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지역간호학) 국제보건의 이해

(지역간호학) 국제보건의 이해

1. 국제보건의 개요

국제보건의 개념

– 목적 : 범세계적인 건강 수준 향상과 건강 불평등 감소, 국경을 넘어 위협이 되는 질병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하는 것

국제보건의 정의

– 의미 : 개별 국가 차원의 보건 문제와 공중보건에 대한 관점을 전 세계적 맥락에서 공유하고 이해될 수 있도록 세계 인구 집단의 총체적 건강을 돌보는 것

– 정의 : 국가 간의 경계와 정치 · 경제적 영향을 초월한 세계인의 평등한 건강과 건강증진을 위한 연구와 실무에 우선순위를 둔 학문

국제보건의 필요성

– 윤리적 창원에서 국제보건은 필요한 책임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공동체가 반드시 참여하고 기여해야 하는 활동

– 국제걱으로 공중보건 문제와 국제적 공동대응이 필요할 뿐 아니라 이민자, 난민과 강제 실향민의 건강문제 측면에서도 국제보건이 필요

국제보건규칙

– 1969년 보건총회에서 제정

– 국제보건규칙(IHR 2005, International Health Regulation)을 제정

– 국제보건규칙의 목적 : 국가간 질병확산을 막고, 공중보건 차원에서 대응할 수 있는 조치를 제시하기 위함

– 국제보건규칙의 적용 원칙

  • 첫째, 인간의 존엄, 권리, 근본적인 자유의 전적인 존중이다.
  • 둘째, 국제연합헌장과 세계보건기구의 헌장을 준수한다.
  • 셋째, 질병의 국가간 전파에서 세계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해 보편적으로 적용한다.
  • 마지막으로 자국의 보건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는 것은 각 국가의 주권을 존중한다는 것이다.

세계화와 국제보건

– 세계화로 인해 국가 간의 인구이동이 늘고 감염병의 국가 간 이동이 증가되어 한 지역에만 국한되었던 감염병이 세계를 위협

– 담배와 정크 푸드 등의 확산도 만성 질환의 증가에 영향

– 산업화를 촉진시키며 대기오염이나 지구온난화

– 세계화에 따른 국제협력, 국제보건의 필요성과 역할의 확대가 요구

국제보건사업의 기획과 평가

국제보건사업의 기획

– 자료수집

– 이해관계자 및 협력대상국 분석

국제보건사업의 실행계획

– 목표설정

– 협력대상국 내 상황 분석

– 실행계획 수립

– 모니터링과 평가계획

3. 국제보건기구

국제보건기구의 현황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 목적 : 국제보건활동에 대한 지휘 · 조정기구로서 국제보건, 의료사업지도, 조정, 연구를 통한 질병 없는 세계를 구현하고 각국의 보건의료 부문의 발전을 위한 재정지원, 기술훈련 및 자문활동 등

– 설립 목적 : 모든 국민이 가능한 최고 수준의 건강에 도달

– 구조 : 본부 – 스위스 제네바

– 우리나라는 1949년 8월 17일 세계 65번째 회원국에 가입, 서태평양 지역

국제간호협의회(ICN,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

– 우리나라는 1949년 회원국으로 정식 가입

– 1989년 서울에서 개최되었던 제19차 총회

시그마 국제학회(STTI, Sigma Theta Tau International)

– 간호사들의 학습, 지식, 전문직 개발을 지원하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

유엔아동기금(UNICEF, United Nations International Children’s Emergency Fund)

– 전후 어린이와 청소년을 구호하기 위한 긴급원조계획을 목적으로 설립

4. 국제보건에서의 간호 및 보건의료 서비스

– 국제환경에서 제공해야 할 보건의료 서비스와 간호사의 역할

① 건강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환경개선

② 아동 및 청소년 건강증진

③ 가족계획 개선

④ 약물남용 감소

⑤ 감염성 질환의 확대 예방

⑥ 신체적, 정신적 질환관리

⑦ 국제적 필요성과 요구에 따른 보건의료전달체계의 적용 및 개발

⑧ 타당하고 경제적으로 용이한 건강측정방법의 연구 및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