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화 (Liver Cirrhosis; LC) 정의 원인 유형 증상 치료 및 간호중재

간경화 (Liver Cirrhosis; LC) 정의 원인 유형 증상 치료 및 간호중재

정의

간경변증은 간세포가 지속적으로 손상되면서 간 조직이 섬유화되고, 손상된 간세포를 대체하려는 과정에서 비정상적인 결절(nodules)이 형성되는 질환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간의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방해하며, 결국 간기능이 점차적으로 저하됩니다.

→ 말기에는 간부전(Liver failure)으로 진행될 수 있어 매우 중요한 만성 간질환입니다.

원인

– 간경변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부분 만성적인 간 손상이 반복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 유전적, 가족력적 요인: 윌슨병, 혈색소침착증(hemochromatosis) 등 유전 질환
  • 영양 결핍: 단백질, 비타민 결핍은 간세포 회복을 방해
  • 과도한 만성 알코올 섭취: 한국에서는 알코올성 간경변이 흔한 원인
  • 급성 바이러스 간염 후: B형, C형 간염이 만성화될 경우 간경변으로 이행 가능

유형

괴사후 간경변

– 간세포가 대량으로 괴사된 후 섬유화와 결절 형성이 일어남. B형, C형 간염과 같은 바이러스 간염, 자가면역성 간염, 독성 약물 등이 원인.

담즙성 간경변

– 담즙의 흐름이 장기간 막히거나 느려지면서 간에 손상이 생김

– 원발성 담즙성 간경변(PBC), 담도 폐쇄, 담석, 담관염 등이 원인

알코올성 간경변 (섭취성 간경변)

– 만성 음주로 인한 간세포 손상 누적으로 간의 섬유화가 진행

– 지방간 → 알코올성 간염 → 간경변의 순서로 진행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 대사증후군과 관련되어 간경변 진행 가능

증상

(1) 초기 증상

  • 대부분 무증상이며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기도 함
  •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증상: 피로감, 식욕감퇴, 복부 불편감, 체중 감소, 소화불량

(2) 후기 증상

간 기능 저하, 문맥고혈압, 호르몬 대사 장애 등으로 인한 전신 증상 출현

  • 황달: 고빌리루빈혈증에 의한 피부와 눈의 황변
  • 복수: 혈장단백 감소와 문맥압 증가로 복강 내 수분 축적
  • 정맥류 출혈: 식도정맥류 파열 시 생명 위협
  • 여성형 유방, 무월경, 성욕감퇴: 호르몬 대사 이상
  • 손바닥홍반, 거미상 혈관종: 에스트로겐 불균형
  • 신경학적 이상: 간성혼수, 진동감각 소실, 수면장애 등
  • 출혈 경향: 혈소판 감소 및 응고인자 부족으로 인한 멍, 잦은 코피, 출혈

치료 및 간호중재

간호의 핵심 목표

– 간 기능 보존, 합병증 예방, 삶의 질 유지

(1) 활동 및 생활 관리

  • 피로감을 고려해 충분한 휴식 필요
  • 무리한 운동은 삼가되,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벼운 신체 활동
  • 정서적 안정 (우울, 불안 감소) → 뇌 기능 저하 예방

(2) 식이요법

  • 초기: 고단백·고탄수화물 식이
  • 간성 뇌병증 발생 시: 단백질 제한
  • 염분 제한 (복수 예방), 금주 필수
  • 소량씩 자주 섭취 → 식욕 저하 보완
  • 비타민과 무기질 보충 (특히 비타민 K, 아연)

(3) 약물 및 치료

  • 이뇨제(복수 조절), 락툴로오스(암모니아 배출), 항생제
  • 필요 시 간이식 고려

(4) 합병증 예방 간호

  • 출혈 예방: 멍 방지, 부드러운 칫솔, 전기면도기 사용
  • 감염 예방: 개인 위생 철저, 무균 간호
  • 피부 간호: 가려움 완화, 보습제 도포
  • 안전 간호: 낙상 예방을 위한 환경 정리

혈액 검사 수치 (정상치 예시)

검사명정상치 범위
AST12–30 U/L
ALT5–30 U/L
총빌리루빈0.3–1.4 mg/dL
알부민3.5–5.5 g/dL
GGT5–51 U/L
PT11–15초
yongyong

Recent Posts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몸에서 지방이 빠져나가는 과정 그래서 지방은 태우기한다고 하나봐요 역시 숨쉬는것도 운동이였어 지방 10키로를 수분1.6키로, 이산화탄소 8.4키로로 만드는 변환과정은 왜 생략을하냐고!

6시간 ago

새벽 1시 넘어 자면 당뇨병 위험 최대 4배 증가 (솔방울샘 멜라토닌)

새벽 1시 넘어 자면 당뇨병 위험 최대 4배 증가 (솔방울샘 멜라토닌) 당뇨병 발생와 취침시간 관계…

6시간 ago

당뇨에 치명적인 습관

당뇨에 치명적인 습관 내용 반응 댓글 담배 안 피는데도 배 겁나 나왔는데 폈으면 무슨 세쌍둥이 임산부 될뻔 했네 지금은쌍둥이이신가봐요 근데 끊으면 즉각적으로 살 ㅈㄴ 찌는건 맞음 반년 내 10~15kg은 찐다봐야함 금단현상이 식욕으로 발생함 근데 문제는 뭐야 당연히 먹어도 해소가 안됨 내몸이 원하는건 니코틴이지 음식이 아니거든…

19시간 ago

간호사 직제 설명 (예시 –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

간호사 직제 설명 (예시 -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 대한민국 빅5 대학병원의 직제 예시는 다음과 같다.…

19시간 ago

간호사 유튜버가 말하는 차량 혈액형 스티커의 진실

간호사 유튜버가 말하는 차량 혈액형 스티커의 진실 내용 결론부터 말하면 아예 쓸모 없음 환자가 오면…

19시간 ago

밥 먹고 혈당 내리기 좋은 간단한 운동

밥 먹고 혈당 내리기 좋은 간단한 운동 식후 1시간 235 식후 1시간 30분 - 운동…

21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