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용량의 호르몬(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요법으로 피임을 유도함
– 원리 : 규칙적인 투여로 FSH, LH 분비를 불충분하게 하여 난포성숙 방해 → 배란억제, 자궁내막 성숙도에 변화 초래 → 착상을 어렵게 함
– 종류
구성 | 투여경로 | 효과기간 |
복합 에스트로겐-프로게스틴 피임제 | 경구 | 24시간 |
경피 | 7일 | |
질링 삽입 | 3주 | |
단일 프로게스틴 피임제 | ||
Norethindrone | 경구 | 24시간 |
MPA(medroxyprogeserone acetate) | 근육주사, 피하주사 | 3개월 |
Progestin, etonogestrel | 피하이식 | 3년까지 |
Levonorgestrel | 자궁내장치 | 5년까지 |
(1) 경구피임제
– 정상월경 주기의 조절
– 경구피임제의 원리
뇌하수체 활동을 억제 | 경구피임제(저용량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규칙적인 투여는 시상하부-뇌하수체 활동 억제해서 → FSH와 LH의 분비를 불충분하게 하여 → 난포성숙을 방해, 배란을 억제 |
자궁내막의 성숙도에 변화를 초래 | 착상에 어려운 환경을 만듦 |
자궁내막에 직접 작용 | 복용 후 1~4일이 되면 자궁내막은 호르몬 쇠퇴의 결과로 탈락이 일어나 출혈(정상 월경보다 많지 않음, 약 2~3일 지속)을 일으킴 |
경부점액을 변화시킴 | 프로게스틴의 영향으로 점액의 점성도가 높아져 정자의 움직임이 힘듦 |
– 복용시기 : 월경주기 첫날(월경 첫날), 출산 후 또는 유산 후에 시작
– 복용을 잊었을 때 복용 방법
– 금기
– 부작용
고용량의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 뇌졸중, 심근경색증, 혈전색전증, 고혈압, 담낭질환, 간종양 등 |
고용량 에스트로겐 | 오심, 유방통증, 수분정체, 기미 |
저용량 에스트로겐 | 조기 점적출혈(월경주기 1~14일), 과소월경, 신경과민, 성교곤란증(위축성 질염) 등 |
고용량 프로게스틴 | 식욕증가, 피로, 우울, 유방통증, 질 곰팡이감염, 지방성 피부와 두피, 다모증, 무월경 |
저용량 프로게스틴 | 후기 점적출혈, 돌발출혈(월경주기 15~21일), 과다월경, 유방크기 감소 등 |
– 의사처방에 의한 피임방법
– 제제 : 피임패치
– 성분 : 에티닐 에스트라디올, 노엘게스트로민 (일정량 분비함)
– 위치 : 상지 외측, 상체(유방을 제외한 전면과 후면), 하복부, 둔부
– 적용 : 생리주기 첫날부터 1주에 한 장씩 3주간 붙이고 1주간의 휴지기
– 장점 : 사용 간편, 젊은 여성 선호
– 실패율 9%, 최저실패율 0.3%
– 의사처방 피임방법
– 성분 : 에티닐에스트라디올(ethinyl estradiol), 에토노게스트렐(etonorgesrel) – 일정량 분비함
– 피임패치와 달리 간에서 바로 대사되지 않고 흡수되어서 혈중 호르몬치가 일정하게 유지됨
– 적용 : 생리 1~5일째 링을 질 내 스스로 삽입, 3주간보유 후 → 1주간 제거한 채로 있으면 생리 시작됨
– 피임실패율 9%, 최저실패율 0.3%
– 성분 : 에스타라디올 시피오네이트(Estradiol cypionate 5mg) + 메드록시프로제스테론(Medroxyprogesterone acetate 25mg)
– 적용 : 1개월 마다 1회 근육주사
– 실패율 3%, 최저실패율 0.05%
– 원리 : 배란을 억제하고 경부점액을 진하게 하며, 양을 감소시켜 자궁내막을 얇게 하고 난관의 섬모를 변화시킴으로써 수태능력을 저하시킴
– 제제 : oral progestins, minipill (미니필은 저용량의 프로게스틴을 함유 –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해야함)
– 사용 첫 해 실패율 9%, 최저실패율 0.3%)
– 부작용 : 불규칙적인 질출혈
