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부학) 신경계통 01

개요

–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기관과 계통을 전체적으로 총괄, 조절하여 인체의 기능적인 균형을 유지 시킨다.

– 자극 → 구심성 신경(afferent,들신경 섬유, 감각신경) → 중추 → 원심성 신경(efferent, 날신경섬 유, 운동신경) → 효과기

1. 신경계통의 구성

(1) 구성

–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CNS) : 뇌, 척수

–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 : 뇌신경(12쌍), 척수신경(31쌍)

(2) 신경계의 구성요소 : 신경세포와 신경아교세포

1) 신경세포(nerve cell, neuron, 뉴런, 신경원) : 신경계을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

➀ 세포체 : 핵, 리보솜(단백질 합성)

➁ 돌기(process)

㉠ 수상돌기 : 한개 혹은 여러개로 흥분을 감각성으로 세포체에 이르게 한다.

㉡ 축삭돌기(axon) : 한개, 세포체 흥분을 운동성으로 말초에 전도한다, 피막(말이집, 수초, 절연 체 역할)으로 덮혀있다.

2) 신경아교세포(neuroglia) : 지지작용, 손상부위 청소, 수복, 물질공급, 말이집 형성, 포식작용

3) 연접(시냅스)

➀ 뉴런과 뉴런의 접합부

➁ 연접을 이루는 축삭 말단 막:연접 이전막에는 연접소포(화학물질 신경전달물질)가 있다.

마주보는 수상돌기나 세포체 막 : 연접 이후막에는 연접소포가 없다.

∴ 흥분이 한 방향으로만 전달

➂ 전기연접 : 활동전위 – 전류가 다음세포로 전달

➃ 화학연접 : 신경전달물질

(3) 신경세포의 흥분 전도

➀ 분극(세포내 –70으로 안정막 전위) →
➁ 탈분극(Na 먼저들어갈래 +30) →
➂ 재분극(그라믄 K 나갈래) →
➃ 과분극(K가 너무 많이 나감) →
➄ Na+ – K+ 펌프 사용 해서 균형을 맞추게 된다.

1) 안정상테의 세포막은 뉴런의 세포 안이 바깥에 비해 음전하로 하전되어 있다 : 분극 → -70mV (안정막 전위)

세포내액의 주요 양이온은 K+이며 세포외액의 주요 양이온은 Na+이다

2) 뉴런이 자극을 받게되면 Na+이 급속히 세포 내로 확산되어 들어와 신경흥분을 일으킨다 : 탈분극 → +30mV

3) 세포내는 양전하가 되어버리고 이때 K+이 세포막 밖으로 나간다.

그 결과 세포 안이 점차 양전하가 감소하게 되어 안정시 수준으로 돌아가게 된다 : 재분극

4) 그런데 K+이 너무 많이 나가 -90mV 가 되어 버린다 : 과분극

5) 이 때 Na+ – K+ 펌프가 작동하여 K+2개가 세포 밖으로 나가고 Na+ 3개가 세포막 안으로 들어오게 된다.

이때는 ATP사용하여 균형을 맞추게 된다

2. 중추신경계

(1) 뇌(Brain)

1) 대뇌

➀ 뇌에서 가장 큰 부분, 두 개의 반구로 구성, 좌우 반구는 고랑으로 구분

➁ 대뇌피질 : 회색질, 수초가 없다. 대뇌고랑(sulcus)과 대뇌이랑(gyrus), 엽으로 구분

전두엽과 두정엽의 경계는 중심고랑. 표면적이 넓다. 브로드만은 52개 영역으로 구분

㉠ 전두엽 : 주요 운동 피질이 있다, 성격, 수의적 운동조절, 좌우측에 브로카 영역(언어 기능에 관여 하며 장해시 운동성 실어증), 연수에서 교차

㉡ 두정엽 : 체성감각 피질이 있다. 감각정보 수용, 연수에서 교차

㉢ 측두엽 : 청각피질이 있다, 청각에 관여, 베르니케 영역(말과 글의 이해, 장해시 감각성 실어증-언어를 이해 못함)

㉣ 후두엽 : 시각피질이 있다.

➂ 대뇌수질 : 백색질, 수초로 덮혀 있다.

