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학) 난산 01

정의

– 분만과정이 정상에서 벗어나서 진행되는 것

– 느리고 비정상적인 분만 진행이 특징

난상의 원인 5P

1. 만출력(power)의 이상

– 비효율적인 자궁수축과 부적절한 수의적 만출력

2. 산도(passageway)의 이상

– 산도의 크기와 형태의 변화

– 생식기 기형

– 골반이상 등

3. 태아(passenger)의 이상

– 태위와 태항의 이상

– 태아의 크기와 발육 이상

– 다태임신

* 태위 : 산도를 따라 나오는 태아의 신체 중 가장 먼저 나오는 부분을 의미

* 태향 : 선진부의 지적부위가 모체의 어느 쪽 골반에 위치하는지

4. 분만시 산부의 체위(position)

– 진통과 분만 동안 산부 체위의 영향으로 태아 하강 등이 방해를 받는 경우

* 산부의 체위는 골반의 직경에 영향을 주어 난산 발생 가능성이 높음

* 골반직경을 넓혀주는 좋은 자세 : 쪼그리기 자세, 무릎벌리기 자세 등

5. 심리적 반응(psychologic response)

– 과거경험

– 분만준비

– 문화적 배경

– 지지체계 등

난산의 위험요인

– 비만, 작은 키, 고령산부, 난임(체위수정 시 다태아 가능성 → 제왕절개 확률이 높음, 난임 자체가 생식기 문제가 있는 경우)

– 자궁이상 : 선천적 기형, 자궁의 과다팽만(다태임신, 양수과다 등)

– 선진부나 태향이상

– 아두골반 불균형

– 옥시토신에 의한 자궁 과다자극

– 산모피로, 탈수, 전해질 불균형, 공포심

– 진통제를 너무 일찍 투여했거나 경막외마취를 계속 했을 때

만출력이상

– 기능부전성 분만(dysfunctional labor)을 의미하는 것

– 자궁경부의 소실과 개대, 태아하강 등 정상분만 진행을 방해하는 비효율적인 자궁 수축을 말함

– 분류

기준분류whenwho
자궁수축 정도저긴장성 자궁기능부전활동기경산부
고긴장성 자궁기능부전분만초기(잠재기)초산부
자궁기능부전이 발생한 시기원발성 기능부전분만초기초산부
속발성 기능부전활동기경산부

(1) 저긴장성 자궁기능부전(hypotonic uterine dysfunction) ★★★

– 자궁수축이 정상적인 자궁경부 개대와 태아하강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수축의 강도와 빈도가 불충분함

– 활동기, 경산부에게 발생

① 원인 및 유발요인

– 자궁과다 팽만(다태임신, 양수과다증 등)

* 자궁이 과도하게 팽창되면 수축력이 약해짐

– 진통 초기에 진정제나 경막외 마취의 영향

– 유발인자 : 아두골반 불균형, 태아의 이상태위

* 태아가 골반을 통과하지 못하면 자궁이 수축해도 분만이 진행되지 않아 수축이 점점 약해짐

* 둔위, 안면위, 횡위 등은 태아의 선진부가 골반에 잘 맞지 않아 자궁 수축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함

② 진단

– 분만 중 정상수축기압

· 자궁수축의 극기시 자궁내압 : 50~70mmHg

· 자궁수축 이완기의 자궁근 긴장도 : 8~12mmHg

– 자궁 수축 극기 시 자궁내압 : 25mmHg 이하 → 자궁경관개대와 소실 이루어지지 않음

– 특징 : 진통 초기 정상적인 양상을 나타내다가 경관이 4cm 이상 개대된 활동기에 수축 강도가 약하고 비효율적이거나 중단됨

– 자궁기능부전 양상의 3가지 형태 : 활동기 지연, 활동기 정지, 잠재기 지연으로 나타나는데 저긴장성 자궁기능부전 양상은 활동기 지연이나 정지로 관찰될 수 있음

프리드만 분만곡선

③ 산부와 태아 및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 산부

· 지연분만

· 조기파막 위험 : 자궁활동의 힘이 태아 선진부보다 양막에 미쳐 조기파막 흔히 발생

· 산부 탈진, 탈수, 자궁내 감염 위험

· 산후에는 자궁근무력으로 산후출혈

– 태아 및 신생아

· 만약) 태아 상태가 좋으면 저긴장성 자궁기능부전으로 인한 태아의 영향은 없음

· 하지만) 저긴장성 자궁수축 시 태아가사(태아곤란증)가 나타나면 신생아 패혈증 초래 가능성 있음

* 태아가 저산소 상태에서 오래 노출되면 면역기능이 저하되어 패혈증 걸릴 위험이 높아짐

④ 치료적 관리

– 분만 지연되면 아두골반 불균형, 태위이상, 골반이나 자궁기형으로 인한 폐쇄가 아니면

→ 자궁수축을 촉진 시키기 위해 양막절개나 옥시토신 정맥 투여

→ 분만유도에 효과가 없거나 태아 가사가 나타나면 → 제왕절개술

⑤ 간호관리

– 분만 진행과 관련하여 산부와 태아 상태를 관찰하고 저긴장성 자궁기능부전인지 확인

– 저긴장성 자궁 수축의 원인이 산부의 불안이나 탈수 상태에서 기인하는지 파악

– 수액요법이 처방되면 I/O check 하여 균형 상태 관찰, 방광팽만 여부 확인

– 양막이 파열되면, 감염징후를 관찰

(2) 고긴장성 자궁기능부전(hypertonic uterine dysfunction) ★★★

– 수축의 특징

· 자궁긴장의 증가

· 자궁바닥 < 자궁의 중간(체부)부분이 강하게 수축

· 수축 시작이 자궁각에서 동시에 발생하지 않고 여러 군데서 발생함

→ 자궁수축이 자주 일어나고 중등도 이상의 강한 수축이 오나 선진부를 아래로 밀어내는 압박이 가해지지 않아 자궁경부는 효과적으로 개대 되지 않음 + 수축 사이인 이완기에도 자궁이 이완 되지 않아 산부는 고통스럽다.

