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사슬을 차단하여 병원체의 수와 전파를 줄일 수 있는 방법
감염성 질병 환자뿐만 아니라 모든 대상자에게 적용
손위생, 환자에게 일회용 기구를 사용하는 것과 사용된 기구의 오염제거와 재처리, 혈액이나 체액과 접촉 시 장갑, 가운, 마스크 모자의 착용, 일상적인 환경 청소 등이 포함
아포를 포함한 병원체뿐만 아니라 다른 어떠한 미생물도 전혀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방법
수술실, 분만실, 투석실, 내시경실, 심장 카터테실 등 적용
정맥주사, 도뇨관 삽입, 상처드레싱 등의 침습적 처치를 할때
외과적 손씻기, 멸균장갑, 멸균가운착용 등이 포함
1. 단순도뇨 세트를 무균법의 원칙에 따라 개봉
2. 소변을 받아낼 용기가 멸균되지 않은 곡반일 경우 도뇨세트 멸균 영역의 바깥 부분인 회음부 밑부분에 놓기
(멸균된 곡반일 경우에는 상관없음)
3. 멸균법에 따라 장갑을 착용
4. 대상자의 피부에 닿은 손은 더 이상 멸균 상태가 아님을 기억
5. 각 부위는 닦을 때마다 새로운 소독솜을 사용
6. 멸균법에 따라 장갑 벗기
방광 배액: 방광에 축적된 소변 제거.
소변 검사: 무균 상태의 소변 채취.
잔뇨량 측정: 배뇨 후 방광에 남은 소변의 양 확인.
요폐 완화: 요로 폐색이나 신경성 방광으로 인한 소변 정체 해소.
잔뇨 측정: 방광 기능 평가를 위한 잔뇨량 확인 시.
소변 정체: 급성 또는 만성 요폐로 자발 배뇨가 어려운 경우.
소변 검사: 감염 여부 확인 또는 무균 소변 채취가 필요한 경우.
수술 전후 관리: 수술 후 소변 배출 어려움 해소.
신경성 방광: 신경 손상으로 자발 배뇨가 불가능한 경우.
(간호관리학) 안전한 근무환경 안전한 근무환경 구성요소 - 국제적으로 안전한 근무환경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간호리더십협회에서는 근무환경을 9가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