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에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의하면 2022년 우리나라에서는 282,047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는데, 그 중 위암은 남녀를 합쳐서 29,487건, 전체 암 발생의 10.5%로 5위를 차지하고 있다. 인구 10만 명당 조발생률(해당 관찰 기간 중 대상 인구 집단에서 새롭게 발생한 환자 수. 조사망률도 산출 기준이 동일)은 57.5건이다.
순위 | 암종 | 발생지수 | 백분율 (%) | 조발생률 | 연령표준화발생률 |
모든 암 | 282,047 | 100.0 | 550.2 | 522.7 | |
1 | 갑상선 | 33,914 | 12.0 | 66.2 | 65.9 |
2 | 대장 | 33,158 | 11.8 | 64.7 | 61.1 |
3 | 폐 | 32,313 | 11.5 | 63.0 | 58.4 |
4 | 유방 | 29,528 | 10.5 | 57.6 | 56.5 |
5 | 위 | 29,487 | 10.5 | 57.5 | 54.0 |
주요 암종 암발생 현황, 남녀전체, 2022년
2022년의 암유병자수를 살펴보면 암종별로는 갑상선암이 전체 암유병자의 21.4%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위암(13.8%), 유방암(12.8%), 대장암(12.6%), 전립선암(5.7%), 폐암(5.1%) 순으로 나타났다.
순위 | 암종 | 유병자수 | 백분율 (%) | 조유병률 | 연령표준화유병률 |
모든 암 | 2,588,079 | 100.0 | 5,049.0 | 4,781.7 | |
1 | 갑상선 | 554,693 | 21.4 | 1,082.1 | 1,052.0 |
2 | 위 | 356,507 | 13.8 | 695.5 | 647.5 |
3 | 유방 | 330,854 | 12.8 | 645.5 | 620.5 |
4 | 대장 | 326,251 | 12.6 | 636.5 | 592.7 |
5 | 전립선 | 147,618 | 5.7 | 288.0 | 264.5 |
주요 암종 암유병 현황, 남녀전체, 2022년
위암은 단일 요인이 아닌 여러 위험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주요 위험요인은 크게 여섯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1)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Helicobacter pylori)은 위산 속에서도 생존하는 나선형 세균으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이다. 이 균에 감염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위암에 걸릴 확률이 2~3배 높다. 헬리코박터균은 위 점막에 지속적인 염증을 일으켜 만성 위축성 위염, 장상피화생, 이형성증과 같은 전암병변을 유발하고,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위암 발생에 기여한다. 국내 성인의 약 60%가 이 균에 감염되어 있으나, 감염자 모두가 위암에 걸리는 것은 아니므로 평소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2) 위암 관련 질병
일부 위 관련 질병은 위암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이는데, 주요 관련 질환은 다음과 같다.
a. 만성 위축성 위염: 위 샘구조가 소실된 상태로, 위암 발생 위험이 약 6배 증가한다.
b. 장상피화생: 위 점막 세포가 소장 세포처럼 변하는 것으로, 위암 발생 위험이 10~20배 높고, 진행률은 연구마다 차이가 크다.
c. 이형성증: 세포의 형태와 크기에 변형이 생기는 상태로, 고등급 이형성증은 위암 발생률이 33~85%에 달할 만큼 매우 위험한 전암병변이다.
d. 위 절제술: 양성 위궤양 등으로 위를 절제한 경우에도 남은 위 부분에서 위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3) 식생활
식생활은 위암 발생에 매우 중요한 환경적 요인이다.
a. 짠 음식: 나트륨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위벽이 손상되고, 발암물질인 질산염 화합물이 생성되어 위암 발생 위험을 1~4.5배 높인다.
b. 탄 음식: 육류나 동물성 식품을 숯불에 굽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헤테로사이클릭아민과 벤조피렌 같은 발암물질이 위암 발생 위험을 최대 7배까지 증가시킨다.
c. 가공육: 가공육에 포함된 아질산염과 질산염은 체내에서 발암물질인 N-니트로소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어 위암 발생에 영향을 준다.
4) 흡연 및 음주
흡연과 음주는 위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대표적인 생활 습관 요인이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1.5~2.5배 높다. 특히 남성의 위암 발생률이 여성보다 높은 이유 중 하나로 높은 흡연율과 연관되어 있다.
