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allard 사정척도는 신생아의 재태기간을 결정하는 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방법, 6개의 항목의 신경근육계 증상과 6개 항목의 신체성숙 증상을 사정
– 사정 범위는 22~44주
– 정확도는 실제 연령의 ±2주 이내
– 신뢰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신생아가 충분이 안정되고 적응되는 생후 12시간 이내
– 재태기간에 비해 큰 신생아(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 90분위수 이상으로 태어난 신생아는 LGA로 분류됨
– 재태기간에 적정한 신생아(appropriate gestational age, AGA) – AGA 신생아는 10백분위수와 90백분위수 사이에 있는 신생아
– 재태기간에 비해 작은 신생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 SGA는 10백분위수 이하에 속하는 신생아
– 신생아는 거의 모든 시간 수면 상태, 잠깐씩 깨어 있는 시간은 신생아와 돌보는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시간
– 신생아는 울기, 얼굴 찡그리기 등 표정을 다양하게 바꾸면서 환경과 자극에 반응.
신경근육계 성숙도 6개 항목 (0~5점)
신체성숙도 6개 항목(-1~5점)
주수 사정 20~44주
* 미숙아(37주 미만), 만삭아(37주~42주), 과숙아(43주 이상)
사정내용 | 41주 만삭아 관찰 | 35주 미숙아 관찰 | |||
자세 | 신생아를 앙와위로 눕힌 상태에서 팔다리 굴곡상태를 관찰함 | 팔과 다리가 모두 굴곡이 잘 되어 있음. | 4 | 팔은 굴곡되어 있으나 다리가 덜 굴곡됨 | 3 |
손목각도 | 손목을 가능한 완전히 구부릴 수 있게 손에 힘을 가해 팔의 앞쪽과 소지구 사이 각도를 측정함 | 0도에 가깝게 손목이 구부려졌음 | 4 | 약 60~70도 정도로 손목이 구부려졌음 | 1 |
팔의 되돌아오는반응 | 신생아가 편안하게 누워있는 상태에서 팔을 약 5초 정도 신전시켰다가 손을 놓았음 | 손을 놓자마자 팔이 다시 굴곡됨 | 4 | 손을 놓자마자 팔이 다시 굴곡됨 | 4 |
슬와각도 | 발을 앞쪽으로 굴곡시킨 상태에서 발바닥 위에 내 엄지손가락을 놓고 다른 손가락은 발등에 얹음 그리고 힘을 가해 각도를 측정함 | 오금이 거의 90도 정도로 굴곡됨(뻣뻣한 느낌) | 4 | 약 100~110도 정도로 오금이 펼쳐짐. | 2 |
스카프 증후 | 앙와위 상태에서 신생아의 오른쪽 손을 왼쪽 어깨쪽으로 넘겼음 | 팔꿈치가 몸의 절반에도 가지 못함 | 4 | 팔꿈치가 왼쪽 겨드랑이 중간정도까지 닿았음 | 1 |
발뒤꿈치-귀 시행 | 앙와위 상태에서 신생아의 다리를 머리쪽으로 붙여줌. | 무릎이 뻣뻣한 느낌이 들었고 100도 정도 들어올려졌음 | 2 | 별다른 저항없이 발꿈치가 귀에 거의 닿았음 | 1 |
합계 | 22 | 합계 | 12 |
41주 만삭아 관찰 | 35주 미숙아 관찰 | |||
피부 | 표면이 약간 박리되어 있고 정맥이 살짝 보임 | 2 | 매끄럽고 분홍색이며 세정맥이 잘 보임 | 1 |
솜털 | 없다 | -1 | 많다 | 1 |
발바닥(발금) | 발바닥전체에 굵은 주름있음 | 4 | 발의 앞쪽에만 횡선이 관찰 | 2 |
유방 | 젖꼭지가 약 7mm(정상유륜) | 4 | 젖꼭지가 약 3mm(융기유륜) | 3 |
눈, 귀 | 딱딱하고 형태가 뚜렷하며 손으로 접었다가 놓으면 즉시 펴져 모양이 돌아옴 | 3 | 부드럽고 굴곡이 선명함. 접으면 쉽게 펴짐 | 2 |
생식기(여아) | 음핵, 소음순이 대음순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음 | 4 | 음핵이 돌출되어 있고 소음순이 큼 | 1 |
합계 | 16 | 합계 | 10 | |
총점 | 38 | 총점 | 22 |
(지역간호학) 보건의료체계의 이해 01 1. 보건의료체계의 개요 보건의료의 개념 - 보건의료는 협의적으로 의료, 광의적으로는 보건의료…
(지역간호학) 지역사회간호와 보건정책 1. 보건정책의 개념 보건정책의 정의 및 목표 - 「보건의료기본법」에 의하면 "보건의료"란 국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