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부정맥 02

부정맥의 종류

자극형성장애로 인한 부정맥

– 동방결정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 동빈맥
  • 동서맥
  • 동부정맥
  • 동정지

–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 조기심방수축
  • 심방정맥
  • 심방조동
  • 심방세동

– 방실접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 방실접합 리듬
  • 조기방실접합수축
  • 방실접합 빈맥

–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 조기심실수축
  • 심실빈맥
  • 심실조동
  • 심실세동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

  • 동방차단
  • 방실차단
  • 각차단

자극형성장애로 인한 부정맥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동빈맥(sinus tachycardia)

– 동방결절에서 발생되는 부정맥으로 분당 심박수가 100회를 넘는 상태

– 질병이 없는 상태에도 흥분하거나 운동, 커피, 담배, 알코올 섭취, 식사 후에 발생할 수 있다.

– 동빈맥의 징후는 빠른 맥박이고, 증상으로 두근거림, 호흡곤란, 어지럼증

– 베타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등을 투약할 수 있다.

동서맥(sinus bradycardia)

– 교감신경계의 억제작용에 의해 분당 심박수가 60회 미만인 리듬

– 리듬은 규칙적

– 박동수가 감소하면 심박출량이 감소되어 조직산소결핍 증상들이 나타나게 됨

– 뇌혈류의 감소로 두통, 현기증, 실신 등이 올 수 있음

– 대부분 무증상이며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의식저하, 실신, 저혈압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치료가 필요하다.

– 아트로핀, 이소프로테레놀을 투약하거나 심장박동조율기를 사용

동부정맥(sinus arrhuthmia)

– 동방결절에서 발생하는 자극이 불규칙한 것

동정지(굴정지, sinus arrest)

– 동방결절이 일시적으로 전기자극 발생을 하지 못하는 상태

심방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조기심방수축(premature atrial contraction; PAC)

– 정상 시간보다 앞당겨 심방이 흥분되는 상태

– 변형된 P파를 볼 수 있음

– 대부분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으나, 일부 환자에게는 돌발심실상빈맥(발작심실상성빈맥,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으로 발전되기도 한다.

– 스트레스, 카페인, 담배, 감염, 저산소증, 심방비대, 심근허혈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음

– 베타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등이 주로 사용

심방빈맥

– 심방의 박동수가 1분에 150회에서 250회 정도로 현저히 증가된 상태

심방조동

– 심방에서 발생하는 분당 250-400회의 아주 빠르고 규칙적인 빈맥

– 톱니모양의 조동파(flutter wave, F파)

– 관상동맥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판막질환(승모판이나 삼첨판), 디기탈리스 중독, 저산소증, 울혈성 심부전, 개심수술 후 발생하는 무균성 심장막염으로 인해 발생한다.

– 임상증상 :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호흡곤란, 흉통이 발생하고 심부전 증상이 나타남

– 베타차단제, 나트륨통로차단제, 칼륨통로차단제, 칼슘통로차단제, 항응고제 등의 약물과 심장율동전환 등이 치료에 활용

심방세동

– 심방의 여러 부위가 아주 빠르고 불규칙적으로 흥분하는 상태

– 심방수축이 효과적이지 않다.

– 빠른 세동파(300-600회/분)

– 관상동맥질환, 류마티스 심질환, 판막심장병, 심부전과 같은 심장질환과 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만성폐쇄성폐질환, 폐쇄수면무호흡, 갑상샘항진증 등의 질환은 심방세동 발생과 관련성 높음

심실에서 발생하는 부정맥

조기심실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

– 심장질환이 없는 상태에서 단독 PVC가 발생하는 것은 치료를 요하지 않지만 심근경색 후 첫 4시간 안에 발생하거나 분당 6회 이상 나타나는 경우, 2개 이상 연달아 나타나는 경우 = 급성 심장질환의 경고증상으로 간주

– 증상 : 두근거림, 목과 가슴의 불편감, 협심증, 저혈압 등

– 베타차단제, 칼륨통로차단제, 항부정맥제, 전해질 교정 등

심실빈맥(ventricular tachtcardia; VT 또는 V-tach)

– 심실빈맥으로 심실 내 확장기 혈액충만시간이 감소되고, 심장수축력이 상실되어 심박출량이 심하게 감소될 수 잇음

– 그 결과 폐수종, 쇼크, 뇌혈류 감소를 가져올 수 있음

– 돌발심실상빈맥은 재발될 가능성이 높고 저혈압, 쇼크, 협심증, 울혈성 심부전, 뇌혈류의 저하를 유발하기도 함

– 전해질 보정, 베타차단제, 아미오다론(amiodarone, 항부정맥제), 나트륨통로차단제, 심장율동전환, 전극카테터절제술 등이 치료에 이요

– 맥박이 없는 심실빈맥은 심실세동과 같은 방법으로 치료하며 심폐소생술과 빠른 제세동이 시행되어야 함

심실조동(ventricular flutter)

– 심실이 극히 빠른 속도로 흥분하는 부정맥

– 심실세동과 거의 같음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 또는 V-fib)

