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계통 03 심장 혈관

심장의 구조와 기능

– 심장 : 펌프의 역할(전신순환, 폐순환), 산소와 영양분, 노폐물 제거

– 혈관은 심장에 혈액을 채우고 혈압 유지하는 기능

심장의 구조

– 심장의 위치 : 종격동에 있는 근육기관, 두 폐 사이, 흉골의 좌측 뒤쪽, 좌측 2번 늑간에서 5번 특간, 좌측 쇄골중간선과 나란히 위치함

종격

좌우의 흉막강(胸膜腔)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 앞쪽은 흉골, 뒤쪽은 척추, 아래쪽은 횡격막에 의하여 경계지어진다.

종격동 · 종격장(縱隔障)이라고도 한다. 종격의 중앙부는 기관 · 기관지가 있는 곳이 되며, 이것을 경계로 하여 종격전부와 종격후부로 나뉜다. 전부에는 심장과 심장에 출입하는 대혈관을 비롯하여 흉선(胸腺)·내흉동맥·내흉정맥·횡격신경 등이 포함되고, 후부에는 식도 · 미주신경 · 흉대동맥 · 기정맥(奇靜脈) · 흉관 등의 중요한 기관이 있다. 그 밖에 림프절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종격종양(縱隔腫瘍)일 때는 이들 장기가 압박되어 중증으로 발전하기 쉽다.

출처 – 종격 [mediastinum, 縱隔]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성인 심장의 크기 : 주먹보다 조금 큰 크기(250~300g)

– 심장의 기능 : 혈액을 신체로 방출 / 영양분 공급 / 노폐물 제거

– 심박동수 : 60~100회/min

– 심낭 : 심장을 에워싸고 있는 얇은 낭으로 심장을 보호하는 역할

(장측심막, 벽측심막 → 두층사이의 10~30ml의 수분(윤활제 역할))

– 심장의 판막 : 혈액이 한쪽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혈액이 압력으로 인해 거꾸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

(삼첨판, 승모판, 대동맥판막, 폐동맥판막)

심장주기 – 심장의 순환

-온몸순환

좌심실 LV → 대동맥판막 AV → 대동맥 aorta → 동맥 artery → 모세혈관 capillary → 정맥 vein → 상대정맥 SVC 하대정맥 IVC → 우심방 RA  

– 허파순환

우심실 RV → 폐동맥판막 PV → 폐동맥 Pulmonary artery → 폐 lungs → 폐정맥 Pulmonary vein → 좌심방 LA

– 수축기

  • 심방수축기 : 양쪽심방에서 전기 자극으로 심방 수축하며 심방의 압력이 올라가고(p파), 심방 탈분극이 되어 방실결절이 개방시킴
  • 심실수축기 : 방실결절에서 심실벽을 통해 심실이 수축되면서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보냄
  • 방실판막(삼첨판, 승모판) 닫힘(제1심음, S1)
  • 반월판막(대동맥판막, 폐동맥판막) 닫힘(제2심음, S2)

– 이완기 : 심실충만, 심장수축

  • 이완기 전반부 : 심방혈액 70% → 심실 유입, 심방수축기에 나머지 30%의 혈액을 심실로 들어감
  • 관상동맥으로 심근활동에 필요한 혈액이 공급됨

심장 전도계

– 심장의 전기적 자극으로 심근의 수축을 자극하고 조절하는 기능

– 동방결절(SA node) → 방실결절(AV node) →방실다발 (히스줄기(His bundle) → 속가지 (Bundle branch)) → 푸르키니에 섬유(Purkinje Fiber)

– 심전도 : 심근의 전도그래프를 나타낸 것

  • P파 : 심방의 탈분극
  • PR간격 : 심방이 첫 자극부터심실에자극도달직전까지
  • QRS : 심실의 탈분극
  • T파 : 심실의 재분극

– 심전도의 기록지는 1초 동안 25mm 이동

– 가로축의 큰 박스(5mm)는 0.2초, 작은 박스는(1mm)는 0.04초에 해당

혈관계

– 역할 : 산소, 영양물질, 기타 물질을 인체의 세포로 운반, 대사산물 제거

– 동맥, 세동맥, 모세혈관, 소정맥, 정맥(약 5L의 혈액 순환)

동맥

– 심장에서 나가는 혈액(대동맥, 폐동맥)

– 혈관 : 내막, 중간막, 외막

– 목에 위치한 동맥 : 경동맥

– 상지동맥 : 상완동맥, 요골동맥, 척골동맥

– 하지동맥 : 대퇴동맥, 슬와동맥, 족배동맥, 전경골동맥, 후경골동맥

정맥

–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관(대정맥, 폐정맥)

– 동맥에 비해 압력이 낮고, 혈류속도가 느림

– 정맥혈의 귀환을 촉진, 역류 방지를 위한 판막

– 구분 : 심부정맥(깊은 정맥), 표재성 정맥(얇은 정맥), 교통정맥(천공정맥) 등

– 목에 위치한 정맥 : 경정맥

– 다리에 위치한 정맥 : 대퇴정맥, 복재정맥, 슬와정맥, 전경골정맥

yongyong

Recent Posts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폐경 완경 논란 - 산부인과 의사 입장 https://nurseyong.com/%EC%99%84%EA%B2%BD%EC%9D%B4%EB%9D%BC%EB%8A%94-%EC%A2%8B%EC%9D%80-%EB%A7%90%EC%9D%84-%EB%91%90%EA%B3%A0-%EC%99%9C-%ED%8F%90%EA%B2%BD%EC%9D%B4%EB%9D%BC%EB%8A%94-%EB%A7%90%EC%9D%84-%EC%93%B0%EC%84%B8/

2일 ago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병원안전사고 사례 분석 (12개월 영아 과다 투약 사망사고) 🩺 1. 사고 요약 2022년 3월 제주대학교병원에서…

3일 ago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크기 대광반사 동공 크기(Pupil Size) 정상 동공 크기: 약 2~5mm, 양쪽이 대칭 형태: 둥글고 경계가…

3일 ago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Hemorrhagic Stroke) 종류 특성 출혈성 뇌졸중 👉 뇌혈관이 파열되어 혈액이 뇌조직 또는 지주막하…

3일 ago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종류 특성 허혈성 뇌졸중 (Ischemic Stroke) 혈류가 차단되어 뇌조직이 산소와 영양을…

3일 ago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상승 (IICP) 환자의 증상 치료 간호 두개내압 (IntraCranial Pressure, ICP) 정의 : 두개강 내…

4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