(2) 주사식 프로게스틴 피임제
– 제제
– 부작용 : 골밀도 감소, 체중증가, 혈중지질 변화, 불규칙적인 질출혈, 성욕감퇴, 유방변화 등
– 데포프로베라 중단 후 수태능력 회복기간은 18개월까지 길어질 수 있음
– 피임실패율 6%, 최저실패율 0.2%
– 임플라논(Implanon) : 피로게스틴을 함유한 얇은 막대
– 효과 : 3년 이상
– 작용 : 배란주기를 일부 억제, 경부점액을 진득하게 함
– 장점 : 장기간 피임효과 지속
– 단점 : 불규칙적인 질출혈, 두통, 신경과민, 오심, 피부변화, 현훈
– 성교 후 임신을 예방하는 방법
– 태아기형 유발하지 않음
– 적용
→ 대개 24시간 이내 치료하는 것이 좋으나 72시간 이내 복용하면 응급피임의 효과가 큼
– 복용 전 반드시 임신여부를 확인하고 응급피임약을 복용함
– 배란 전 복용 : 난포발달을 억제해서 배란을 억제
– 배란 후 복용 : 난소호르몬 생산이나 자궁내막 변화에는 거의 효과가 없음
– 착상된 임신을 방해하지는 못함, 임신이 되었다면 효과없음
– 주의
– 복용방법
– 임신위험률
– 구리를 함유한 자궁내장치의 삽입은 응급피임약과 함께 응급피임법으로 이용됨
– 성교 후 5일 이내에 삽입, 장기간의 피임을 원하는 여성에게 추천됨
– 임신 위험률을 99%까지 낮춤
– 자궁내장치는 자궁경부를 통해 삽입되어 자궁 내에 장치하는 기구
– 정자의 이동을 방해하고 자궁내막을 변화시켜 착상을 방해
– 장점 : 장기간 피임효과, 제거 즉시 수태능력을 회복할 수 있음
– 단점 : 골반염증성 질환의 위험 증가, 자궁내장치의 탈출, 감염 및 자궁천공 위험 등
– 종류
구리함유 자궁내장치 | – 작용 · 살정제(정자가 질에서 자궁에 들어가기 전에 운동성을 잃도록 유도) 가능 · 삽입부위에 국소적 염증 유발하여 정자의 이동과 착상을 방해(일부 여성에게서 첫해에 출혈이 증가하고 복통을 경험할 수 있음) – 첫해 피임 실패율 0.8%, 최저실패율 0.6% – 적용 대상 : 당뇨, 유방암, 심혈관계질환, 혈전정맥염 위험이 있는 여성 – 10년까지 사용 |
호르몬 자궁내장치(Mirena, 미레나) → 프로게스테론 방출 | – 이점 : 월경량과 월경기간 감소, 생리통 감소 – 적용 · 루프 안에 함유된 프로게스테론이 매일 일정량의 자궁 내에만 분비시킴으로 자궁경부 점액을 진득하게 하여 난자와 정자의 정상적 운동을 방해 – 점차 자궁내막이 얇아져 월경량이 줄어들고 기간도 짧아져 월경과다 혹은 생리통을 경험한 여성의 경우 치료의 효과 있음 – 작용 시간 5년 – 첫해 피임 실패율과 최저실패율 0.2% |
– 자가관리 내용
– 여성의 난관이나 남성의 정관을 수술하여 난자나 정자의 이동을 막는 외과적 절차
– 적용 : 더 이상 자녀를 원하지 않을 경우
– 영구적 임신 예방, 수술후 성생활 향상될 수 있음
– 외과적 시술 후 발생하는 임신 중 자궁외임신 40~60% → 난관의 자연적인 재생이나 수술 도중 부적절하게 폐쇄시킨 경우에 해당
– 복원 후 임신율 : 38~89%
– 종류
– 난자와 정자가 결합하는 것을 방해
– 방법
– 방법
– 후유증
– 주의
피임의 원리 – 경구피임약 : 호르몬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배란을 억제 – 월경주기법(기초체온법) : 배란일을 예측하여 임신을 조절 – 자궁 내 장치 : 자궁내막에 가벼운 변화를 주어 수정을 방지하거나 수정란 착상을 방해 |
(여성건강간호학) 가족계획 : 인공임신중절 인공임신중절 - 인공임신중절은 재태기간 20주 이전에 임신을 인공적으로 종결시키는 것 - 여성의…
(여성건강간호학) 태아건강사정 04 생물리학적 사정 (계속) 태아감시와 태아 심박동 양상 (계속) 기타 사정방법 (1) 태아자극 방법…
(정신건강간호학)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와 간호 03 간호과정 간호과정 : 중재(양성증상 간호) 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