– 극도의 흥분상태지만 제도로 된 심실수축이 없는 상태

– 심박출량이 없으므로 맥박도 촉진되지 않고 호흡도 멈추고 의식도 없는 임상적 사망(clinical death) 상태

– 3~5분 이내에 즉각적인 응급치료가 필요

– 제세동과 심폐소생술이 시행

전도장애로 인한 부정맥

동방차단(굴심방차단, sinoatrial block; SA Block)

– 동방결절에서 형성된 전기자극이 심방으로 전달되지 않아 심방 및 심실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것

– 생명에 지장을 주는 경우는 비교적 드묾

방실차단(atrioventricular block; AV Block)

–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자극이 방실결절과 히스다발을 통과할 때 지연되거나 부분적 혹은 완전히 차단되는 경우를 말함

제1도 방실차단

– 방실결절을 통한 전기자극의 전도가 지연되어 발생되는 부정맥으로 심방의 전기자극은 심실에 모두 전도되지만, 전도시간이 길어져 PR간격이 0.2초 이상으로 지연되는 것

– 약물, 급성심근경색, 만성 허혈심장병, 전해질 불균형, 급성 류머티스열 또는 심근염에 의해 나타나며 갑상생 항진과 동반되어 나타나기도 함

– 일반적으로 제1도 방실차단은 무증상

제2도 방실차단

– 심방에서 전달되는 전기자극 중 일부가 심실에 전달되지 않고 차단되므로 QRS복합이 생략됨

제3도 방실차단

– 완전차단이라고도 불림

– P파는 동성 리듬인 경우가 많으나 심방조동이나 심방세동이 나타날 수도 있음

– 제3도 방실차단은 급성심근경색, 관상동맥질환, 디기탈리스 중독, 급성 류머티스열, 심근염 등으로 유발

– 내과적 응급상황

– 아트로핀, 도파민, 도부타민 등 투약될 수 있음

    각차단(Bundle branch block; BBB)

    – 심실 중격의 상부에서 히스다발이 좌우 각(branch)으로 갈라져 좌우 심실로 흥분을 전달

    – 흥분이 전달되지 않는 상태

    – 심전도상에서 QRS복합 간격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짐

    우각차단(RBBB)

    – 우심실의 우측벽과 심실중격 우심실면의 수축(탈분극)이 늦어짐

    – 우측 흉부유도(V₁, V₂)에서 Q파가 보통 보이지 않음

    – 좌측 흉부유도(V₅, V₆)에서는 폭넓은 S파가 관찰됨

    좌각차단(LBBB)

    – 좌각의 전도지연으로 심실중격의 좌심실면, 좌심실 좌측벽의 수축(탈분극)이 지연됨

    – 무증상인 각차단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특별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혈역학적 변화로 인한 증상이 있는 경우 심박조율기 적용을 고려한다. 심장박출량이 저하되거나 심부전이 있는 경우에는 심장 재동시화 요법을 고려하기도 함

    yongyong

    Recent Posts

    소아용 척추측만증 물리치료 – 바른 자세를 위한 첫걸음

    소아용 척추측만증 물리치료 - 바른 자세를 위한 첫걸음 최근 아이들의 자세 문제, 특히 척추측만증으로 병원을…

    1일 ago

    음악이 치매를 비웃는 순간

    음악이 치매를 비웃는 순간 음악이 불러낸 기억, 치매 발레리나의 감동적인 이야기 “기억은 사라져도 몸은 기억하고…

    3일 ago

    미국의 사랑니 발치

    미국의 사랑니 발치 내용 반응 댓글 저게 우리나라 극우와 재벌이 원하는 의료 민영화의 미래 보험적용되네

    2주 ago

    규현이 6kg 뺐을 때 주식으로 먹었다는 다이어트 잡채밥

    규현이 6kg 뺐을 때 주식으로 먹었다는 다이어트 잡채밥 https://youtu.be/EjxBe1nuXDA?t=1 https://nurseyong.com/%EB%A7%A4%EC%9A%B0-%EC%B6%A9%EA%B2%A9%EC%A0%81%EC%9D%B8-%EB%82%B4%EC%9E%A5%EC%A7%80%EB%B0%A9-%EB%B9%BC%EB%8A%94-%EB%B0%A9%EB%B2%95/ https://nurseyong.com/16%EB%85%84%EC%B0%A8-%EC%95%84%EC%9D%B4%EB%8F%8C%EC%9D%B4-%EB%A7%90%ED%95%98%EB%8A%94-%EC%B5%9C%EA%B3%A0%EC%9D%98-%EB%8B%A4%EC%9D%B4%EC%96%B4%ED%8A%B8/

    2주 ago

    현재 척수 손상을 고쳐버리는 장치 연구 근황

    현재 척수 손상을 고쳐버리는 장치 연구 근황 내용 척수가 손상되면  원상태로 회복이 잘 안됨 그래서…

    2주 ago

    Tooth-in Eye surgery (자신의 치아로 안구 대체하는 수술)

    Tooth-in Eye surgery (안구 내 치아 수술) https://youtu.be/Zq-hsk184Hc?t=63 눈에 안구가 아니라 살덩이가 있는 것 처럼…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