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담낭, 췌장의 기능을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
| 검사 항목 | 의미 및 상승 시 의의 |
|---|---|
| AST (GOT), ALT (GPT) | 간세포 손상 시 상승 (간염, 간경화, 간암 등) |
| ALP (Alkaline phosphatase) | 담도폐쇄, 담석증, 간종양 등에서 상승 |
| LDH (Lactate dehydrogenase) | 간세포 괴사 시 증가 |
| Bilirubin (총·직·간접 빌리루빈) | 황달 정도 파악, 간세포성·폐쇄성 황달에서 증가 |
| Albumin | 간에서 합성 → 감소 시 간기능 저하, 영양불량 |
| Prothrombin time (PT) | 간에서 응고인자 생성 저하 시 연장됨 |
| Ammonia (NH₃) | 간에서 해독 불능 시 상승 → 간성뇌병증 위험 |
| α-fetoprotein (AFP) | 간세포암 표지자 |
| Amylase, Lipase | 췌장염, 담관 폐쇄 시 상승 |
| 종류 | 설명 |
|---|---|
| ERCP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 내시경으로 담췌관에 조영제 주입 후 직접 관찰 (담석, 협착 진단 및 제거 가능) |
| PTC (Percutaneous Transhepatic Cholangiography) | 피부를 통해 간을 천자하여 조영제 주입 → X선 촬영 |
| T-tube Cholangiography | 담낭적출술 후 T자관을 통해 조영제 주입, 담즙 배설 상태 확인 |
⚠️ 간호 포인트
| 구분 | 간호내용 |
|---|---|
| 검사 전 | 응고장애, 혈소판 수 확인, 금식, 활력징후 측정 |
| 검사 중 | 숨 참기 교육(침 삽입 시 간 움직임 방지) |
| 검사 후 | 우측으로 눕혀 1~2시간 압박 → 출혈예방, 24시간 침상안정 |
간질환 진단은 혈액검사(간효소·응고기능) → 영상검사(담낭·담관·혈관조영) → 침습검사(복부천자·간생검) 순으로 점진적으로 시행한다.
(성인간호학) 갑상샘 장애 🔹 1️⃣ 구조와 기능 기관 앞쪽 중앙에 위치, **좌·우 엽(lobe)**과 **협부(isthmus)**로 연결된…
젊은 당뇨병 환자 늘어나고 있음 https://nurseyong.com/%EB%8B%B9%EB%87%A8-%EC%98%A4%EB%8A%94-%EA%B3%BC%EC%A0%95-%EC%84%A4%EB%AA%85-txt/
엄지손가락-손바닥 검사 (thumb-palm test) 동맥류 여부 테스트 2번이 음성 3번이 양성 Thumb-Palm Test는 엄지손가락이 손바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