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5 – 영양보조 02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5 – 영양보조 02

(3) 완전비경구영양

– 완전비경구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은 누공이나 염증성 장질환이 있는 환자 그리고 장 폐색에서 회복 후에 위장관을 쉬게 하기 위해 사용하며 다음과 같은 환자들에게도 사용한다.

• 장의 흡수부전과 같은 허약성 질환자

• 적절한 양의 영양분을 섭취할 수 없는 환자

• 암으로 인한 종말증 상태의 환자

• 항암제 투여나 방사선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

•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

• 과도한 대사요구가 있는 환자(예: 심한 화상이나 과도한 상처 배액)

– 완전비경구영양은 대개 고장성 용액을 주입하기 때문에 큰 정맥을 사용

– 쇄골 위와 쇄골 내 정맥 또는 팔오금정맥(antecubital vein)이나 상대정맥으로 삽입된 쇄골밑 카테터(subclavian catheter)를 통해서 주입

– Hickman/Broviac 카테터 및 PICC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 피하이식형 포트 등도 사용

– 카테터를 삽입하는 동안이나 후에 생길 수 있는 합병증: 흉막을 천공시켜서 기흉(pneumothorax)이나 혈흉(hematothorax), 상완 신경얼기나 동맥의 손상, 공기 색전증, 혈전증과 감염으로 인한 패혈증, 고혈당증, 그밖에 전해질의 불균형 등

① 간호

간호진단 : 감염의 위험

– TPN은 고장성 용액으로 세균 성장의 배지역할을 한다. TPN을 받는 환자는 특히 칸디다 감염이나 패혈증 등에 매우 취약하다.

– 카테터 드레싱, TPN 용액이나 정맥관을 교환할 때 무균술을 엄격하게 유지해야 한다.

– 공기와 적은 양의 습기도 스며들지 않도록 폐쇄 드레싱을 한다.

간호진단 :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 TPN 용액의 주입 속도가 포도당 대사보다 빠르면 고혈당증이 발생하여 삼투성 이뇨와 함께 탈수와 전해질 부족이 발생하므로 이와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주입펌프를 사용한다.

– 고장의 포도당 용액의 공급이 갑자기 중단되면, 혈당치는 떨어지지만 인슐린은 계속 방출되어 환자는 저혈당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TPN 용액의 주입을 갑자기 멈추지 말아야 하며, TPN 용액이 준비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10% 포도당 용액을 주입하여 갑자기 저혈당이 되지 않도록 한다.

간호진단 : 상해의 위험

yongyong

Recent Posts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10 – 식도암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10 - 식도암 ① 원인 - 식도암(esophageal cancer)은 편평상피세포암이나 식도점막의 선암의 형태로 발생…

15시간 ago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9 – 식도이완불능증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9 – 식도이완불능증 ① 원인 - 이완불능증(achalasia)은 연하곤란이 심해짐에 따라 ‘무언가 목 안에 걸려…

15시간 ago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8 – 위식도 역류질환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8 – 위식도 역류질환 위식도 역류질환 - 식도역류는 위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유입되는…

15시간 ago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7 – 식도질환 01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7 – 식도질환 01 일반 건강문제 ① 연하곤란 - 식도에 문제가 있는 경우…

16시간 ago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6 – 구강감염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6 – 구강감염 구강감염 - 구강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질환: 골수질환, 영양장애 등이 있으며…

18시간 ago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5 – 영양보조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5 – 영양보조 (1) 경장영양 ① 투여경로와 영양액 - 비위관, 위루관, 비십이지장관, 공장루관…

19시간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