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액(精液)은 정자를 포함한 생식에 필요한 물질을 함유한 체액이며, 색깔은 하얀 상태를 띄며 후대에 그 유전자를 전하기 위한 정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남성들의 몸에서 정자와 함께 생성되는 액상 물질로, 여성의 몸에 비유하면 난자+자궁 속 양수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체액이 그렇듯이 결코 산뜻한 이미지를 풍기는 물질은 아니지만, 본인의 DNA 절반이 담긴 정자들이 그 안을 헤엄치고 있다. 매우 특이한 사례로 자신의 혈액형과 정액의 혈액형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약 100만분의 1의 확률이다.
두 사정관에 연결된 하나의 요도를 통해 정액은 빠져나가게 된다. 요도로 이동한 정액은 전립선(prostate gland)에서 분비된 물질과 섞여 약한 염기성을 띄게 되는데, 정자의 활동성을 높이고 산성인 여성의 질내에서 정자가 생존하는 것에 도움을 준다. 여성과 다르게 남성은 음경(penis)이라고 부르는 신체 외로 튀어나온 기관을 통해 요도가 밖으로 길게 빠져나와 있는데, 바로 이곳으로 정액이 나오게 된다. 물론 오줌과 정액이 같이 나오는 일은 없다. 추가로 사정을 하기 위해서 남성의 음경은 단단하게 변한다. 이를 발기(erection)라고 부르며, 요도를 둘러싼 발기 조직(erectile tissue)의 혈관에 의해 일어난다. 사정된 정자는 여성의 질(vagina)를 통해 여성의 신체 내부로 이동한다.
인간의 기본적인 1회 사정량은 4ml~6ml이며 정자의 성숙에 필요한 기간은 약 3일이다. 이는 생성된 정자가 부정소에서 성숙하기까지의 시간이다. 다만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정원세포가 감수분열을 거쳐 정세포가 되고 이것이 정자로 변형되는 과정에는 2개월 이상이 걸린다. 양을 늘리는 방법은 사정 문서로. 가끔 과다정액증이라는 희귀한 케이스가 있는데 한번 사정량이 엄청난 사람이 있다.
한편 다른 동물의 사정량은 개코원숭이가 1회에 1ml, 말은 1회에 40~120ml, 돼지는 150~500ml, 얼룩말은 1,000~1,500ml다. 정액의 양은 짝짓기 생태와 연관이 있다는 학설이 있는데, 체내 수정을 하는 종 중에서 정액의 사정량이 많을수록 그 개체는 암컷이 다른 수컷의 정자를 받아들일 확률이 높다는 주장이다. 쉽게 말해 같은 자궁에서 다른 수컷의 정자와 경쟁(…)을 해야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양이 늘어난다는 내용. 반대로 일부일처가 보편적인 종은 경쟁이 필요 없으니 상대적으로 적다는 것인데, 인간의 ‘양’은 불행인지 다행인지 후자의 것으로 진화하지 않았다. 주의해야 할 점은 여기서의 ‘외도’는 암컷에게만 해당하는 게 아니라는 것. 뭐 어차피 수컷이 외도가 많다고 할 경우에도 자신의 정자를 골인시키기 위해서 정액의 양이 많아져야 하니까 별로 뭔가 달라지진 않는다. 또한 물속에 사는 체외수정 생물들은 물이라는 특이한 환경 + 알을 몸 밖으로 뿌리는 암컷 때문에 외도와 상관없이 정액 방출량이 많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및 옥스퍼드 대학교의 연구진들은 “진화론적으로 잘생긴 수컷은 교미의 기회가 많기 때문에 정액의 농도를 묽게 조정해야 하므로 정액의 양과 질이 나쁘고 못생긴 수컷은 교미의 기회가 적어서 적은 기회 동안 확실히 수정을 성공시켜야 하므로 정액의 양과 질이 높아 동일한 정액량 대비 임신 확률은 전자보다 후자가 더 높다.”는 동물실험 연구결과를 발표 하였다. 이런 원리를 사람에게 적용하는 문제에 대해서 연구진은 조심스런 접근을 보였는데 연구진은 “사람이나 다른 영장류에도 이런 원리가 적용될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사람이 매력을 느끼는 과정은 복잡하고 문화적 요소도 있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연구진은 “매력과 교미 기회는 다른 동물 종에서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사람에게도 비슷한 영향력이 주어지는 게 아닐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Ascorbic acid (= 비타민C. for tissue maintenance)
Ammonia (암모니아. natural disinfectant)
Ash (neutral base)
Blood-group antigens (from immune system)
Calcium (칼슘. mineral for teeth, bone, muscle and nerve health)
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 natural gas we exhale)
Chlorine (염소. oxidizing agent)
Cholesterol (콜레스테롤. steroid alcohol present in body fluids)
Chlorine (base, part of the vitamin B complex)
Citric acid (구연산. prevents blood clots)
Copper (구리. natural metal in blood)
Creatine (크레아틴. increases energy, formation of muscle and burns fat)
Deoxyribonucleic acid (DNA)
Ergothioneine (protects skin from DNA damage)
