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온 2년 보관 가능한 인공 혈액, 어디까지 왔나?

상온 2년 보관 가능한 인공 혈액, 어디까지 왔나?

최근 의료계에서 주목받는 소식 중 하나가 인공 혈액 개발입니다.

이 혈액은 기존 적혈구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으며, 혈액형 구분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특징을 갖습니다.

1. 기존 혈액 보관 한계와 인공 혈액의 장점

기존 사람 혈액: 냉장 보관 시 약 4주까지만 사용 가능

인공 혈액: 상온에서 최대 2년 보관 가능 → 긴급 상황·군사용·재난 대비에 매우 유리

혈액형 호환 불필요: 수혈 시 혈액형 매칭 절차를 단축, 골든타임 확보

2. 제작 방식

이 인공 혈액은 무(無)에서 합성한 것이 아님.

원료: 폐기 예정인 헌혈 혈액

제작 과정:

헌혈 혈액에서 헤모글로빈만 추출

이를 지질 막으로 감싸 캡슐 형태로 제작

적혈구 기능을 모사하면서도 안정성과 보관성을 높인 것이 특징

3. 개발 현황과 향후 계획

아직 임상시험 단계로, 상용화 전 안전성과 효능 검증이 필요

목표: 2030년까지 승인 및 실용화

실용화 시, 대규모 재난, 전쟁, 응급수술, 혈액 공급이 어려운 지역 등에서 혁신적인 역할 기대

4. 기대 효과

혈액 부족 문제 완화

구호 활동 및 전장 의료 대응력 향상

장기 보관 가능 → 원거리 운송 및 비축 용이

💡 정리

인공 혈액은 ‘혈액형 상관없이, 상온 2년 보관 가능’이라는 강점 덕분에 차세대 응급의료 혁신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 임상 단계에 있으므로 안전성과 효과가 충분히 입증되어야 합니다. 2030년 상용화가 현실이 된다면, 전 세계 혈액 수급 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입니다.

yongyong

Recent Posts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3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3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3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3일 ago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IntraCranial Pressure, ICP) 정의 : 두개강 내…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