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도암(esophageal cancer)은 편평상피세포암이나 식도점막의 선암의 형태로 발생
– 주요 위험요인은 흡연과 지나친 음주
– 또한 식도가 이완불능증이나 농약, 석면에 노출되는 것도 위험요인
– 식도의 악성 종양은 양성 종양과 마찬가지로 서서히 성장
– 암의 대부분은 편평상피종양으로 식도의 중간 1/3지점에서 많이 발생
– 식도는 종양 확산을 제한하는 장막층이 없고 점막에 공급되는 풍부한 림프액으로 인해 빠르게 전이
– 질병은 진행성이며 대부분 치명적
– 전형적인 초기 증상은 연하곤란이나 삼킴통증으로 종양이 식도 전체에 확산될 때까지 전형적인 증상은 나타나지 않음
– 처음에 연하곤란은 경미하며, 고기 같은 고형 음식물을 먹었을 때에만 간헐적으로 발생하나 곧 지속적인 연하곤란과 식도폐색의 증상이 나타남
– 식도폐색 증상: 침과 목구멍의 점액 분비 증가, 야간의 흡인, 역류, 심지어는 액체까지도 삼킬 수 없는 상태 등
– 바륨연하, 내시경, 세포학적 검사, 생검으로 진단하고, 컴퓨터 단층촬영은 주요 병변의 크기와 결절에 대한 침윤 범위를 잘 나타냄
– 식도암 치료를 위해 다양한 항암제를 사용할 수 있음
– 일부 식도암 세포의 표면에는 다량의 HER-2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 단백질이 분포하여 암세포 성장에 관여→ 표적치료제인 트라스투즈맙(trastuzumab)은 HER-2 단백질에 작용하여 암세포를 파괴
– 라무시루맙(ramucirumab)은 혈관생성억제제로,
–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수용체와 결합하여 혈관생성을 방해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늦추거나 멈추게 만든다. 라무시루맙은 위식도 연접부위에서 시작한 진행성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 바륨연하, 내시경, 세포학적 검사, 생검으로 진단하고, 컴퓨터 단층촬영은 주요 병변의 크기와 결절에 대한 침윤 범위를 잘 나타냄
– 일부 식도암 세포의 표면에는 다량의 HER-2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 단백질이 분포하여 암세포 성장에 관여 → 표적치료제인 트라스투즈맙(trastuzumab)은 HER-2 단백질에 작용하여 암세포 파괴
– 라무시루맙(ramucirumab)은 혈관생성억제제로, 혈관내피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수용체와 결합하여 혈관생성을 방해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늦추거나 멈추게 만듦
– 라무시루맙은 위식도 연접부위에서 시작한 진행성암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함
– 암이 초기 단계에서 발견된다면 치료방향은 치유 쪽으로 행해지지만, 말기에 발견된다면 증상 완화요법 적용
– 방사선요법은 종양의 크기를 줄이거나 종양의 성장을 지연
– 연하곤란을 완화시키기 위한 식도확장술은 협착과 종양으로 인한 폐색을 치료하기 위해 필수적일 수 있음
– 인공식도관은 식도 개방을 유지시킬 수 있으나 종양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또는 종양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식도를 파열시킬 수 있음
– 수술 방법에는 3가지가 있음식도절제술은 식도의 일부나 전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제거된 식도는 Dacron 이식술로 복구
– 식도위연결술(esophagogastrostomy)은 식도하부를 절제한 뒤 나머지 부분을 위와 연결시켜서 흉곽 안으로 끌어들이는 방법(그림 15-15)
– 식도장연결술(esophagoenterostomy)은 결장간치술(colon interposition)로 식도를 절제하고 내림결장의 한 분절을 잘라와서 절제한 식도를 대신하게 하는 방법(그림 15-16)
– 영양을 유지하는 것이 주요 목적
– 질병의 초기 단계에는 연식이나 반연식을 소량씩 자주 먹을 수 있으나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위관영양이 요구
– 수술 전의 영양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완전비경구영양을 할 수 있음
– 영양 불충분의 위험
– 흡인의 위험
• 종양으로 인한 식도 폐색으로 삼킬 수 없는 환자는 침과 점액의 정체가 발생하여 쉽게 질식될 수 있으므로 분비물을 자주 뱉어내야 한다. 환자는 침을 뱉어낼 수 있는 용기를 가지고 다녀야 한다. 자주 구강간호를 한다.
– 수술후 회복지연의 위험
• 수술 전 2~3주 동안 위관영양이나 완전비경구영양으로 영양을 공급한다. 체위 변경, 기침과 심호흡 및 흉부 물리요법 등을 포함하여 수술 후 간호에 대한 광범위한 교육을 실시한다. 구강간호는 수술 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하루에 4회 실시한다. 진통제를 자주 투여하고 기침할 때 절개부위를 지지하고 기침을 하도록 격려한다.
• 모든 배액관에서 나오는 배액양과 색, 배액관의 개방성을 근무교대 시마다 사정하여 기록한다. 환자는 연동운동이 돌아올 때까지 4~5일 동안 금식한다. 수술 후 첫 24시간 동안 비위관이나 위관에서 배액되는 것은 혈액이 섞여 있을 수 있으며 곧 녹색을 띤 노란색으로 변한다.
• 수술 후 연동운동이 돌아오면 약간의 물로 입안을 적시는 것으로 구강섭취를 시작하며 그 양을 점차 늘려간다. 이때 환자는 상체를 높여 앉은 자세로 있게 하고 연결부위에서 새는 것이 있는지 관찰한다.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점차 반고형식의 음식으로 바꿔 나간다. 소량씩 자주 먹는 것의 중요성과 위의 과팽만과 역류를 예방하기 위해 식사 시와 식후 1시간 동안 상체를 올려 앉아 있는 것이 중요함을 교육한다.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9 – 식도이완불능증 ① 원인 - 이완불능증(achalasia)은 연하곤란이 심해짐에 따라 ‘무언가 목 안에 걸려…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8 – 위식도 역류질환 위식도 역류질환 - 식도역류는 위 내용물이 식도로 거꾸로 유입되는…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6 – 구강감염 구강감염 - 구강점막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질환: 골수질환, 영양장애 등이 있으며…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5 – 영양보조 02 (3) 완전비경구영양 - 완전비경구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은 누공이나 염증성…
(성인간호학) 위장관기능장애 05 – 영양보조 (1) 경장영양 ① 투여경로와 영양액 - 비위관, 위루관, 비십이지장관, 공장루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