알코올이 체내에서 분해될 때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는 발암물질이다. 장기간에 걸친 과도한 음주는 위암 발생 위험을 1.5~2배 증가시킨다.
5) 가족력
위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없는 경우에 비해 위암 발생 위험이 약 2배 증가한다. 이는 유전적 요인과 함께 가족들이 비슷한 식습관이나 생활 환경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특히 가족력이 있으면서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된 경우, 위험이 3.4배로 더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따라서 가족 중에 위암 환자가 있다면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해야 한다.
– 발생률: 위암은 뚜렷한 연령 의존성을 보인다. 34세까지 위암은 순위에 없었다. 40대부터 발생률이 증가하기 시작해 50대 이후 급격히 상승한다.
–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음 → 특히 70대, 80대 이상에서 두드러진다.
– 유병률: 고령층에서 치료 후 생존자가 많이 쌓여 있기 때문에 전체 유병 환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 생존율: 상대적으로 젊은 층(40~50대)에서는 조기 발견 비율이 높아 생존율이 좋은 편이지만, 고령층에서는 진단 시 진행된 경우가 많아 생존율이 낮다.
– 위암은 “중·장년 이후 고령층에서 주로 발생하는 암”으로, 조기검진 및 내시경 검사가 연령대별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남녀전체 | 갑상선 | 유방 | 대장 | 위 | 폐 |
발생자수 | 24,010 | 22,570 | 15,139 | 12,539 | 9,096 |
조발생률 | 99.5 | 93.5 | 62.7 | 52.0 | 37.7 |
남자 | 대장 | 위 | 갑상선 | 폐 | 간 |
발생자수 | 9,359 | 8,439 | 5,990 | 5,229 | 5,002 |
조발생률 | 99.5 | 93.5 | 62.7 | 52.0 | 37.7 |
여자 | 유방 | 갑상선 | 대장 | 위 | 폐 |
발생자수 | 22,507 | 18,020 | 5,780 | 4,100 | 3,867 |
조발생률 | 188.4 | 150.9 | 48.4 | 34.3 | 32.4 |
35-64세군 조발생률 순위, 2022년
순위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남녀전체 | 폐 | 대장 | 위 | 전립선 | 간 |
발생자수 | 23,078 | 17,156 | 16,766 | 16,404 | 8,733 |
조발생률 | 256.1 | 190.4 | 186.1 | 182.1 | 96.9 |
남자 | 전립선 | 폐 | 위 | 대장 | 간 |
발생자수 | 16,404 | 16,354 | 11,040 | 9,762 | 5,926 |
조발생률 | 416.1 | 414.8 | 280.0 | 247.6 | 150.3 |
여자 | 대장 | 폐 | 유방 | 위 | 췌장 |
발생자수 | 7,394 | 6,724 | 6,152 | 5,726 | 3,287 |
조발생률 | 145.9 | 132.7 | 121.4 | 113.0 | 64.9 |
65세 이상군 조발생률 순위, 2022년
– 남성에서 발생률이 여성보다 2배 이상 높다.
– 남성: 상위 3대 암에 속할 정도로 흔하다.
– 여성: 상대적으로 낮지만 여전히 주요 암 중 하나이다.
– 원인 추정: 흡연, 음주, 식습관(염분 섭취, 가공육 등), 헬리코박터 감염률 차이가 주요 요인으로 추정된다.
– 생존율 차이: 여성은 조기 발견 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난다.
– 위암은 남성 고위험 암으로, 남성에게 정기적인 내시경 검진과 생활습관 개선이 특히 중요하다.
– 발생률 격차 존재 : 일부 지역은 전국 평균보다 높다.
– 국내에서도 일부 농촌·산간 지역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짠 음식, 발효식품, 절임식품 섭취, 헬리코박터 감염률과 연관되어 보인다.
– 대도시는 비교적 낮은 경향을 보이지만, 생활습관 서구화로 인한 변화도 관찰된다.
– 지역별 차이는 식습관과 위생환경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특정 지역에서는 맞춤형 위암 검진 및 예방사업이 필요하다.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