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계통 02

2. 척수(spinal cord)

(1) 중추 신경계, 연수의 연장부, 척추의 척추관 안에 들어있다.

(2) 대후두공에서 시작하여 요추 L1 혹은 L2에서 끝남

∴ L3~L4에서 요추천자 : 척수손상(❌) 지주막하강에 뇌척수액 채취

(3) 31개의 부분, 각부분에서 한 쌍의 척수신경(spinal nerve)이 기시함.

(4) H형 회백질 – 신경세포 밀집, 백색질 – 수초(O)

(5) 척수의 신경로 : 백질 부분

1) 감각신경로(sensory pathway)=오름신경로=상행전도로:신체감각정보->두정엽의 체감각영역

➀ 척수 시상로계 : 가벼운 촉각, 압력, 온도,통각 전달

➁ 척수 소뇌로계

2) 운동신경로(motor pathway)=내림신경로=하행전도로:전두엽->근육으로 전달, 수의적 운동

➀ 피라미드로계:섬세하고 정교한 근육 운동을 하게함

➁ 피라미드외로계

(6) 반사궁(reflex arc)

1) 자신의 의지(❌), 항상성 유지

2) 뜨거운 냄비 잡았을 때 손을 피한다(굴곡반사)

3) 슬개건 반사(신장반사)

4) H형 회백질;신경세포체, 나비모양 앞쪽은 전각, 뒤쪽은 후각 ∴후각->전각으로

3. 뇌실과 뇌척수액

(1) 뇌실 : 모두 4개가 있다(측뇌실 2개, 3뇌실, 4뇌실)-> 뇌척수액의 생성과 순환에 관여

(2)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CSF)

1) 뇌실의 맥락막총(choroid plexus)에서 생성된다. 뇌실과 척수를 순환한다.

뇌막의 지주막하강(subarachnoid)에 흐른다.

2) 무색&무취 당,전해질, 산소, 물, 이산화탄소, 단백질, WBC

3) 뇌를 보호하는 쿠션역할, 정상 뇌압 유지, 영양공급, 대사 노폐물 제거

4) 요추천자(lumbar puncture):L3~L4에서 뇌척수액 채취&압력 잰다

5) 뇌수종: CSF유통 방해로 저류되어 뇌실 내의 압력이 높아짐

(3) 뇌막

1) 경막(dura) – 가장 바깥

2) 지주막(arachnoid=거미막)

지주막 아래(지주막하강)에 CSF이 흐른다.

3) 연막(pia) : 가장 안층

4. 말초신경계(PNS)

(1) 뇌신경(cranial nerve) : 뇌로부터 시작되는 말초신경, 12쌍. 감각신경, 운동신경, 혼합신경(감각과 운동)

(2) 뇌신경 종류

1) 후신경: 후각, 감각N

2) 시신경: 시각, 감각N

3) 동안신경: 안구운동(상직근,하직근,내측직근, 하사근), 상안근 들어올림, 운동N

4) 활차신경:상사근, 운동N

5) 삼차신경:혼합N

➀ 감각(3분지:눈,상악,하악) – 얼굴과 머리 앞면 감각

➁ 운동 – 저작

6) 외전신경 : 외측직근, 운동N

7) 안면신경:혼합N

➀ 감각 – 혀 앞쪽 2/3 미각

➁ 운동 – 얼굴 근육 지배, 표정근

8) 청신경 : 감각N, 청각(와우 신경)과 평형감각(전정신경)

9) 설인신경 : 혼합N, 혀와 인두에 분포

➀ 감각 : 혀 뒤쪽 1/3 미각

➁ 운동 : 인두근육 운동-삼키기

10) 미주신경(vagus N) : 혼합N, 목, 가슴, 배의 내장에 분포, 부교감신경이 주된 성분, 뇌신경 중에서 가장 길고 분포 범위가 넓다.

➀ 감각 : 귀 뒤 감각, 외이도 일부 감각

➁ 운동 : 발성 근육

➂ 부교감신경 : 소화효소 분비, 연동운동

11) 부신경 : 운동N, 흉쇄유돌근(머리 돌리기)과 승모근(억깨 으쓱하기)에 분포

12) 설하신경:운동N, 혀운동

(3) 척수신경(spinal nerve)

1) 31쌍, 경수(8쌍), 흉수(12쌍), 요수(5쌍), 천수(5쌍), 미수(2쌍)

2) 척수신경별로 담당하는 피부 구획이 있다(피부 분절도)

5. 자율신경(ANS)

(1) 내분비계와 함께 인체 내부 환경 조절

(2) 생명유지에 필요한 활동을 무의식적, 반사적으로 조절

(3) 내장, 혈관, 샘 등의 불수의 장기에 분포

(4) 교감신경계(sympathetic N)

1) 척수의 흉요부에서 시작

2) 스트레스(투쟁-도피반응) 상황에서 활성화

3) 혈압, 심박동수 증가, 말초혈관 수축, 위장관 연동운동 저하, 기관지 확장, 동공 확대

4) 말단에는 전달물질인 노아드레날린 방출 ∴아드레날린 작동성 신경

(5) 부교감신경(parasympathetic N)

1) 두개의 뇌간과 천골부에서 시작

2) 성장, 먹는 기능 조절, 에너지 보전 활동

3) 심박수와 심근수축력 감소, 혈압과 호흡수 감소, 위장관계 연동증가

4) 말단:전달물질 아세틸콜린 방출 ∴콜린 작동성 신경

yongyong

Share
Published by
yongyong

Recent Posts

성교육 보다 더 유익한 웹툰 추천 (육아일기)

성교육 보다 더 유익한 웹툰 추천 (육아일기) 육아일기 링크주소 https://comic.naver.com/webtoon/list?titleId=812354&page=7&sort=ASC 내용 반응 댓글

1일 ago

인간발달의 단계적 이론에 대한 비교

인간발달의 단계적 이론에 대한 비교 아동간호학다운로드 연령대심리성적발달(Freud)사회심리발달(Erikson)인지발달(Piaget)도덕발달(Kolberg)영아기구강기(출생~1.5세)구강의 욕구엄마에 대한 애착신뢰감 대 불신감(출생~1세)애착 형성기본 욕구 충족감각운동기…

2일 ago

정신과의사 “쎄하면 피해라”

정신과의사 “쎄하면 피해라” 내용 반응 댓글 쎄한거 역시 살면서 얻은 빅데이터임 옷차림, 눈빛, 시선, 몸짓,…

4일 ago

(여성건강간호학) 생식생리와 호르몬

(여성건강간호학) 생식생리와 호르몬 - 남녀의 생식기관은 모두 호르몬의 조절을 받으며 그 조절에 의해서 생식기관의 발달과…

4일 ago

호흡계통 03

호흡계통 03 (2) 호흡생리 1) 호흡기전 ➀ 흡식운동(inspiration) - 능동적, 근육수축, 에너지 소비 횡격막 수축…

5일 ago

호흡계통 02

호흡계통 02 호흡(respiration) : 산소흡입->세포->이산화탄소 배출. 흡기&호기;1회 호흡 외호흡(=폐호흡) : 폐(폐포)와 혈액 사이 산소와 이산화탄소…

5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