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동맥류가 일단 발견되면 이제부터 치료의 주목적은 재출혈을 방지하고 나빠진 뇌의 상태를 호전시키는 것이다.
① 보존적 치료 (일반적인 약물을 사용한 증상치료)
② 수술적 치료 (뇌동맥류 제거술)
● 수술치료 방법
뇌동맥류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목적은 동맥류의 재파열을 막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여러 가지 치료방법 중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동맥류 경부를 동맥류클립으로 결찰하여 정상적인 혈류를 유지하면서 동맥류를 체순환계로부터 완전분리시키는 동맥류 경부 직접결찰이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경우는 직접결찰이 곤란한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포착, 근위동맥결찰, 포장 등이 실시된다.
① 포찰
포찰은 동맥류가 있는 부위 모동맥의 근위부와 원위부를 결찰하여 동맥류를 체순환계로부터 완전 차단시키는 방법이다. 이는 동맥류의 재출혈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정상적인 혈류를 차단하는 결과로 그 사용이 제한되어 있으며 동맥류의 경부가 넓거나 거대동맥류의 경우에 의해서 같이 경우 직접결찰이 곤란하거나 그 부위의 혈류를 차단하여도 원위부의 혈액공급에 장애가 없는 경우에 사용된다.
② 근위동맥결찰
근위동맥결찰은 동맥류가 있는 부위 모동맥의 근위부만 결찰하여 동맥류에 가해지는 혈압을 낮추어서 동맥류 파열의 가능성을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동맥류내의 혈전형성을 유도하고자 실시되는 수술방법으로써, 이러한 수술법은 거대동맥류, 후대뇌동맥 원위부의 동맥류, 추골동맥 동맥류 등에 실시되며, 역시 원위부에 수분순환이 충분한 경우에 실시된다.
1) 수술 전 간호
① 진단이나 절차, 결과 등에 대해 설명
② 환자에게 수반의 필요성을 설명
③ 금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항생제가 수술중에 투여된다는 것과 소화불량을 검사하기 위해 배로관을 삽입한다는 것을 설명
④ 수술 후와 비교하기 위해 환자의 신경계 상태와 활력징후를 평가
2) 수술 후 간호
◎ 기본적 관심과 호흡유지를 위해
① 호흡, 폐음은 자주 청진
② 의식수준 자주 사정
③ 분비물을 자주 흡인하여 기도를 청결 유지
④ 구강배액 분비물 배액증진을 위해 옆으로 눕힌다.
⑤ 분비물 배액을 증진시키기 위해 흉부타진을 자주 해준다.
⑥ 호흡곤란이 심하면 산소를 공급.
⑦ 자주 체위변경을 해준다.
⑧ 흉부 X-ray 촬영, 호흡기계감염의 증상을 관찰
◎ 적절한 뇌조직관류 · 의식수준을 위해
① 침대안정을 권장하고 머리부분을 올려주고 편안함을 느끼게한다.
② 의식수준, 언어, 동공크기, 지남력, 혈압, 활력징후를 매시간 측정
◎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① 무의식 상태에서 발생될수 있는 건강문제로 욕창, 폐합병증, 대소변장애, 요로감염, 신체 외상등이 생길 수 있음을 가족에게 설명
② 잦은 체위 변경, 피부청결, 뼈 돌출부위의 마사지등으로 욕창을 예방
③ 흉부타진, 분비물흡인, 음식이나 수분이 기도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폐합병증 발생 예방
◎ 수분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그래서 지방은 태우기한다고 하나봐요 역시 숨쉬는것도 운동이였어 지방 10키로를 수분1.6키로, 이산화탄소 8.4키로로 만드는 변환과정은 왜 생략을하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