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계통 (digestive system) 01

1. 개요

입~ 항문길이 9m

소화 섭취 분해 흡수 배설

자율신경계 지배

입 → 인두 → 식도 → 위 → 소장(6m 십이지장 공장 회장) → 대장(1.5m 맹장 결장 직장) → 항문

소화부속기관 : 간, 담낭, 췌장

간(liver) = hepat/o

2. 입

입(mouth) = oral , or/o

인두(pharynx)

3. 식도(esophagus)

25cm

인두에 연속

기관 뒤

횡격막 관통

위에 연결

후두덮개(epiglottis)

연동운동

4. 위(stomach) = gastr/o

LUQ 위치

J자 모양

용적 1.5ℓ

자율신경지배(부교감 : 위운동확인)

위벽

➀ 점막층 – 위샘(gastric gland)

➁ 점막하층

➂ 근육층

➃ 장막층

위샘(gastric gland)

➀ 점액목세포 – 점액

➁ 주세포 – 펩시노겐

➂ 벽세포 – Hcl, 내인자(Vt B 12 흡수)

➃ G세포 – 가스트린

위액(gastric juice)

➀ 강산(pH 2~4)

➁ 1.0~1.5L/day

➂ 염산(Hcl) : 펩시노겐을 펩신으로, 살균작용

➃ 펩신 : 단백질 분해



위는 배안의 왼쪽 위배부분(LUQ)

위의 용적은 1.0~2.5ℓ로서 신축성이 있으며,

(1) 위의 구조

식도가 위와 접촉하는 곳은 들문(분문, cardia)
둥근 천장 모양으로 불룩한 부분을 위바닥(위저, fundus)
아래의 넓은 부분을 위몸통(위체, body)
위가 샘창자(십지이장)와 이어지는 부분을 날문(유문, pylorus)

위의 왼쪽 아래에 있는 커다란 가쪽면을 큰굽이(대만, greater curvature)
위의 오른쪽 위에 있는 짧은 가쪽면을 작은굽이(소만, lesser curvature)

위오목(위소와, gastric pit)이라고 하는 작은 함몰이 있어서 이곳에 위샘(gastric gland)이 열린다.

(2) 위샘

점액목세포(mucos neck cell) : 점액을 분비하여 위벽을 보호한다.

으뜸세포(주세포, chief cell) : 펩시노겐(pepsinogen)을 분비

벽세포(parietal cell) : 염산(HCl)과 위내인자(endogastric factor)를 분비한다. 위내인자가 부족하면 비타민 B12의 흡수능력이 저하되며, 악성빈혈을 일으킨다.

5. 소장(small intestine)

소화완료

영양분 흡수

6~7m

혼합운동=분할운동(믹서처럼 잘 섞는 것), 연동운동=꿈틀운동(물결치듯이 밀려가는 운동)

(1) 십이지장(duodenum)

➀ C자형, 25cm

➁ 내림부분에 대십이지장 유듀가 있다. 여기에 바터팽대부가 열려있다.

바터팽대부(vater ampulla) – 총담관과 췌관이 만나는 부분이다. 끝에 오디괄약근(oddi sphinter)이 있음

➂ 십이지장 점막세포에 췌액과 담즙 분비 촉진 호르몬이 나온다. (세크레틴, 콜레시스토키닌, 판크레아지민)

➃ 세크레틴 : 췌관을 자극하여 NaHCO3 용액을 분비하게 함으로 십이지장으로 들어온 위산을 중화하며, 췌관에 소화효소 분비를 자극시켜 소화를 원활하게 함

콜레시스토키닌 : 지방이나 단백질을 소화화는 것을 촉진함, “담낭을 움직이는” 이라는 뜻.

판크레아지민 : 췌장액 분비를 촉진함

(2) 공장(jejunum), 회장(ileum)

융모 속에 모세혈관(수용성 영양분)과 암죽관(지용성 영양분)이 소화된 영양분 흡수

작은창자

쓸개즙(담즙), 이자액(췌액), 창자액(장액)을 혼합하여 소화를 완료하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곳
길이 6~7m

(1) 샘창자 – 십이지장 – duodenum

길이 25cm
손가락 12개의 폭에 해당하는 C자형의 장기

내림부분 – 안쪽벽 아래쪽 큰샘창자유두가 있고, 여기에 온쓸개관(총담관, common bile duct)과 이자관(췌관, pancreatic duct)이 개구되어 있다.

(2) 빈창자 – 공장 – jejunnum

(3) 돌창자 – 회장 – ileum
yongyong

Recent Posts

항문호흡이 다시 한 번 임상실험으로 증명되다 (2024 이그노벨상 수상)

항문호흡이 다시 한 번 임상실험으로 증명되다 (2024 이그노벨상 수상) 코로나 시기 당시에 호흡기 질환으로 인한…

2일 ago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2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2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2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