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간호술기) 수혈요법 사전학습
수혈의 목적
① 부족한 순환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이다.
②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③ 혈액응고 인자를 보충하기 위함이다.
④ 혈액의 결핍성분을 보충하기 위함이다.
수혈 전 작성문서
수혈 중 유의 사항(주입 속도 조절 등)
아나필락시스반응, 용혈성수혈부작용, 패혈성 쇼크 등 중요한 수혈부작용은 수혈 후 15분 이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수혈 시작 후 5~15분간 환자를 관찰하여야 한다. 활력징후는 처음 15분 이내 최소 한 번 측정하여 기록하며, 그 후에는 수혈이 완료될 때까지 환자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한다.
주입시간 및 보관방법
혈액제제명 | 주입시간 | 보관방법 |
W/B (400 or 320cc) | 4시간 이내 | 냉장보관 |
RBC(200-250cc) | 2-4시간 | 냉장보관 |
FFP(160-200cc) | 30-60분 | 1-6℃에 보관, 늦어도 24시간 이내에는 수혈, 해동후 가능한 빨리 수혈 |
PC(30-50cc) | 5-10분 | 실온 보관(5일정도) |
plt pheresis(250-300cc) | 30-60분 | 실온 보관 |
(근거 : W/B와 RBC는 세균성장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입속도가 4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노인이나 심장질환 대상자는 더 천천히 주입하여야 한다)
혈액의 종류
혈액체제 | 혈액성분 제제별 용도 |
전혈 | – 대량출혈 또는 수술 시 사용 – 총 혈약량의 25% 이상 되는 출혈이 지속되어 쇼크에 빠질 우려가 있는 환자 – 산소운반능력과 혈액량 확장이 동시에 요구될 때 사용하는 것을 권장 농축 |
적혈구 | – 적혈구 부족 또는 기능 저하시, 철 결핍, 악성 재 생불량성 등 각종 빈혈, 일산화탄소 중독 등에 사 용 – 산소운반능력 부족의 증상을 보이는 만성 빈혈 환자 및 수술 또는 외상에 의해 총 혈액량의 15% 이상의 출혈이 있는 환자 |
농축 혈소판/ 성분채혈 혈소판 | –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혈액제제 – 혈소판 기능 이상 혈소판 감소 환자; 지혈가능 회복 – 급성 백혈병, 재생불량성 빈혈, 항암제 치료 악성종양의 골수 침범 등으로 혈소판 수가 20,000/ul 이하로 감소된 환자 |
동결참전 제제 | – 혈우병A, Factor Ⅷ 결핍증, 선천성 혹은 후천성 fibrinogen 결핍증 등 fibrinogen의 소모와 관계된 질환에 사용 |
(출처 : 대한적심자사 혈액관리본부 http://www.bloodinfo.net/)
부작용 및 대처방법
부작용
① Urticarial Reaction
② Febrile Reaction
③ Hemolytic Reaction
④ Anaphylatic Reaction
⑤ Volume overload
⑥ Non cardiogenic pulmonary edema
⑦ Infection(B, C형 간염, AIDS 등)
대처방법 01
① 환자를 안정시키고, 수혈을 중단하고 생리식염수로 정맥을 확보한다.
② 의사에게 부작용을 알린다.
③ 환자에게 주입되고 있던 혈액혈, 혈액번호, 이름, 등록번호를 다시 확인한다.
④ 의사의 처방에 따른 항히스타민제 등의 투약을 한다.
⑤ 활력증상을 관찰한다.
⑥ 필요한 경우는 수혈하던 혈액과 세트를 혈액은행으로 보낸다.
대처방법 02
① 수혈부작용이 의심되는 경우 수혈을 즉시 중지하고, 담당 의사에게 보고하고 혈액은행으로 연락하여야 한다. 수혈부작용 기록은 의무기록에 첨부되어야 한다.
② 의심되는 수혈부작용에 대하여 기관의 정해진 절차에 따라 즉시 조치를 취하고 혈액은행 담당의사, 병원장(혈액은행이 없는 의료기관), 수혈관리실 또는 수혈관리위원회에 보고하여 철저히 조사되어야 한다. 이 때, 의료기관의 장은 특정수혈부작용이 발생한 경우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바에 따라 그 사실을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 참고: 혈액관리법 제10조(특정수혈부작용에 대한 조치), 동법 시행규칙 제3조(특정수혈부작용), 동법 시행규칙 제13조(특정수혈부작용의 신고 등)
③ 해열진통제나 항히스타민제와 같은 수혈 전 예방적 투약(transfusion premedication)의 적응증은 논란이 많고 임상적 근거가 부족하여 적극적으로 권장되지 않는다. 만일 수혈 전 예방적 투약이 필요하다면 수혈 시작 전에 약물이 투여되어야 하며 경구투여의 경우 30분, 정맥투여의 경우 10분이 경과한 후 수혈을 시작할 것을 권장한다.
수혈 부작용의 기록
① 발견된 시간
② 나타난 시간
③ 증상에 따른 투약 및 처지
④ 수혈이 끝난 후의 환자상태
수혈반응에 대한 증상은 수혈 후 언제 나타나는가
– 처음 15~30분사이, 50~100ml를 주입하는 동안 나타남
수혈 후 주의사항
수혈 종료 후 다시 한 번 활력징후, 환자의 성명, 혈액형 및 혈액번호를 확인하고, 의무기록에 수혈 경과를 기록하고 혈액스티커를 부착한다. 단, 전자의무기록을 사용하는 경우 기관의 규칙을 따른다.
수혈관련 용어
blood transfusion 수혈
Petechia 점상출혈
rale 나음, 수포음
chilling 오한
temperature 체온
FFP (Fresh frozen plasma) 신선동결혈장
V/S vital signs 활력징후
antigen 항원
apnea 무호흡
Sx (sympton) 증상
anemia 빈혈
aplastic anemia 재생불량성 빈혈
Ab (antibody) 항체
Hb (Hemoglobin) 혈색소
RBC (red blood cells) 적혈구
WBC (white blood cells) 백혈구
lymphocyte 림프구
leukopenia 백혈구 감소증
diff. count (Differential) 혈구
leukopenia 백혈구
count 감별 계산
tachycardia 빈맥
Hct (hematocrit) 적혈구 용적비율
bradycardia 서맥
CBC (complete blood coount) 전혈검사
hemostasis 지혈, 울혈
hematoma 혈종
hemolysis 용혈
ECF (Extracellular fluid) 세포외액
ischemia 허혈
thrombosis 혈전증
arrhythmia 부정맥
megaloblastic anemia 거대적아구성 빈혈
수혈가이드라인 PDF
- (핵심간호술기) 말초산소포화도(Pulse oximeter)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EKG monitor) 적용 프로토콜 이론적 근거
- (핵심간호술기) 말초 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적용 사전학습
- 응사를 했다 (간호사 태움의 현실)
- (핵심간호술기)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프로토콜 이론적 근거
- (핵심간호술기)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사전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