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한국형 Denver II 검사 (K-DDST 소아발달 검사지 결과 채점)

한국형 Denver II 검사 (K-DDST 소아발달 검사지 결과 채점)

개요

– 출생~만 6세 사이의 아동에게 사용되도록 개발됨

– 해당연령의 검사 항목에서 수행정도를 사정하여 발달 지연 혹은 문제의 가능성이 있는 아동을 선별하여 객관적인 검사로 발달지연 의심을 확증하고 고위험 아동을 계속 관찰하기 위한 목적

– 개인-사회발달 영역 – 22문항

– 미세운동 및 적응 발달 영역 – 27문항

– 언어발달 영역 – 34문항

– 운동발달 영역 – 27문항

검사 도구

검사 도구는 한국형 Denver-Ⅱ 발달검사(K-DDST)를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들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에 사용되는 주요 도구로는 빨간 털실뭉치, 건포도, 손잡이가 있는 딸랑이 장난감, 가로/세로/높이 2.5cm의 적목 10개, 작은 종, 정구공, 빨간 색연필, 종이 1장, 작은 플라스틱 인형, 손잡이 달린 컵 등이 있다. 이러한 도구들은 아동의 발달 영역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영역의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예를 들어 적목은 미세운동-적응발달 영역의 소근육 조절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고, 정구공은 운동발달 영역의 대근육 운동 능력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이처럼 다양한 도구들이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고 볼 수 있다.

검사지

결과 표시방법

기호내용
P
(Pass)
실제로 할 수 있었던 경우
F
(Fail)
실제로 할 수 없었던 경우
R
(Refuse)
실제로 할 수 있다고 믿는데 여러 가지 사정으로 거절한 경우
NO
(No Opportunity)
실제로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한 번도 없었으면 기회 없음으로 표시
C
(Caution)
75~90%에 연령선이 통과하는 문항을 실패하거나 거절한 경우
A
(Advanced)
연령선보다 완전히 오른쪽에 있는 항목을 통과한 경우
OK25~75%에 연령선이 걸쳐진 항목을 통과, 실패, 거절한 경우

채점

구분내용
정상– 지연이 없고 주의항목 최대 1개
– 다음 다음 때 재검사
의문– 1개의 지연항목 그리고/또는 2개나 그 이상의 주의항
– 공포, 질병, 피곤함 같은 일시적인 요소를 배제하기 위해 1~2주 내에 재검사
검사 불능– 완전히 연령선 왼쪽의 항목에서 1개 이상의 거부나 75~90% 사이에 연령선이 지나는 항목에 2개 이상의 R 점수가 있는 경우
이상– 2개 이사의 지연항목이 있는 경우
– 진단적 평가를 위해 의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