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정신건강간호학) 우울장애

(정신건강간호학) 우울장애

1. 우울장애 역학적 특징

– 정신장애중 가장 높은 유병률 남<여(2배) / – 평균발병 20대 중반, 청소년기 급증

– 한번 재발 50~60%, 재발 세 번 70% , 재발 네 번 90% / – 가족 내 경험자가 있는 경우 1.5~3배

2. 우울장애 원인

1) 유전적 요인

– 가족력은 일반 인구에 비해 2배 높은 유병률 / 일란성 쌍생아 경우 이란성 쌍생아보다 2~4배 높은 비율

2) 생화학적 요인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도파민 결핍, 클루타메이트 결핍/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에 의한 갑상선 자극 호르몬 반응 저하, 코티솔 분비 증가

3) 신경내분비요인 : 갑상선 부신피질, 뇌하수체와 같은 내분비장애 대상자에서 우울증/ 5~10% TSH저하, 산후 호르몬 변동

4) 생물학적 리듬 : 전체수면시간과 서파 감소, REM 수면 증가. REM 잠복기와 NREM수면 감소 – 수면의 질 떨어짐

5) 약물부작용 : 만성퇴행성질환, 항고혈압제, 암페타민, 바비튜레이트 코카인, 알콜 습관성 약물

스테로이드 암페타민 삼환계 우울제 등

6) 신경해부학적 : 변연계, 시싱하부 등 연결하는 회로의 이상

시상하부기능이상 : 수면, 식욕, 성행위 변화 및 내분비, 면여계 생물학적 변화

3. 우울장애 정신분석학적 요인

우울은 상실에 대한 애도과정이 지연되거나 왜곡

1) 구강기에 어머니와 관계 문제가 있는 사람

2) 실제 혹은 상징적인 대상의 상실을 경험하게 되면

3) 그 고통을 감당하기 위한 방어기제로 함입이 동원 된다.

4) 상실한 대상에 대하여 지녔던 분노나 공격성이 자기 자신에게 향하게 되는 것이 우울

우울증이 발생하기 쉬운 성격 유형 : 의존적, 강박적 성격

4. 학습이론 -> 학습된 무력감

: 대상자가 자신의 환경에서 강화요인을 통제할 수 없다고 믿는 성격경향인 동시에 행동양상

5. 우울증

: 결혼<독신<이혼/사별 // 원만한 가정< 문제가정 // <초산<경산부, 전문직 젊은 여성의 첫아이 출산

6. 파괴적 기분조절부전장애

– 심한 분노를 반복적으로 폭발시키는 행동을 나타냄

– 6~18세 사이 아동이나 청소년 시기에 호발

– 만성적이고 지속적인 과민성(짜증)

– 분노 폭발(매주 평균 3회이상 12개월이상 지속) – 좌절에 대한 극도의 낮은 내성 친구관계 유지 어려움

7. 주요 우울 장애

– 우울장애의 하위유형 중에 증상이 가장 심한 것 하루에 대부분 우울증이 연속적으로 2주 이상 나타남

8. 갱년기 우울증

MAO의 활동성 증가, 자율신경계 평형 깨짐, 갱년기(발병40대 후반기 여성)/ 병전 성격 : 강박적, 양심적, 융통성이 적고 책임감, 급하고 예민

치료하지 않으면 자살 시도율 증가

9. 지속성 우울장애

– DSM 4에서 만성주요우울장애와 기분부전장애를 통합

– 적어도 2년이상 대부분의 날 동안 우울한 기분이 존재

– 2년의 기간 중 증상이 없는 기간이 2달을 넘지 않음

10. 월경전 불쾌감 장애

– 월경 전 일주일 동안 활동에 대한 흥미가 감소되고 월경 시작 시 짧게 나타나서 월경 후에 적거나 없다.

– 불안정한 기분, 과민성, 불쾌감, 불안 반복적으로 월경 주기 전에 시작 월경 시작 또는 직후에 사라짐

– 직업 사회생활에 영향 능력 현저히 감소, 행동 신체증상 동반

11. 우울장애 간호사정

1) 정서 변화

가. 성인 : 건강염려증, 죄책감, 의심, 절망감, 공허감, 건망증, 빈둥지증후군, 홧병

나. 아동 : 짜증, 반항, 등교거부 성적저하, 여러 가지 신체증상, 약물남용, 비행, 고3병

다. 모호한 신체증상, 불면, 불안, 집중력과 기억력 저하 (가성치매)

12. 우울장애 치료과정

급성기 (목표: 대상자의 증상제거: 6~12주)

지속기 (목표 : 증상 재발 예방: 회복 후 4~6개월)

유지기 (목표 : 질병의 순환 예방 (3~5년)

13. 우울증 약물 치료

– 약물 치료의 성공률 60~80%이나 효과는 투약 2~6주 후 나타남.

– 자살 위험이 있는 대상자는 다른 향정신 약물을 병행

– 삼환계 항우울제 : 고용량 치명적, 자살의도 있는 대상자에게 특히 유의

– MAO 억제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등

– 망상을 비롯한 정신병적 상태 – 항정신병 약물 등 병용

14. 우울증 약물 부작용

• TCA : 입마름, 변비 등 항콜린성 부작용, 기립성 저혈압

• MAOIs : Tyramine과 함께 섭취시 고혈압 위기 초래 / 후두엽, 측두엽의 두통, 뻣뻣한 목, 흉통, 오심, 심한 발한

뛰는 맥박, 홍조 등 나타나면 복용 중지

투약기간 중 초컬릿, 말린 무화과, 바나나, 치즈, 포도주, 요구르트, 발효된 고기, 식초에 절인 훈제청어 제한

기타 : 불면증, 기립성 저혈압, 구강건조, 체중증가, 변비

• SSRIs : 식욕부진, 불면, 성기능 장애 (장기 사용시 체중증가)

충분한 용량을 충분한 기간 동안 사용 중요

15. 우울장애 신체치료

1) 전기 경련 요법(Electro : ECT)

– 환자의 관자놀이에 붙인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대발작을 인위적으로 유도시키는 치료방법

– 적응증: 심한 우울증, 잦은 재발, 약물에 내성이 있는 대상자, 내인성 우울증에 효과

– 합병증 : 기억력장애(일시적), 무월경, 불안, 혼돈, 대부분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기억은 완전히 회복

2) 경두개 자기자극법 : 우울증에서 기능이 저하되는 뇌의 전두엽에 전류를 유발

3) 광선치료법 : 계절성 우울증 밤낮이 바뀐 환자들 / 각성주기를 바꾸어 주고 멜라토닌 대사 영향

16. 우울장애 대상자 가족교육

– 질병의 이해: 애도의 단계/ 증상, 우울의 개념등

– 질병관리

– 약물관리(부작용, 의사에게 알릴 부작용, 규칙적 복용의 중요성, 약효가 나타나는 기간, MAOIs 식이관련 포함)

– 자기표현기술, 스트레스 관리기술, 전기자극치료

– 지원서비스 : 자살 응급전화, 지지그룹, 법적 경제적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