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1

(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1

혈액계통

혈액조성

혈액의 기능

종류기능감소 소견비고
적혈구
Red blood cells
산소 운반, 산 완충빈혈(anemia)
(쇠약감, 현기증, 운동 시 호흡곤란)
증가: 적혈구증가증(erythrocytosis,  polycythemia)
백혈구
White blood cells
면역 기능, 세균이나 이물질 침입으로 신체보호감염에 취약
백혈구감소증(leukopenia)
만성백혈병(Leukemia)
혈소판
Platelet
지혈지혈 장애 및 출혈의 위험 증대
혈소판감소증(thrombocytopenia)
증가: 혈소판증가증(thrombocytosis)
혈장
Plasma
체온 유지, 영양분 전달, 노폐물 처리, 지혈 등

기관

Spleen

  • 림프계 중 가장 큰 기관, 혈액 여과
  • 적혈구 저장소
  • 파괴된 적혈구에서 철분 대사작용 도움

– Liver

  • 대부분의 응고인자 생성하는 기관
  • Vit K: 응고인자 형성에 필수적
  • Hb을 bile로 전환하여 지방 소화
  • 철분 ferritin 형태로 저장
  • 소량의 적혈구 조혈인자 생성

아동의 특징

– 적혈구: 임신 2주차 생성시작

– 백혈구, 혈소판: 임신 9주차 생성 시작

– 조혈기관은 난황낭(yolk sac) → 간 → 골수 조혈 순으로 발달함

– 출생 시 적혈구형성인자(erythropoietin) 농도 높음: 신생아의 적혈구수 증가 → 폐호흡 후 체내 산소농도 증가로 적혈구 생성 느려짐 → 생후 2~3개월에

– 출생 시  백혈구 수 가장 많음 → 생후 첫 주 동안 감소 → 1년간 안정 시기

혈액기능의 사정

History taking

  • 가족력: 혈우병, 낫적혈구빈혈 등
  • 성장과 발달: 발달 이정표 비교, 영양상태 사정(철분섭취 부족)
  • 피부: 창백, 홍조, 발진, 반상출혈, 지혈시간 지연
  • 관절: 부종, 통증, 염증, ROM
  • 추가 사정: 통증, 감염 발생빈도, 지속적 피로 등

Physical Exam.

  • 시진: 창백, 점상출혈, 타박상

Lab data

  • CBC 전혈구 검사
  • RBC: RBC count, Hb, Hct, MCV, MCH, 망상적혈구수
  • WBC: WBC count, diff WBC count
  • Platelet: platelet count

빈혈

특성

  • 적혈구나 혈색소(Hemoglobin) 양이 정상 수준 미만으로 감소한 것 → 산소공급능력 저하, 조직 내 산소량 부족
  • 영아기와 아동기에 가장 흔한 혈액 질환

원인

  • 적혈구 생산율 저하 및 감소, 적혈구 파괴, 중독이나 비장기능항진

분류

– RBC 크기, 모양, 색깔에 따라 유형 나눔

 – 크기

  • 정구성적혈구(normocyte): 정상 세포 크기
  • 소구성적혈구(microcyte): MCV<80, 정상세포보다 작은 크기
  • 대구성적혈구(macrocyte): MCV>95,  정상세포보다 큰 크기

 – 모양

  • 구형적혈구(spherocyte): 둥근모양 세포
  • 겸상적혈구(drepanocyte): 낫모양 세포
  • 이형적혈구(poikilocyte): 불규칙한 모양의 여러 가지 세포

 – 색깔(염색특성)

  • 정상색소성(normochromic): Hb양이 충분하거나 정상적인 량
  • 저색소성(hypochromic): Hb양이 부족
  • 과색소성(hyperchromic): Hb양이 과다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정의: 철분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빈혈(영양결핍상태)

특성

  • 아동에서 볼 수 있는 가장 흔한 혈액 질환
  • 생후 2년간과 청소년기 동안의 급성장기에는 철수요량도 급격히 증가 → 철겹핍에 특히 취약

Iron

  • 모든 세포의 필수적 영양소
  • 산소와 전해질 운반
  • 산화적 대사(oxidative metabolism), 세포성장

– 연령에 따른 원인

  • 영아: 철분은 임신 마지막  3개월 동안에 모체에서 태아로 이동하여 저장 (만삭아 생후 6개월, 미숙아와 다태아에서 2-3개월까지 사용 가능)
  • 이후 충분한 식이성 철분이 공급되지 않아 저장철이 고갈되면  IDA 발생 → 이유식 중요!
  • 청소년: 고지방, 저비타민, 저무기질 식이

