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지역간호학) 지역사회 간호과정 01

(지역간호학) 지역사회 간호과정 01

– 간호과정 : 기대되는 결과를 향한 간호행위의 체계

– 지역사회 간호과정 : 지역사회주민의 욕구충족과 최적의 건강 성취 및 실현을 돕기 위해 간호행위를 조직화한 틀

– 지역사회 간호과정의 절차 : 지역사회의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의 순

지역사회 간호사정

지역사회 간호사정의 기본 원칙

①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사정계획을 수립한다.

② 지역주민 개개인의 문제보다 지역주민 전체에 초점을 둔다.

③ 보건의료 전문인의 판단보다는 지역주민의 요구에 근거한 간호문제가 무엇인가에 대한 인식으로 접근한다.

④ 지역사회와 인구집단의 건강요구뿐만 아니라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많은 강점을 파악한다.

⑤ 자료수집 시에는 그 지역의 주민뿐만 아니라 지역지도자, 보건의료인, 단체나 집단의 구성원, 인근 지역의 정보, 기존 자료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한다.

지역사회 간호사정의 자료수집

자료수집 방법

① 간접 자료의 조사

– 기존자료(공공기관의 인구조사 및 생정통계 자료, 공식적으로 보고된 통계자료 및 의료기관의 건강기록 자료, 연구논문자료 등)의 표준화된 통계자료를 이용하는 것으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자료수집 방법

② 직접 자료수집

– 직접 자료수집 방법에는 설문지 조사, 참여관찰, 정보원 면담, 차창 밖 조사 등이 있다.

가. 설문지 조사(survey)

– 대상자의 가정, 시설 및 기관 등을 방문하여 대상자를 직접 면담함으로써 얻는 방법

– 구조화된 또는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

–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비경제적, 비효율적이지만 매우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자료수집 방법

나.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 영향을 미치는 의식, 행사 등에 직접 참여하여 관찰하는 방법

– 지역사회의 가치, 규범, 신념, 권력구조, 문제해결 과정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

다. 정보원 면담(information interview)

– 공식, 비공식적인 지역 지도자나 지역 유지, 행정기관장(시장, 구청장, 군수, 읍 · 면 · 동장)과 지역사회 단체장(노인회장, 부녀회장, 청년회장), 종교지도자 등 주요 정보제공자를 통해 지역사회의 건강문제, 문제해결 과정의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

라. 차창 밖 조사(windshield survey)

– 지역시찰이라고도 하는 이 방법은 지역사회를 두루 다니며 신속하게 관찰하는 방법

– 관찰내용으로는 지역의 주거상태나 형태, 공사 진행 여부와 안전 위협요소나 소음 · 악취 · 오염원 등의 환경, 교통수단 및 도로상태 등의 이동수단, 주민들이 이용하는 쇼핑/공공장소, 거리에 있는 일반적 특성, 주로 만날 수 있는 인종 · 식당 · 언어 등의 문화, 이용 가능한 안전시설(소방서, 경찰서)의 위치, 주민들이 이용하는 건강서비스 수준, TV · 방송국 등의 의사소통 매체, 공공/사립시설의 교육시설 등을 관찰

자료수집 내용

가. 지역사회의 특성 – 그 지역사회의 역사적 배경과 발달과정, 지리학적 특성

나. 인구학적 특성 – 인구통계에서 취급되는 변수들로서 지역주민 수, 주민의 전입-전출, 성별 · 연령별 인구분포, 소득수준, 교육수준 등

다. 환경적 특성 – 주택과 물 공급, 교통수단

라. 건강상태 – 생물학적 통계(출생률, 유병률, 발생률, 사망률)와 면역학적 수준, 지역사회 내 건강증진 프로그램, 예방적인 건강서비스의 유효성과 같은 지표가 포함

마. 지역사회 자원 – 지역사회의 유용한 보건의료 자료와 건강자원, 인적 자원, 이용 가능한 예산 등이 포함

  • 인적자원
  • 보건의료기관
  • 사회적 자원

지역사회 간호사정의 자료분석

– 분류단계 : 특성별로 범주화하여 서로 연관성 있는 것끼리 묶어준다.

