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건강간호학) 정상 산욕 간호 – 산욕여성 간호

(여성건강간호학) 정상 산욕 간호 – 산욕여성 간호

산욕여성 간호

1) 산욕여성 사정요소 : BUBBLEE-C

    (1) B-Breasts : 수유 여부에 따른 유방의 변화 사정, 유방울혈 예방과 관리

    (2) U-Uterus : 자궁퇴축 사정, 필요 시 자궁저부 마사지

    (3) B-Bladder : 방광팽만 · 요실금 사정, 배뇨 격려, 골반저근 훈련법(Kegel’s exercise) 격려

    (4) B-Bowel : 치질 사정, 배변 격려

    (5) L-Lochia : 오로 상태 사정, 오로와 출혈 구분

    (6) E-Episiotomy(or Cesarean incision) : 회음부 간호 또는 제왕절개 시행부위 간호

    (7) E-Emotional State & Bonding : 산후 우울감과 우울증 분별, 모아애착 증진 간호, 애착행위 격려

    (8) C-Circulation : Homan’s sign 사정, DVT 고위험요인 확인, 조기이상 격려

    2) 산욕기의 위험증상

    (1) 분만 24hr 후 체온이 38℃ 이상, 2회/일 이상 상승

    (2) 맥박 약하고 100회/분 이상

    (3) 호흡곤란, 혈압 상승 or 저하 있으면서 어지럽고 시력장애

    (4) 분만 24hr 후에도 자궁이 한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단단하지 않으며 배꼽 위에 위치

    → 자궁이완으로 인한 산후출혈 발생 가능

    (5) 식욕부진, 복통, 하지통, 두통, 설사, 수면장애, 우울 지속

    (6) 회음부위 심한 부종, 통증, 열감

    3) 잠재성 감염의 사정내용

    분만 24시간 이후 38℃ 이상의 고열, 빈맥(저혈량성 쇼크, 감염, 출혈, 통증, 불안 의심), 빠른 호흡

    4) 잠재성 감염 간호

    (1) 회음부 간호 : 패드 자주 교환, 앞에서 뒤로 착용하고 뒤로 뺌, 교환 전 · 후 손 씻기

    (2) 오로 관찰 : 악취가 있을 때 감염 의심, 둔부 건조하게 유지

    (3) 개인위생 철저 : 24시간 후부터 샤워(통목욕 4주 후, 대중목욕탕 6주 후)

    5) 산후통 관리

    (1) 정의 : 자궁이 임신 전 상태로 돌아갈 때의 간헐적인 자궁수축과 관련된 통증, 생리통과 유사

    (2) 경산부 > 초산부(* 자궁근의 강도가 약해 자궁근이 수축된 상태로 지속되지 못하며 간격을 두고 수축, 초산부는 자궁근이 수축된 상태 지속)

    (3) 수유부 > 비수유부 (* 모유수유 시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자궁수축 유기)

    (4) 자궁이 지나치게 이완된 산모(다태임신, 양수과다증), 자궁수축제 투여 시 더 호소

    (5) 간호중재 : 방광 비우기, 자궁저부 마사지, 고온팩 적용, 다리 들어 올리는 운동, 필요 시 진통제 투여(모유수유 30분 전에 투여하여 수유 시 불편감 경감)

    6) 회음부 상태에 따른 간호

    (1) 냉요법 : 분만 직후 회음 손상, 회음절개술 시 부종 감소될 때까지(24~48시간까지 적용 가능 → 그 이상 적용 시 상처회복 저해 가능성)

    (2) 습열요법(좌욕) : 순환 촉진, 부종 감소, 조직 이완(출혈 조절 후, 20분씩, 2~3회/일)

    (3) 건열요법 : 상처부위 건조, 순환 증진, 열램프 적용(50~70cm 거리 유지, 좌욕 후 20분간 3회/일)

    (4) 필요 시 진통제 : 중측방 회음절개술 시 통증이 더 심함

    (5) 절개하지 않은 쪽으로 측좌위 → 체중에 의한 압력 감소

    7) 조기이상의 필요성

    혈액순환 증진, 혈전성 정맥염 위험 감소, 방광과 장의 기능 증진(복부팽만 및 변비 예방)

    처음 침대에서 일어날 때 기립성 저혈압 발생 가능 → 수분간 침대에 걸터앉는 등 천천히 시도

    8) 산후운동

    (1) 분만 후 첫날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운동량을 증가, 무리하게 운동하지 않도록 함

    (2) 골반저근 훈련법(Kegel’s exercise) : 망울해면체근, 회음표면횡근, 항문올림근 강화 → 골반근육 탄력성 유지, 요실금 예방

    9) 성생활

    (1) 성관계 시기 : 분만 후 3주(오로 감소 후, 감염 없음, 성교통 없음 만큼 회음부 치유된 이후)

    (2) 피임 :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수유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피임 권장

    10) 수면, 휴식

    (1) 산모에게 적절한 휴식이 필요하므로 어느 때라도 수면과 이완을 취할 수 있게 함

    (2) 불면증 시 : 따뜻한 음료수(예: 우유) 제공, 목과 등 마사지, 산후통 완화(진통제, 복부 열요법 적용), 수면 방해요소 제거

    11) 영양(수유부 기준)

    하루 2,340kcal 권장(비임신 시보다 340kcal 증가), 단백질 80g(비임신 시보다 25g 증가), 필요한 열량의 55~65%를 당질로 공급, 칼슘 700mg, 철분 24mg, Vit. A, B, C 섭취

    yongyong

    Recent Posts

    (아동청소년간호학) 지중해 빈혈(thalass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지중해 빈혈(thalassemia) 개요 지중해 빈혈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으로 헤모글로빈 사슬 합성의 손상된 정도가 특징이다. 이…

    1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겸상적혈구 빈혈

    (아동청소년간호학) 겸상적혈구 빈혈 발생빈도와 원인 겸상적혈구 빈혈은 낫모양의 세포를 가지게 되는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으로, 질환을 갖고…

    1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재생불량 빈혈(aplastic an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재생불량 빈혈(aplastic anemia) 개요 재생불량 빈혈 (aplastic anemia) 은 골수에 있는 줄기세포의 손상 또는 골수의…

    1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아동청소년간호학) 철결핍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빈혈 빈혈(anemia)은 질환이 아니라 원인된 질병이나 손상에 의해 혈액의 산소운반 능력이…

    1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2

    (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2 재생불량빈혈(Aplastic anemia) - 정의 골수가 모든 종류의 순환하는 혈액세포를 충분히 생산할…

    2일 ago

    (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1

    (아동청소년간호학) 혈액기능장애 아동의 간호 01 혈액계통 혈액조성 혈액의 기능 종류기능감소 소견비고적혈구Red blood cells산소 운반, 산 완충빈혈(anemia)(쇠약감,…

    2일 ago