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맥혈전증(venous thrombosis, thrombophlebitis) : 정맥벽에 혈전이 형성되는 질환
– 표재정맥혈전증(superficial vein thrombosis; SVT) : 표재정맥, 복재정맥에 혈전이 생김
–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 : 장골정맥 혹은 대퇴정맥에서 흔히 나타나며, 입원, 수술 및 부동의 가장 흔한 합병증
– 장딴지 근육의 편프가 없거나 움직이지 않으면 정맥정체를 초래하게 되며 그 밖에 수술이나 비만상태, 임신 및 울혈심부전 시 초래할 수 있다.
– 탈수와 혈액질환은 혈소판을 증가시키고 섬유소용해(fibrinolysis)를 감소키며 응고요인을 증가시키거나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경구용 피임약도 혈액의 응고력을 증가시킨다.
– 정맥벽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는 정맥내 주사, 폐쇄혈전혈관염(buerger’s disease), 골절 및 탈골
– 정맥정체가 있을 때 손상된 혈관은 응고과정을 유도하여 손상된 부위에 혈소판이 응집되고 섬유소 그물망을 형성한다.
– 염증반응이 동반되어 혈전부위에 압통, 부종 및 홍반을 유발한다.
– 하지의 정맥혈전색전증이 있는 대상자는 이환된 다리의 부종, 통증, 촉진 시 압통, 확대된 표재정맥, 대퇴 혹은 종아리의 충만감, 감각이상, 따뜻한 피부, 홍반 또는 38.8℃ 이상의 체온상승이 있을 수 있다.
– (하대정맥 침범된 경우) 두 다리에 부종과 청색증
– 초기 정맥혈전색전증의 진단 : D-dimer 검사
– 정맥혈전색전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은 폐색전증, 만성 혈전색전폐고혈압, 혈전후증후군(post-thrombotic syndrome; PTS)
– 폐색전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합병증이지만, 폐색전의 75%가 무증상
– 혈전후증후군의 임상적 징후는 지속적인 부종, 거미양정맥(거미 모세혈관확장증), 정맥확장, 발적, 청색증
– 정맥정체를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
– 과응고력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
– 정맥벽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간호중재
– 혈전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항응고제를 투여한다.
– 헤파린은 이미 형성된 혈전에 대해서는 어떠한 작용도 할 수 없으나, 예방할 수 있다.
– 헤파린은 응고인자 IX의 활성화를 막고 피브린(fibrin)을 혈성하는 트롬빈의 작용을 억제한다.
– 이 효과는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partial thromboplastin time; PTT)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 치료적 PTT는 정상의 1.5~2배에 달하게 한다.
– 응고시간은 약물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헤파힌 주사 전에 측정하여야 한다.
– 유일한 경구용 항응고제
– 와파린은 간에서 비타민 K의 이용을 차단하여 비타민 K 의존 응고인자들의 생성을 억제한다.
– 스트렙토키나제(Streptokinase), 유로키나제(urokinase)나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제(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 플라스미노겐(plasminogen)을 플라스민(plasmin)으로 전환하도록 한다.
– 간호의 목적은 현재 존재하고 있는 혈전이 색전증을 일으키는 것을 예방하고 새로운 혈전이 형성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 DVT 환자를 간호할 때는 혈전색전증을 예방하고, 항응고요법으로 인한 출혈을 방지하기 위하여 DVT와 항응고요법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