– 요약단계 : 항목 간 관련성을 고려하여 특성에 따라 비율을 구하고 표나 그림, 그래프 등으로 요약하여 작성

– 확인단계 : 과거나 다른 지역의 상황과 비교하여 부족한 자료를 확인

– 결론단계 : 수집된 자료의 의미를 찾는 단계, 구체적인 지역사회 건강문제

지역사회 간호진단

– 각종 법령, 규정, 기준, 지침, 업무분장표 등을 기초로 하여 지역사회 간호문제를 확정

– 확정된 간호문제에 대한 개인, 가족, 지역사회와 관련된 원인을 파악하여 건강문제를 밝히는 단계

지역사회 간호진단 분류체계

구분북미간호진단협회의 간호진단 분류체계
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오마하 문제분류체계
The OMAHA problem classification scheme
가정간호 분류체계
Home Health Care Classification System
국제간호실무 분류체계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Nursing Practice
약자NANDAOMAHAHHCCSICNP
목적급성 관리상황에 초점을 둔 간호진단지역사회보건 간호실무영역에 적용 가능하며 간호과정에 기초를 둔 간호진단가정간호 제공 시 요구되는 자원을 결정하기 위해 대상자를 사정, 분류하는 방법 개발국제 간호용어의 표준화
간호
진단
정의
간호진단
실제 건강문제, 잠재적 건강문제 또는 삶의 과정에 대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반응을 임상적으로 판단하는 것
대상자 문제
대상자의 안녕에 실제적, 잠재적으로 불리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나타내는 간호진단
간호진단
NANDA와 동일
간호현상
환자 및 환자 주변 상태에 대해서 간호사가 하는 간호진단을 의미
5단계로 분류
1단계 인간반응양상(9개)
2단계 진단명
3단계 진단명
4단계 진단명
5단계 진단명
4단계로 분류
1단계 영역 (4영역)
2단계 문제(42개)
3단계 수정인자(2set)
4단계 징후/증상(378개)
4단계로 분류
1단계 요소(20개)
2단계 대분류(50개)
3단계 하위분류(95개)
4단계 수정인자(3개)
7개의 축
초점
판단
시간
장소
방법
활동
대상자
예)
1단계 관계
2단계 역할장애
3단계 역할수행장애
4단계 부모역할
5단계 부모역할장애
예)
1단계 환경 영역
2단계 주거
3단계 가족, 실제적
4단계 경사진 계단
예)
1단계 역할관계
2단계 역할수행장애
3단계 부모역할 갈등
4단계 향상될 수 있는 부모역할 갈등
구조13개 영역, 47개 분류, 200+ 진단문제분류체계 + 중재체계 + 결과평가체계20개 간호진단, 60개 중재진단, 중재, 결과 연결 문장 구조
특징– PES 형식 사용
– 간호문제 중심
– 병원 임상에 적합
– 지역사회 기반
– 클라이언트 중심
– 평가까지 포함
– Medicare 기준
– 방문간호 특화
– 실무 간편화
– WHO/ICN 주도
– 전자기록과 연동 용이
– SNOMED CT 호환 가능
사용 환경병원, 일반 임상지역사회간호, 공공보건방문간호, 가정간호국제 병원, 연구, 전산 시스템
예시불안, 낙상위험성, 비효율적 호흡양상 등주거환경 문제, 정신건강 문제 등영양관리, 상처간호, 투약관리 등“급성 통증 관련된 수술 후 상태” 등 문장 형태
북미간호진단협회(NANDA) 간호진단 분류체계