Fructose (과당. sugar used for energy and preventing diabetes)
Glutathione (글루타치온. peptide amino acid prevents cancer and improves success of chemotherapy)
Glycerylphorylcholine (enzyme)
Glycoproteins (당단백. cancer fighting agent)
Hyaluronidase (히알루론산 분해 효소. enzyme)
Inorganic material (neutral molecules)
Inositol (이노시톨. prevents hair loss)
Lactic acid (젖산. material repairs burns and wounds)
Lipids (지방. Functions as a fat burner)
Magnesium (마그네슘. mineral)
Nitrogen (질소. gas found in all living tissue)
Phosphorus (인(원소). mineral)
Phosphorylcholine (mineral)
Prostaglandins (프로스타글란딘. good for pregnancy)
Potassium (칼륨. mineral)
Purine (퓨린. compound of uric acid)
Pyrimidine (피리미딘. organic base)
Pyruvic acid (피루브산. fetilizing agent)
Selenium (셀레늄. cancer fighting agent)
Sodium (나트륨. salt)
Sorbitol (소르비톨. body alcohol promotes bowel regularity)
Spermidine (catalytic enzyme)
Spermine (ammonia compound found in sperm)
Sulfur (황(원소). mineral helps in smoothing skin)
TGFbeta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fights cancer and obesity)
Urea (요소. skin treatments: psoriasis, xerosis, onychomycosis, ichthyosis, eczema, keratosis, keratoderma, corns, calluses and medical basis of urine therapy)
Uric acid (요산. over half the antioxidant capacity of blood plasma comes from uric acid and helps prevent diabetes)
Vitamin B12 (비타민B12. for proper function of nervous system and metabolism, builds stamina)
Zinc (아연. mineral fights acne)
Zinc Alpha 2 Glycoprotein (ZAG)(enzyme fights diabetes, obesity and acne)
길게 써놨지만 대부분 성분이 물이며 나머진 극소수의 비타민 등 영양소와 금속 등의 무기질로 구성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나 핵심 성분으로 단백질의 부패에 관여해 악취가 나는 푸트레신(putrescine)과 카다베린(cadaverine)도 포함되어 있다.
칼로리는 10kcal 미만이다.
정자와 정장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장액은 정낭액과 전립선액, 요도구선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요도구선액은 쿠퍼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음경이 발기되고 나서도 성적 흥분이 지속되면 사정 직전에 요도에서 찐득찐득한 맑은 물이 흘러나오는 것이 이것이다. 이 점액은 소변 때문에 산성화된 요도를 중화시켜 산성에 약한 정자가 배출되자마자 죽어버리는 불상사를 방지해 준다. 쿠퍼액이나 프리컴(precum)이라는 명칭으로 많이 알려져있다.
비율로 보자면 정낭액 66%, 전립선액 33%으로 이 두 종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역으로 보자면 정액의 형태나 맛 등에 관여하는 건 이 두 가지라고 볼 수 있다. 나머지 1%는 정자와 요도구선액이다. 즉 정액은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고, 1%만이 정자이다.
이 정장액 비율은 일정하지 않다. 미리 섞여있는 것이 아니라 사정 직전까지 정낭에는 정낭액이, 전립선에는 전립선액으로 나눠져 들어있기 때문이다. 물론 정낭과 전립선은 사정관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가는 관으로 연결되어 있다보니 잘 섞이지 않는다. 사정은 전립선의 수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맨 처음에는 전립선 안에 차 있던 전립선액이 분출되고, 그 다음으로 정낭에 있던 정낭액이 전립선으로 흘러 들어와 분출된다. 이 때문에 처음에 분출되는 정액은 전립선액의 비중이 높고, 나중으로 갈수록 정낭액의 비중이 높아진다.
완경이라는 좋은 말을 두고 왜 폐경이라는 말을 쓰세요? 영상 https://youtu.be/fUpRNlc3AV0?t=1 주요 내용 폐경에 쓰이는 한자말…
36주 낙태사건 충격 반전 영상 https://youtu.be/dJRWNQervSI 내용 한때 36주 낙태사건 때문에 난리가 났었는데 병원장이 '자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