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흡기계의 주요 기능은 체내에서 공기를 교환하는 것(가스교환)
– 호흡 근육이 이완할 때, 가슴은 내려가고, 공기가 폐로부터 나온다. 산소는 흡기동안에 폐로 가고 남은 이산화탄소는 호기동안 몸에서 빠져나간다. 가스 교환 과정에서 특별히 중요한 요소는 기도개방이다. 다른 필수적인 요소로는 충분한 폐포-모세관 확산, 순환 및 가스 수송이 포함된다.
– 아동의 몇 가지 발달상의 특성은 호흡기장애를 일으키는 확률을 높인다. 좁은 기도, 적은 폐포, 그리고 증가된 흉벽 순응도는 아동이 호흡기장애에 잘 걸리게 하는 요인이다.
– 영아의 기관과 하부기도는 성인의 기도보다 작다. 어린 아동과 영아는 기도 직경이 조금이라도 감소하면 기도저항과 호흡을 하기 위한 노력이 급격히 증가한다.
– 이런 구조적 차이로 인한 호흡기계의 취약함은 5세 이상이 되면 기도의 관이 커지게 되어 줄어든다.
– 영아와 어린 아동의 코, 코인두, 인두는 성인에 비해 좁아서 막힐 가능성이 높다. 영아는 거의 비강호흡을 하며 이런 이유로 코에 상기도 감염으로 인한 부종이 생기거나 점막의 분비물로 인해 막히게 되면 숨을 쉬기 힘들어진다.
– 견축은 숨을 들이쉴 때 늑골과 흉골을 둘러싸고 있는 연한 조직이 안으로 들어가는 현상이다.
– 피부색 : 입술과 구강주위가 창백한 청색증을 가지고 있다면 반드시 주목해야 한다.
– 호흡 노력 : 견축이나 호흡보조근 사용, 영아는 호흡에 어려움이 있을 시 코벌렁임(nasal flaring)이 나타날 수 있다.
– 활력징후 : 호흡수를 관찰, 빈호흡이 관찰, 빈맥은 감소된 산소화, 증가된 대사 요구, 감염이나 발열 등의 결과로 발생, 고열은 감염
– 폐음의 청진 : 천명, 수포음, 건성수포음이 들리는지
– 호흡기계 감염을 가진 아동은 발열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체온을 측정해야 한다.
– 잘 먹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구강섭취의 상태를 사정해야 한다.
– 구토와 설사를 동반할 수 있다.
– 심한 기침을 한다면(백일해일 수 있음) DTaP(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을 예방접종하지 않았거나 천식 또는 낭포성섬유증을 가진 아동의 경우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BOX 22-1 호흡기 문제를 가진 아동의 일반적인 증상 – 창백한 피부 – 열 · 기침 – 호흡수 증가 – 인후통 – 구토 혹은 설사 – 피부 또는 무력감 – 호흡곤란 – 코의 분비물 또는 막힘 – 청진시 협착음, 천명, 수포음 – 식욕부진 – 흥분 혹은 불안 |
정신병원에서 조현병 환자가 보호사 폭행해 살인 조현병+조울증 환자가 휴대폰 하지말라는 말에 격분해서 67세 180cm 몸무게100k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