– 실제 건강문제, 잠재적 건강문제 또는 삶의 과정에 대한 개인, 가족, 지역사회의 반응을 임상적으로 판단하는 것

오마하(Omaha) 문제분류체계

– 문제분류체계, 중재분류체계, 결과를 위한 문제등급척도의 3종류

– 문제분류체계 : 4개의 수준

  • 첫째 수준 : 4개의 영역(domia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무자의 우선순위 영역과 대상자의 건강 관련 문제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환경적, 심리 · 사회적, 생리적, 건강관련 행위 영역으로 구분된다.
  • 둘째 수준 : 영역별 문제(problem)로 42개 용어들(개념)이 대상자의 문제, 간호요구와 강점들을 나타낸다.
  • 셋째 수준 : 문제별 2개의 수정인자(modifier)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정인자의 하나는 문제의 심각성 정도로서 건강증진, 잠재적 결핍 또는 장애, 실제적 결핍 또는 장애로 구분되며, 다른 하나는 대상을 규명하는 것으로 개인, 가족, 지역사회가 포함된다.
  • 넷째 수준 : 각각의 문제에 대한 실제적인 징후와 증상(sign & symptom)을 말한다. 징후는 대상자의 문제에 대한 객관적 증거를 의미하고, 증상은 대상자 혹은 가족이 말하는 주관적인 증거를 의미한다.
가정간호 분류체계
국제간호실무 분류체계(ICNP)

–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공통의 언어와 분류체계를 개발하여 간호정보를 비교하고, 간호실무와 연구를 촉진하고자 개발되었다.

– ICNP 축과 예제

예제
초점간호실무의 초점
판단판단, 가능성
시간기간, 빈도, 시간, 대상자에게 일어난 사건
장소장소, 신체부위, 분류, 신체부분
방법수단, 경로, 물품
활동활동 유형
대상자보유자, 수혜자, 인간

– 간호진단과 간호결과 조합 가이드라인

① 초점 축 용어 하나를 포함한다.

② 판단 축 용어 하나를 포함한다.

③ 필요시 초점, 판단과 나머지 4개(대상자, 장소, 방법, 시간) 축의 용어를 포함한다.

7개 축활동대상자초점판단장소방법시간
간호진단  투약 불이행위험가정  
 지역사회고혈압 유병률높다   
 돌봄제공자쓰레기처리서비스손상   
간호중재설명환자  가정투약지침 
간호결과  투약 이행실제가정  

– 간호중재 조합 가이드라인

① 활동 축 용어 하나를 포함한다.

②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대상용어를 포함한다. 대상용어는 판단 축을 제외한 모든 축의 용어가 될 수 있다.

③ 필요시 활동과 나머지 5개(대상자, 초점, 장소, 방법, 시간) 축의 용어를 포함한다.

간호진단의 우선순위 결정

–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하며 우선순위가 높은 간호문제부터 먼저 해결해야 한다.

– PATCH : 문제의 중요성과 그 문제해결을 위한 변화 가능성

– Bryant 결정기준

– BPRS 방식

–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정도와 건강문제를 해결하려는 지역사회 동기수준, 건강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사의 능력, 건강문제 해결에 필요한 전문가의 유용성, 건강문제 해결이 되지 않을 때 후속적으로 생길 결과의 심각성 및 건강문제 해결에 걸리는 시간에 따라서 결정한다.

– 영향받는 지역사회 인구집단의 범위와 대상자의 취약성, 문제의 심각성, 자원동원 가능성, 주민의 관심도, 간호사의 준비도, 국가정책과의 연관성에 따라 결정한다.

간호문제영향을 받는 지역사회 인구 집단 범위대상자의 취약성문제의 심각성자원동원 가능성주민의 관심도간호사의 준비도국가정책과의 연관성총점순위
부적절한 쓰레기 관리5432132202
부적절한 보건의료 행위4321241173
높은 성인병 유병률5543334271

– 현존하는 문제의 특성과 해결능력, 예방 가능성, 문제인식의 차등성에 따라 이를 점수화하여 우선순위를 결정하기도 한다.

우선순위 결정 단계

① 지역사회 대표자를 선정

② 간호사와 지역사회 대표들이 다음의 문제에 답을 한다.

③ 각 문제들에 대해 1점(낮음)에서 10점(높음)까지 점수를 준다.

④ 동일한 과정을 우선순위 결정기준들에 따라 반복한다.

⑤ 각 문제들에 대해 지역사회가 상황(문제)를 변화시킬 수 있는가를 질문한다.

⑥ 각 문제의 비중과 점수에 대해 동의한다.

⑦ 각 기준들에 대해 비중과 점수를 곱하여 합계를 낸다.

⑧ 각 점수들을 비교하여 우선순위를 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