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지역간호학) 지역보건사업 – 보건소

(지역간호학) 지역보건사업 – 보건소

1) 보건소 업무내용

(1) 건강친화적인 지역사회 여건의 조성

(2) 지역보건의료정책의 기획, 조사, 연구 및 평가

(3) 보건의료인 및 보건의료기관 등에 대한 지도 · 관리 · 육성과 국민보건 향상을 위한 지도 · 관리

(4) 보건의료 관련기관 · 단체, 학교, 직장 등과의 협력체계 구축

(5) 지역주민의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 · 관리를 위한 다음의 지역보건의료서비스 제공

① 국민건강증진 · 구강건강 · 영양관리사업 및 보건교육

②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③ 모성과 영유아의 건강 유지 · 증진

④ 여성 · 노인 · 장애인 등 보건의료 취약계층의 건강 유지 · 증진

⑤ 정신건강증진 및 생명존중에 관한 사항

⑥ 지역주민에 대한 진료, 건강검진 및 만성질환 등의 질병관리에 관한 사항

⑦ 가정 및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 및 건강관련사업

⑧ 난임의 예방 및 관리

💡 보건의료기관, 단체나 의료인에게 위탁 가능한 업무 (지역보건법 시행령 제23조)

  • 지역사회 건강실태조사에 관한 업무, 지역보건의료계획의 시행에 관한 업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업무, 전문지식 및 기술이 필요한 진료·실험 또는 검사 업무(의료인에게 위탁 가능), 가정 및 사회복지시설 등을 방문하여 행하는 보건의료사업에 관한 업무

2) 보건소 설치 및 조직

(1) 설치 기준

  • 시(구가 설치되지 아니한 시를 말함) · 군 · 구별로 1개소 씩 설치
  • 다만, 지역주민의 보건의료를 위하여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보건소 추가 설치 가능
  • 이때, 행정안전부 장관과 보건복지부장관이 미리 협의하여야 함

3) 보건소 현황 및 문제점

(1) 행정단위별 보건소의 설치

  • 지역의 사회적 · 경제적 · 지리적 요인과 의료자원의 분포 등을 고려하지 않은 설치

(2) 보건소 조직의 이원화

① 행정안전부 : 인력, 예산 지원

② 보건복지부 : 보건행정 및 보건의료 사업 지도, 감독

(3) 국민건강요구 변화에 따른 대응력 미흡

(4) 환경위생문제에 따른 대응력 미흡 : 환경위생업무는 행정안전부에서 담당

(5) 보건의료서비스 기능의 포괄성 미흡 : 진료서비스 기능 취약, 실적 위주의 예방 서비스

(6) 주민의 보건소 이용 저조 : 서비스의 질이 떨어진다는 소비자들의 인식으로 이용률이 민간 의료기관에 비해 저조

(7) 전문 인력 확보 미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