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생애말간호
죽음에 대한 이해
철학적 관점
– 오직 한번 밖에 배당되지 않은 유한된 시간
– 죽음이란 과거, 현재, 미래가 이루는 일직선상의 마지막 끝이며 절대적 허무
– 동양철학에서는 인생을 윤회적(輪廻的)으로 해석
– 종교적 관점에서 영적인 세계의 시작
생물학적 관점
– 우리나라 뇌사 판정 기준은
임상적 관점
– 임상적으로 죽음이란 호흡과 순환이 모두 멈춘 상태
– 임상에서 의사가 호흡정지, 심박동정지, 동공확대 및 대광반사 소실이라고 하는 죽음의 3징후에 의거하여 ‘심폐사’라 판정하였다.
– 의사가 사망진단서를 작성함으로써 공식적으로 죽음이 인정된다.
죽음에 대한 심리적 적응
Elizabeth Ross (1969)에 의하면, 인간은 자신의 죽음을 받아들이기까지 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의 다섯가지 단계를 겪는다고 하였다.
(1) 제1단계 : 부정(denial)
(2) 제2단계 : 분노(anger)
(3) 제3단계 : 타협(bargaining)
(4) 제4단계 : 우울(depression)
(5) 제5단계 : 수용(acceptance)
죽음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
생애말 계획과 연명의료결정제도
– 우리나라는 “호스피스 ·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대상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중이다.
– 사전연명의료의향서 : 19세 이상인 사람이 자신의 연명의료중단 등 결정 및 호스피스에 관한 의사를 직접 문서(전자문서를 포함한다)로 작성한 것
– 19세 이상 성인은 언제든지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미리 작성해둘 수 있다.
– 평소 연명의료에 관한 대상자의 의향을 대상자 가족 2인 이상이 동일하게 진술한 경우 연명의료를 유보하거나중단할 수 있다.
장기와 조직 기증
– 갑작스러운 사고나 질병으로 인해 뇌사(brain death)에 이른 경우
– 현재 뇌사시 기증 가능한 장기는 신장, 간, 심장, 폐, 췌장, 랑게르한스(langerhans), 소장, 각막이며, 장기기증과 거의 동시에 장기이식 수술이 이루어진다.
안락사
– 한국 안됨
생애말간호
– 완화의료(palliative care) :통증의 치료, 사정, 조기발견으로 고통을 감소시키고 예방하며 신체적 · 정신적 · 영적문제를 경감시켜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을 가진 대상자와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
신체적 간호
• 통증조절
• 호흡곤란완화
• 구강간호와 영양관리
– 영양공급
– 식욕부진
• 수분섭취와 체액균형
• 배설증진
• 휴식과수면
• 욕창 및 위생관리
– 욕창관리
– 피부관리
– 외모
– 냄새
• 응급간호상황
– 고칼슘혈증
– 척수압박
– 상대정맥증후군
– 진통제의 사용원칙
• 규칙적 투여
• 경구투여
• 부작용 예측 및 조절
• 마약성 진통제에 대한 오해 사정
• 위약(placebo) 사용금지
– 신체적 간호의 요점
정서적 간호
– 생애말 대상자의 정서적 간호
• 옆에 있어 준다.
• 대상자의 언어에 귀를 기울인다.
• 감정에 초점을 맞춘다.
• 대상자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영적 간호
• 의미추구의 요구
• 용서에 대한 요구
• 사랑에 대한 요구
• 희망에 대한 요구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간호
– 국내 다문화가정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베트남, 일본, 중국을 포함한 동양권 국가들은 유교와 불교의 영향
사망을 앞둔 대상자 간호
– 신체적 변화
• 차가워짐
• 수면시간의 연장
• 혼돈
• 요실금 또는 변실금
• 울혈
• 불안정
• 수분과 음식의 섭취량 감소
• 소변량 감소
• 호흡양상의 변화
– 정서적 및 영적 간호
• 위축
• 환상과 같은 경험
• 불안정
• 대인관계 감소
• 대상자의 죽음을 인정하고 받아들임
• 마지막 인사
사별 후 가족 간호
– 사별단계
• 회피단계
• 직면단계
• 조정단계
사별 가족의 간호
– 슬픔 단계별 간호 (회피 -> 직면 -> 조정)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
– 호스피스(hospice)란 생애말 대상자가 죽기 전에 머물면서 쉬고 생을 정리하고 완성하여 조화를 이루는 작업을 하도록 시간과 공간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호스피스의 역사
– 중세기에 예루살렘 성지순례자들을 위하여 하룻밤 편히 쉬어가도록 한 것에서 비롯
– 우리나라는 1963년 마리아의 작은 자매 수녀회에 의해 갈바리 의원이 세워지면서 시작
– 1988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을 시작으로 하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암센터와 이화여자대학교 간호대학에서 가정방문호스피스 사업을 펼쳤다.
호스피스의 유형
– 일반적인 호스피스의 유형은 서비스 형태에 따라 가정방문형, 병원입원형, 시설거주형으로 나눌 수 있지만,
– 국내에서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입원형 호스피스, 가정형 호스피스, 자문형 호스피스로 분류되고 있으며 최근 시범사업으로 소아청소년완화의료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
– 입원형 호스피스 : 의료기관에서 호스피스 병동을 운영하는 것으로 말기암 대상자들에게 주로 제공된다.
– 가정형 호스피스 : 가장 보편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로 호스피스 요원이 대상자의 가정을 직접 방문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 자문형 호스피스 : 일반병동이나 외래에서 의료진의 진료를 받으며 호스피스에 관한 자문을 제공하는 형태이다.
– 소아청소년 완화의료서비스 : 소아청소년 대상자와 가족이 치료과정에서 겪는 여러 증상, 불편, 스트레스 등 신체, 심리, 사회적 어려움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의료서비스로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을 포함한 10개 기관에서 시범사업으로 운영되고 있다.
호스피스 간호사의 준비
– 호스피스는 대상자의 신체적 · 정신적 · 사회적 · 영적요구에 맞춰 개별적 접근에 의한 간호를 제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