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간호학) 지역보건사업 – 지역보건의료계획
1) 지역보건의료계획의 내용
(1) 지역보건의료계획 공통 내용(지역보건법 제7조)
① 보건의료수요 측정
② 지역보건의료서비스에 관한 장·단기 공급대책
③ 인력 · 조직 · 재정 등 보건의료자원의 조달 및 관리
④ 지역보건의료서비스의 전달체계 구성 방안
⑤ 지역보건의료에 관련된 통계의 수집 및 정리
(2) 지역보건의료계획 공통 세부 내용 (「지역보건법 시행령」 제4조)
① 시 · 군 · 구와 시 · 도의 공통 세부 내용
- 지역보건의료계획의 달성 목표
- 지역현황과 전망
- 지역보건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 간의 기능 분담 및 발전 방향
- 보건소의 기능 및 업무의 추진계획과 추진 현황
-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인력 · 시설 등 자원 확충 및 정비계획
- 취약계층의 건강관리 및 지역주민의 건강상태 격차 해소를 위한 추진계획
- 지역보건의료와 사회복지사업 간의 연계성 확보계획 cf. 시 · 군 지역보건의료계획의 요구를 반영(제5조)
② 시 · 도의 지역보건의료계획의 추가 내용
- 의료기관의 병상 수급
- 정신질환 등의 치료를 위한 전문치료시설의 수급
- 시 · 군 · 구의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설치 · 운영의 지원
- 시 · 군 · 구의 지역보건의료기관 인력의 교육훈련
- 지역보건의료기관과 보건의료 관련기관 · 단체 간의 협력 · 연계
2) 지역사회 건강조사
(1) 목적 : 지역주민의 건강 상태 및 건강 문제의 원인 등 파악
(2) 지자체장이 매년 보건소를 통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질병관리청장에게 통보
(3) 표본조사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한 경우 전수조사 가능
(4) 내용

- 소음순 수술한지 한달 돼서 쓰는 후기
- (지역간호학) 지역보건사업 – 지역보건의료계획
- (지역간호학) 지역보건사업 –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건강생활지원센터
- (지역간호학) 지역보건사업 – 보건소
-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10 – 식도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