– 질병에 따른 원인

  • 만성적 혈액소실
  • 신생아기 출혈이 있었던 영아, 크론병(Crohn’s disease), 복강질환, 기생충 위장질환 등으로 인해 혈액이 소실된 아동
  • 월경과다가 있는 여자 청소년

– 병태생리

  • 철 공급↓
  • 철 흡수 장애
  • 인체의 철 요구량 증가
  • Hb 합성에 영향을 줌
  • Anemia(생리적 빈혈과 구별)

* 출생시 저장된 철분은 만삭아는 보통 5~6개월, 미숙아는 2~3개월 사용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음. 생후 첫 6개월 동안 출생 시의 철이 얼마나 빨리 고갈되는지 잘 사정

– 임상증상

  • 창백, 피로, 과민성
  • 손발톱 변형: 스푼형 손톱
  • 성장지연
  • 발달지연
  • 빈맥(tachycardia)
  • 수축기 심잡음 이식증

– 진단

  • Hb: 11g/dL↓
  • MCV: 저하(소구성), 70um3 이하
  • Guaiac test: 대변 잠혈반응검사
  • SIC(serum-iron concentration): 혈청철 감소
  • TIBC(total iron-binding capacity): transferrin or 철결합 글로블린 증가(철의 혈류 이동시 필요)

– 치료

  • 목표: 적절한 영양과 철보충
  • 철분제제 경구투여(ferrous sulfate) for 4 months, 4주 동안 (3~6mg/kg)
  • 비경구적 철분투여(iron dextran): IV or IM
  • 수혈(Blood transfusion of packed RBC)

간호 / 철분이 들어간 음식 섭취증가

  • 철분음식: liver, meats, 녹황색 채소, 곡류와 빵, 작두콩, 건포도
  • 철분강화 분유, 이유식(철분강화 시리얼)
  • 비타민 C가 높은 음식 섭취 권장
  • 우유 먹기 전에 고형식 먼저 먹임
  • 우유섭취 제한(1 liter/day)

– 간호 / 철분제제 경구 투여

  • 식간에 두 번으로 나누어 투여(염산의 양이 많아 철분 흡수 좋음)
  • 비타민 C 주스와 함께 섭취(철분 흡수 도움)
  • 치아착색예방: 빨대, 주사기, 점적기 이용, 구강내 뒤쪽으로 점적, 투여 후 칫솔질
  • 섭취 1시간 전 or 2시간 이후 불소, 커피, 유제품, 계란, 잡곡빵 피함 ⇒ 철분흡수 방해
  • 많은 양의 철분섭취 피함(부작용 – 검은변, 변비, 오심, 위장자극)
  • Hb, RBC가 정상으로 돌아와도 4-6주 지속

yongyong

Recent Posts

(아동청소년간호학) 지중해 빈혈(thalass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지중해 빈혈(thalassemia) 개요 지중해 빈혈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으로 헤모글로빈 사슬 합성의 손상된 정도가 특징이다. 이…

18시간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겸상적혈구 빈혈

(아동청소년간호학) 겸상적혈구 빈혈 발생빈도와 원인 겸상적혈구 빈혈은 낫모양의 세포를 가지게 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질환을 갖고…

18시간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재생불량 빈혈(aplastic an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재생불량 빈혈(aplastic anemia) 개요 재생불량 빈혈 (aplastic anemia) 은 골수에 있는 줄기세포의 손상 또는 골수의…

20시간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빈혈 빈혈(anemia)은 질환이 아니라 원인된 질병이나 손상에 의해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이…

21시간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2

(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2 재생불량빈혈(Aplastic anemia) - 정의 골수가 모든 종류의 순환하는 혈액세포를 충분히 생산할…

22시간 ago

(간호관리학) 환자안전관리 활동 01

(간호관리학) 환자안전관리 활동 01 환자안전관리 1) 환자확인 - 의료진이 다른 환자에게 투약을 하거나, 수혈을 하거나…

1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