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연구) 위암 01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률과 유병률이 높은 대표적인 암으로, 특히 50세 이상 고령층과 남성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통계청과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자료에 따르면, 위암은 전체 암 발생의 주요 비중을 차지하며 조기 발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예후가 불량하다. 또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짠 음식과 가공육 섭취, 흡연, 과도한 음주, 가족력 및 만성 위염성 질환 등 예방 가능한 위험 요인이 크다는 점에서 생활습관 관리와 정기 검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위암의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과정을 고찰하고, 국내 역학 현황과 인구집단별 특성을 분석하여 위암의 예방과 조기검진의 필요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더 나아가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환자의 신체적·심리적 문제를 효과적으로 중재할 수 있는 간호 실무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II. 질환 개요

1. 원인 (Etiology / Risk Factors)

위암의 주요 원인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감염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이를 위암의 1급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H. pylori는 위 점막에 만성 위염을 일으키고, 이는 결국 위암으로 이어지는 Correa 연속체를 촉진한다. 이 외에도 식생활(염분이 많은 음식, 훈제 및 가공육 섭취), 흡연, 그리고 음주가 위암 발병 위험을 높인다. 유전적 요인으로는 CDH1 유전자 변이가 유전성 미만성 위암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Epstein–Barr Virus(EBV) 감염, 비만, 만성 위축성 위염, 그리고 과거 위 수술 이력도 보조적인 위험 요인이다.

위험 요인설명
① H. pylori 감염위암의 가장 중요한 원인, Correa 연속체 촉진
② 식이요인염분,훈제 및 가공육,니트로사민
③ 흡연위암 발생 위험 약 40% 증가
④ 음주과음은 점막 손상 및 발암과 연관
⑤ 유전적 요인CDH1 변이 → 유전성 미만성 위암
⑥ 기타EBV 감염,비만,이전 위수술 등

2. 증상 (Clinical Features)

구분주요 증상
① 소화기계 증상상복부 불편감, 조기 포만감, 메스꺼움,구토,연하곤란
② 전신 증상체중 감소, 식욕 부진, 피로, 빈혈, 흑색변, 토혈

위암의 임상 증상은 비특이적이며, 이로 인해 조기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 초기 위암: 대부분 무증상 상태로 발견됨

· 진행암: 상복부 불편감, 조기 포만감, 메스꺼움, 구토, 연하곤란, 복부 팽만감 등이 흔하다.

· 전신 증상: 체중 감소, 식욕 부진, 피로, 빈혈(만성 출혈로 인한), 흑색변이나 토혈 등이 동반

3. 병태생리 (Pathophysiology)

위암의 발생은 만성 염증, 점막 손상, 유전자 변이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다단계 과정이다. 핵심 기전은 ‘Correa 연속체’로, 이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감염으로 인한 만성 위염이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을 거쳐 최종적으로 위암으로 진행되는 과정이다.

H. pylori의 독성 인자인 CagA 단백질은 세포 증식과 염증을 촉진하며, VacA 독소는 면역 회피를 유발한다. 만성 염증으로 생성된 활성산소는 DNA를 손상시키고 종양 억제 유전자를 불활성화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CDH1, TP53 같은 유전자 변이와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누적되면, 암세포의 침습성과 전이 능력이 커지게 된다.

yongyong

Recent Posts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3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3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3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3일 ago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IntraCranial Pressure, ICP) 정의 : 두개강 내…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