하지 에너지가 외부로 방출

아브라함 : 내재된 우울에 저항하는 방어 행동

멜라니클라인 : 우울증에 대한 일종의 방어작용

낮은 자존감과 자기 비하로 인한 우울은 부정하고 자기만족으로 대치 하거나 충동과 같은 즐거운 충동 혹은 공격성과 같은 두려움을 주는 충동으로 자아가 압도된 결과로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