– 시기

· 경관 개대 4cm 이전의 잠재기에 일어남

· 분만 1기 잠재기 발생, 초산부에게 발생

→ 교정되지 않으면 지연분만으로 진전

① 원인 및 유발인자

– 자궁수축 양상이 자궁바닥 긴장도가 증가되어 있으면서 수축의 경사도가 비대칭적이거나 비틀려 있는 경우 발생

– 수축 시작이 자궁각에서 동시에 발생하지 않고 여러 군데서 발생하는 경우 나타남

– 빈번한 통증성 수축으로 인한 산부의 불안 → 효과적인 자궁개대나 소실이 일어나지 않음

② 진단

– 심하고 잦은 통증성 수축을 동반하면서 분만이 진행되지 않으면 진단을 내림

– 수축과 수축 사이 자궁저부 촉진 시 → 완전히 이완되지 않아 단단함

– 이완기의 자궁 내압 : 15mmHg 이상(정상: 8-12) 증가되어 있음 → 자궁수축도 효과적이지 못함

③ 산부와 태아 및 신생아에 미치는 영향

– 산부

· 자궁수축과 수축 사이에 이완이 제대로 되지 않아 자궁근의 산소결핍으로 심한 통증을 느낌

· 탈수, 심한 피로, 불안 증가

· 양막 파열 후 분만지연이 계속되면 자궁내 감염 유발

– 태아 및 신생아

· 자궁의 과도 긴장으로 인해 태반관류가 감소되어 분만 초기부터 저산소증이 나타남

· 자궁긴장으로 인한 압력은 태반조기박리, 아두주형, 아두혈종을 발생시킴

· 아두주형(molding) : 분만시 태아가 산도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태아의 두개골이 겹쳐지는 현상

· 산류(caput succedaneum) : 두피 연조직에 출혈성 부종이 생긴 것

· 아두혈종(cephalohematoma) : 두개골막하에 발생한 출혈

④ 치료

– 휴식, 수분 공급(정맥, 구강)으로 자궁수축을 중지시키기 위함

– 진통제 투여 → 이완, 진정, 수면 유도

– 수액 공급으로 자궁근의 긴장을 완화하고 수축의 동기화를 유도함

– 정상적인 수축이나 분만진해이 안 되면 제왕절개술 시행

⑤ 간호중재

– 심한 통증해결을 위한 진통제 : 모르핀 사용

– 분만 중 심한 통증

→ 산모 불안 유발 → 카테콜라민(과도분비는 혈관과 근육수축을 유발하여 혈류를 감소시킴)과 corticosteroids 호르몬(자궁수축 유발) 분비 → 자궁태반관류 감소 → 태아의 안녕을 해칠 수 있음

– 고긴장성 자궁기능부전의 경우 태아는 분만초기부터 저산소증을 겪음

– 태아질식 징후(태아심음, 양수 내 태변 착색 유무 관찰, 태아 움직임 관찰)를 파악

– 산모의 활력징후 측정 : BT, PR ↑ = 감염 초기 증상

– 자궁수축 사정 : 자궁파열 위험을 증가시키는 경련성 수축이나 병리적 퇴축륜 파악하기 위함

– 정맥 내 수액공급 : 수분과 전해질 규형 유지, I/O check

– 케톤뇨 유무 관찰 : 케톤뇨 출현은 부적절한 에너지를 반영

태아곤란증(fetal distess, 태아가사)의 증상

– 태아심박동수 120분/이하, 160회 이상

– 자궁수축이 끝난 후 태아 서맥이 30초 이상

– 두정위이면서 태변 배출 시(둔위에서 태변 배출은 정상)

– 자궁 수축 지속시간이 90초 이상 지속시

– 자궁수축 간격이 2분 이하

– 주궁 수축기 내압이 75mmHg 이상 시

→ 옥시토신 중단, 좌측위, 산소 투여

yongyong

Share
Published by
yongyong

Recent Posts

(여성건강간호학) 난산 02

(여성건강간호학) 난산 02 병리적 퇴축륜 - 선진부 하강이 없으면서 계속 강한 수축이 있을 때 -…

5시간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지중해 빈혈(thalass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지중해 빈혈(thalassemia) 개요 지중해 빈혈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으로 헤모글로빈 사슬 합성의 손상된 정도가 특징이다. 이…

3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겸상적혈구 빈혈

(아동청소년간호학) 겸상적혈구 빈혈 발생빈도와 원인 겸상적혈구 빈혈은 낫모양의 세포를 가지게 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질환을 갖고…

3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재생불량 빈혈(aplastic an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재생불량 빈혈(aplastic anemia) 개요 재생불량 빈혈 (aplastic anemia) 은 골수에 있는 줄기세포의 손상 또는 골수의…

3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빈혈 빈혈(anemia)은 질환이 아니라 원인된 질병이나 손상에 의해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이…

3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2

(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2 재생불량빈혈(Aplastic anemia) - 정의 골수가 모든 종류의 순환하는 혈액세포를 충분히 생산할…

3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