2) 기저핵(바닥핵, basal ganglia)

➀ 대뇌 피질과 중뇌와 간뇌사이, 회색질의 조직 덩어리, 운동신경 협동작용

➁ 꼬리핵, 렌즈핵(창백핵, 피각), 전장, 적핵, 흑질

➂ 기저핵 손상 질환

㉠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 꼬리핵이나 피각 손상으로 도파민을 보내는 흑색질의 신경 세포가 퇴화,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 근육강직, 안정시 진전, 운종실조, 대뇌 신경전달물 질인 도파민 부족, 노인

㉡ 헌팅무도병 : 유전질환, GABA분비 신경세포 장애, 무도병(chorea)-꼬리핵 손상, 통제불가능 한 무의미한 과잉 운동 반복

㉢ 무정위운종증(꼼지락 운동,athetosis) : 렌즈핵 손상, 꼬이면서 비틀리는 운동 반복

㉣ 반쪽무도병(편무도병,hemiballismus) : 시상밑핵 장애, 팔다리 운동이 거칠고 난폭하게 반복

3) 뇌파 – 뇌 표면에 전극을 대어 전위가 발생한 뇌의 활동 기록, 뇌전도(EEG), 델타파(수면형 뇌파)

4) 수면

➀ 느린눈운동 수면(서파수면) : 얕은 수면, NREM, 총수면의 80%, 꿈(❌)

➁ 빠른눈운동 수면 : 깊은수면, REM, 꿈(O), 총수면의 20%

5) 학습과 고전적 조건부여

➀ 학습 : 장기간에 걸쳐서 능률적으로 변화시키는 과정, 반복

➁ 무조건 반사 : 침분비 반사

➂ 조건반사 : 종소리만 울려도 침분비, 생획득된 반응

➃ 본능 : 선천적, 젖빨기

6) 간뇌

➀ 시상(thalamus) : 3뇌실을 감싸고 있다. 척수에서 올라온 후각을 제외한 감각자극을 대뇌 피 질과 다른 부위의 뇌에 전달 하고 통합하는 부위(중계소 역할)

➁ 시상하부(hypothalamus) : 자율신경계의 최고중추(배고픔, 갈증, 심박동수, 혈압조절), 체온 조절,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➂ 3뇌실 : CSF의 순환, 대뇌의 시상부위에 있다.

7) 뇌간(뇌줄기, brain stem) : 중뇌, 교뇌, 연수

➀ 중뇌(midbrain) : 근육운동 자극을 뇌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 동안신경, 활차신경 시작

➁ 교뇌(pons) : 삼차신경, 외전신경, 안면신경, 청신경 시작

➂ 연수(medulla oblongata) : 뇌와 척수 연결, 설인, 미주, 부신경, 설하신경 시작, 호흡, 재채기,연하, 기침, 구토, 혈관수축 등의 불수의적 운종 조절, 전두엽과 두정엽에서 뻗어 나 온 운동로와 감각로는 연수에서 교차

8) 소뇌(cefebellum) :후두엽 아래, 신체의 균형유지, 온몸 근육의 미세조정 통해 정확한 운동

yongyong

Recent Posts

수술실 조명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이유

수술실 조명에서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 이유 무영등(無影燈, shadowless lamp)이라는 특수 조명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10만 Lux…

43분 ago

연차별 간호사의 초점

연차별 간호사의 초점 신규 간호사의 초첨 미숙한 업무 능력 불분명한 업무 경계 프리셉터와의 갈등 3년차…

58분 ago

(성형외과) 히알루론산 필러 주사 6년 맞은 환자 MRI 그래픽 결과

(성형외과) 히알루론산 필러 주사 6년 맞은 환자 MRI 그래픽 결과 https://www.tiktok.com/@kamiparsamd/video/7390433025697533230

2시간 ago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

(약리학) 자율신경계 약물 신경계통 - 체내의 신호전달 및 조절을 담당 하나로 된 고도의 통합체 I.…

12시간 ago

(건강사정) 피부 모발 손발톱

(건강사정) 피부 모발 손발톱 1. 해부 · 생리 표피 피부의 외부를 구성하는 가장 바깥쪽 얇은…

15시간 ago

(건강사정) 통증 사정

(건강사정) 통증 사정 1. 통증의 정의 모든 사람이 어느 시기에 어떤 정도의 통증을 경험한다. 통증은…

16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